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최장집 페이지

결과: 1 - 12 of 12

[시평 426] 시민은 '유권자'가 아니라 '주권자…

시민은 '유권자'가 아니라 '주권자'다 대의제는 한국 민주주의의 공리인가?   진시원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촛불집회 이후 민주개혁 정부가 다시 들어서고…

조회수: 227

[최장집 칼럼] 노사 간 대타협과 코포라티즘

사회적 대타협 하려면 서유럽의코포라티즘을 대안으로 삼아야노동운동을 체제 내로 통합시켜계급 갈등 대신 노사 상호공존개혁의 시작은 정부가 주도하나대타협 중심은 기업과…

조회수: 227

[최장집 칼럼] 새 정부와 한반도 평화공존의 과제

햇볕정책이 왜 지속할 수없었는지 점검, 보완해야보수, 진보 합의 있어야만평화공존 실현 가능해져 최장집고려대 명예교수·정치학 새롭게 출범한 더불어민주당 정부가…

조회수: 219

[긴급진단] 최장집 교수가 꼽은 ‘대한민국 구조조정’ 3대 과제

 ‘박정희 패러다임’ 벗고 새 단계 향한 방향타 잡아라 정리 배영대 문화선임기자, 신승민 인턴기자 balance@joongang.co.kr ■ 분권형 정부 : 1인 통치자가…

조회수: 242

[시사IN] 최장집, “박정희 패러다임 붕괴 이후가 중요하다”

박상훈 정치발전소 학교장과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의 의미를 짚었다. 최 교수는 탄핵 이후 의회와 정당이 중심이 되는 방향으로 점진적 변화가 지속되어야…

조회수: 358

[최장집 칼럼] 헌재의 역할과 취약성

민주주의 퇴행 막은 헌재 판결한국 정치사 이정표적 대사건그럼에도 헌재의 구조 불안정짧은 임기, 임용 방식 등 문제‘헌재 개혁’은 또 다른 숙제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

조회수: 174

[중앙일보] “이젠 촛불의 시간서 정치의 시간으로 … 의회가 바통 받아야”

‘탄핵 이후의 길’ 박상훈 묻고 최장집 답하다 촛불시위에서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을 거쳐 헌재의 탄핵 인용까지, 이제 한국 민주주의는 새로운 전환의 길목에 서게 됐다. 지난…

조회수: 383

[기획인터뷰-문제는 정치다①] 최장집 “박정희 패러다임 대안 찾아야”

글 주혜진(북DB 기자) ‘문제는 정치다!’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정치학자 3인의 목소리 ① 최장집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3.9) ② 강원택 서울대…

조회수: 263

출판기념토론회

<양손잡이 민주주의> 출판기념토론회 많은 분들이 오셔서 성황리에 진행되었습니다. 사전 신청해주신 분들을 보고 20여분 정도가 오실 것 같다고…

조회수: 307

출판기념토론회

    <양손잡이 민주주의> 출판기념토론회 <양손잡이 민주주의>의 저자  최장집, 서복경, 박찬표, 박상훈과 함께 촛불집회와 정치, 민주주의에 대해 묻고…

조회수: 293

언론 속의

정치발전소와 후마니타스가 출간한 <양손잡이 민주주의>가 나온지 일주일 가량 지나고 있습니다. 최근의 시국과도 맞물려 <양손잡이 민주주의>를 여러 언론들이…

조회수: 280

[최장집 칼럼] 관료 행정개혁과 책임의 문제

대선주자 개혁공약들 중요하나국가와 대통령에 권력집중을중심적인 문제로 보지 않는다관료행정체제 근본적 문제들의책임을 묻고 개혁하지 않는다면대선 과정에서 큰 공백이 될 것…

조회수: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