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민주주의 뉴스 발간의 축하 인터뷰
‘직접민주제’는 대의적 제도정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고 상보적 경쟁과 견제를 통해 민주주의를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 이래경 선생님~ 안녕하십니까? 지난 12일 제1기…
‘직접민주제’는 대의적 제도정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고 상보적 경쟁과 견제를 통해 민주주의를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 이래경 선생님~ 안녕하십니까? 지난 12일 제1기…
그림엽서가 아니었다. 남북 정상이 손을 맞잡고 백두산 천지 앞에 섰다. 그 장면이 실시간으로 우리에게 중계되었다. 그 뿐인가 싱가포르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열렸다. 이렇게 상상을…
대표/직접민주주의 사이에서 한국 민주주의를 전망하다 참여사회연구소 반년간지 《시민과 세계》 32호 발간 특집기획 <촛불 이후의 민주주의를 성찰하다> …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에서는 <7월 참여사회포럼-촛불 이후의 민주주의: 직접인가, 대의인가?>를 개최합니다. 촛불항쟁 이후 시민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에서는 <7월 참여사회포럼-촛불 이후의 민주주의: 직접인가, 대의인가?>를 개최합니다. 촛불항쟁 이후 시민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희망제작소는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민주주의 시민교육 일환으로 를 진행했습니다. 교육에서는 민주주의 역사와 원리를 재해석하고, 원활한 조정과 합의를 위한 의사소통방법론을…
국민개헌넷 연속 토론회 3 ‘헌법, 직접민주주의와 만나다’ 직접민주주의 강화 개헌의 방향과 국민소환제 등 주요쟁점 논의 일시 장소 : 2017. 11. 1(수) 14시-…
시민은 '유권자'가 아니라 '주권자'다 대의제는 한국 민주주의의 공리인가? 진시원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촛불집회 이후 민주개혁 정부가 다시 들어서고…
오늘날 민주주의와 민주주의가 아닌 나라를 복수정당제의 허용 여부로 구분한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다. 이해 당사자들에게 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는 문제 역시…
* Why! 왜 이 주제를 선택했나요? – 문재인정부 ‘국민주권 시대’ 실현 정책화 방향을 들여다보기 위해 – 참여형 민주주의 구현방식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 지방정부 차원의…
참여연대, ‘개헌, 어떻게 할 것인가’ 시민사회 개헌 방안 토론회 개최 기본권, 사회권, 환경, 여성, 분권과 자치, 사법, 직접민주주의와 권력구조, 시민참여 등 8개…
김종서, "광장 한 가운데서, 촛불 이후를 생각한다", 민주법학 제63호 (2017.3), 77-137쪽. <국문초록&...
[caption id="attachment_157437" align="aligncenter" width="640"] ⓒ기장해수담수공급찬반주민투표관리위원회[/cap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