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정당 페이지

결과: 1 - 24 of 24

[시평 480]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주권의 재구성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주권의 재구성   이관후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   촛불 이후 가장 주목받는 정치개혁 과제는 선거제도의 변화다. 특히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그동안…

조회수: 33

[포럼] 포퓰리즘 시대와 민주주의: 정치의 실패인가 전환인가?

    포퓰리즘 시대와 민주주의: 정치의 실패인가 전환인가?   포퓰리즘은 더 이상 불편한 낙인으로 봉인할 수 있는 과거의 유령이 아닙니다. 포퓰리즘은 현대 정치와 사회질서의…

조회수: 40

모든이를 위한, 모든이에 의한, 모든이와 함께하는 민주주의

필자가 ‘직접민주주의’라는 단어를 처음 접하고 이를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스위스 국적의 직접민주주의 전도사 Mr. Bruno…

조회수: 80

방심위는 자유한국당의 ‘정당 명예훼손’ 심의 신청 각하해야

방심위는 자유한국당의 ‘정당 명예훼손’ 심의 신청 각하해야   지난 지방선거 전, 자유한국당이 정당의 명예훼손을 이유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이하 ‘방심위’)에 200여 건의 글…

조회수: 129

[시평 449] 개헌, 그때는 되고 지금은 안 된다?

개헌, 그때는 되고 지금은 안 된다? 자유한국당, 개헌 앞 '욕심' 버려야   최택용 콜리젠스 정치정책연구소장   지난 대통령 선거 당시에 전국의 지방분권단체들이 총결집된 '…

조회수: 68

[김성희의 독일 총선 관전기 ②] 누가 독일을 통치하는가

여기 우리와 8000km이상 떨어져 있고, 미국, 일본, 중국처럼 직접적인 영향을 말하기도 어려운 유럽의 한 나라가 있다. 데면데면할 수밖에 없는 그런 나라의 정치와 선거에 대해…

조회수: 242

[박상훈의 다시 민주주의다] 문 대통령 新민주주의 노선의 함정

김대중과 노무현은 일관되게 의회주의자였고 정당주의자였다. 김대중은 박정희 정권이 국민투표를 통해 3선 개헌을 하고 유신체제로 전환하려는 것에 항의해 싸웠다. 노태우 정권이 임기…

조회수: 229

박상훈의 민주주의 교실 season 3

  박상훈의 민주주의 교실 <민주주의 강독> Season 3 Season 3에서 함께 읽을 책 절반의 인민주권(샤츠슈나이더, 후마니타스) 경제이론으로 본 민주주의(…

조회수: 277

[박상훈의 다시 민주주의다]국민보다 정당과 의회가 더 중요하다

박상훈 정치학자 정치발전소 학교장   대통령이 의회주의자 내지 정당주의자일 때만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는 필자의 입장에서는, 국민을 앞세우는 통치 담론이 늘…

조회수: 234

[김성희의 정치발전소] 정당의 크기와 능력

정의당은 정말 ‘작아서’ 존재감이 없는 걸까? 김성희 정치발전소 상임이사   진보정당의 평범한 활동가라면 주변사람들로부터 “작은 정당에서 고생하지 말고, 큰 정당에 가서 네 뜻을…

조회수: 324

[박상훈의 다시 민주주의다]대통령과 정당, 누가 통치해야 하나

  박상훈 정치학자 정치발전소 학교장   현대 민주주의의 최초 모델 가운데 하나인 영국에서 처음 민주주의를 하게 되었을 때, 그들은 그 의미를 어떻게 정의했을까. 그것은…

조회수: 275

[판결비평-선거법특집 ②] 후보와 정당을 말하지 않고 &apos;정책&apos;선거가 가능…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심판이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누가 새로운 대한민국의 대통령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그런데 관심과 열기만으로 정말 좋은 대통령을 뽑을 수…

조회수: 213

유럽 정당 강령(번역본) 모음

정당의 강령은 정당의 정체성이자 지향을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정당이 어떤 정당인지는 그 강령을 읽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작년 정치발전소의 ‘여성과 정치’ 책읽기 모임에서 유럽…

조회수: 586

2017 정치발전소 고전강독 프로그램 일정 안내

안녕하세요, 정치발전소입니다. 2017년을 맞아 정치발전소의 새로운 강좌를 준비 중입니다. 지금까지 있었던 ‘고전강독’ 강좌를 확대하여 새로운 고전을 읽어보려 합니다. 예상되는…

조회수: 402

보수신당, 새누리당을 무너뜨려라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12. 28)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드디어 새누리당 탈당파가 개혁보수신당의 깃발을 올렸다. 4당 체제의 시작이다. 누구는 좋다고 한다. 다양한…

조회수: 190

동아시아포럼 “정당정치: 변화의 정치, 헬조선, 귀도, 같은 좌절, 다른 대안”

지난 12월 9일, 청년허브에서 동아시아포럼 : “정당정치: 변화의 정치, 헬조선, 귀도, 같은 좌절, 다른 대안”이 진행되었습니다. 홍콩, 대만, 일본, 한국의 정당 및…

조회수: 270

정당별 정책공약 보고 똑똑한 투표! - #2 출산/보육/청년/노인편

정보공개센터는 총선을 맞아 시민 유권자들과 함께 정당별 정책공약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각 정당들이 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정책공약을 일자리와 노동, 경제와 조세, 출산과…

조회수: 532

정당별 정책공약 보고 똑똑한 투표! - #1 일자리/노동/경제/조세편

오는 4월 13일 수요일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는 날 입니다. 3월 한 달 동안 여당인 새누리당과과 제1 야당인 더불어 민주당의 공천갈등으로 인해 여론은 혼탁하기…

조회수: 480

정치기사 뒤집어보기 03

<정치 기사 뒤집어보기>는 한국 정치 보도를 어떻게 보아야 할 지에 대한 정치기사 모니터링 팀의 의견을 제시하는 연재글입니다. 세번째 글은 이춘희 팀원의 <김무성…

조회수: 410

[2015정치개혁시민연대] 선거제도만 바꿔도 달라진다⑤ 100인 정당, 한국에선 불가능한 이유

  '2015정치개혁시민연대'는 민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거대 정당들의 정치독점을 공고히 하는 선거제도를 바꾸기 위해 250여 개 시민단체가 모인 연대기구입니다. 서울…

조회수: 171

[이슈리포트] 선거/정당 전공 정치학자 71.2% “비례대표제 확대해야&quot;

선거․정당 전공 정치학자 71,2% “비례대표제 확대해야”  70.3% “의원수 330 이상 되어야” 참여연대, 선거 및 정당제도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보고서 발표 국회…

조회수: 116

[이슈리포트] 선거/정당 전공 정치학자 71.2% “비례대표제 확대․의원수 330 이상 되어야”

선거․정당 전공 정치학자 71.2%  “비례대표제 확대․의원수 330 이상 되어야” 참여연대, 선거 및 정당제도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보고서 발표 국회 정개특위, 전문가 의견…

조회수: 214

[이슈리포트] 선거/정당 전공 정치학자 71.2% “비례대표제 확대․의원수 330 이상 되어야”

선거․정당 전공 정치학자 71.2%  “비례대표제 확대․의원수 330 이상 되어야” 참여연대, 선거 및 정당제도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보고서 발표 국회 정개특위, 전문가 의견…

조회수: 256

국회에 경실련 정치관계법 개정의견 제출

경실련, 국회에 정치관계법 개정의견 제출-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법인·단체 정치자금 기탁 금...

조회수: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