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협치 페이지

[연속세미나/후기] 시민참여,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희망제작소는 시민연구공간 희망모울 오픈 기념으로 연속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7월 24일, 뿌리센터에서 개발 준비 중인 ‘시민참여지수’에 ‘시민참여’의 핵심요소를…

희망모울 릴레이 세미나 – 시민참여,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 제목 희망모울 릴레이 세미나 – 시민참여,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 주최 희망제작소 ■ 일시 2018.07.24(화) 15:00 ■ 목차 발제 : 숙의민주주의시대…

[시평 428] 노동조합이 바로 협치다!

노동조합이 바로 협치다! 노동조합, 민주주의의 다른 이름   최재혁 참여연대 경제노동팀장     노동조합이라고 했을 때, 누군가에게는 '투쟁'이란 말을 무심코 떠오를 수 있다…

[2017 금천요리조리학교] 협치로 만든 행복 레시피를 공개합니다

서울 금천구는 민관이 협력하여 ‘2017년 금천구 지역사회혁신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금천의 골목변화사업’으로 뽑힌 주요과제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상반기에는 민간이 참여하여 골목…

[2017 금천요리조리학교] “협치로 만나요! 맛나요!”

서울 금천구는 민관이 협력하여 ‘2017년 금천구 지역사회혁신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금천의 골목변화사업’으로 뽑힌 주요과제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상반기에는 민간이 참여하여 골목…

[모집] 협치의 맛을 아시나요?

알다가도 모를 협치! 2017년 협치의 쓴맛, 단맛, 짠맛을 이야기합니다. 협치의 진정한 의미와 원리를 다시 짚어보며, 2018년 협치를 맛깔나게 하는 우리의 레시피를 만듭니다…

참여민주주의 실현, 위원회를 혁신하자

* Why! 왜 이 주제를 선택했나요? – 지방정부에 위원회가 너무 많아 비효율적이고 효과 없으며 예산 낭비라는 지적이 있음 – 그러나 위원회를 통해 마을민주주의가 강화하고 정책…

[김성희의 정치발전소] 북핵 위기는 정치의 위기다 – ‘협상가’ 문재인은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인가?…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한반도의 전쟁 가능성을 전망하는 외신 보도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정착 한국 정치는 일종의 초현실적 분위기에 젖어 있는 듯하다. 한반도 위기는…

문재인정부 ‘국민주권시대’ 실현을 위한 정책화 방향과 사례 들여다보기

* Why! 왜 이 주제를 선택했나요? – 문재인정부 ‘국민주권 시대’ 실현 정책화 방향을 들여다보기 위해 – 참여형 민주주의 구현방식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 지방정부 차원의…

[박상훈 정치발전소 학교장 인터뷰] “인사와 정책, 청와대 주도성 강해”

시사위크와 박상훈 학교장님의 인터뷰가 기사로 나왔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협치’를 키워드로 진행된 인터뷰입니다.   박상훈 학교장은 “다당제가 잘 되려면 서로 차이를 드러내 …

[협치서대문 100인 원탁회의] 주민이 그린 협치, 협치로 만드는 서대문

희망제작소와 서울 서대문구는, 민관이 함께하는 협치도시 서대문구를 만들기 위해 지역사회혁신계획 수립 일환으로 다양한 공론의 장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긴 가뭄 가운데 반가운 비가…

협치를 위한 혁신, 혁신을 완성하는 협치–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세 가지 과제 중심으로

* Why! 왜 이 주제를 선택했나요? – 민관협치 추진 주체들이 겪는 어려움의 원인을 파악해 보기 위해 – 어떻게 해야 민관협치가 단기적 사업기획이 아니라 사회의 변화 방향으로…

[오피니언] 협치의 시작, 작은 공동체부터 – 내 가슴을 뛰게 한 협치의 경험

2016년, 서울시는 ‘지역사회혁신계획’이라는 이름으로 자치구 단위의 민관협치 활성화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협치(거버넌스)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관이 함께 사업을…

[카드뉴스] 민관협치? 행정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

요즘 핫한 민관협치, 그런데.. “주민토론회는 왜 평일 낮에만 열리지?” “어린이나 청소년 의견은 안 들어?” “주민 발의 주민투표는 0건…” 뭔가 부족하다! 협치가 성공하기…

[서대문 공무원 협치 챔피언 교육] 만남, 기록, 공유 – 협치를 위한 세 가지 키워드

봄기운 가득한 4월의 어느 날, 서울 남가좌동에 위치한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센터’에서 서대문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협치 챔피언 교육’이 진행됐습니다. 교육의 대상자일…

[서대문 협치회의 분과위원 50인 원탁토론] 둥글게 모여앉아 서대문의 협치를 말하다

2017년 5월 18일, 서울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센터에서 서대문 협치회의 분과위원을 대상으로 하는 50인 원탁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위원들은 이 자리에서 서대문 협치 성공을…

문재인정부의 개혁이 성공하려면…

5.9 대선승리 이후, 5월 10일 오전 8시 처음으로 당선증이 나왔다. 이후 약 11일 동안 문재인 대통령이 했던 일들을 복기해보면, ▴임종석-조국 등 청와대 참모 인선 ▴…

[풀뿌리 현장의 눈] 우리의 공론장은 어떠해야 하는가?

우리의 공론장은 어떠해야 하는가? – 참여, 협치, 참여예산, 그리고 공론장에 관해 묻다 공론장은 풀뿌리 민주주의 근간이다. 절차적 제도적 민주주의가 우리 일상의 민주주의를…

작동하라! 지속가능발전위원회

■ 요약 ○ 최근 지진과 원전문제 등 복잡하고 어려운 사회문제들이 속속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해법을 한 영역에서만 제시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란 어렵다. 또한…

도봉구, 지속가능발전과 만나다 – 도봉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김연순 위원장 인터뷰

거버넌스는 지속가능발전 실행의 중요한 수단이다. 지난 4월 7일, 서울 도봉구에서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이하 도봉구 지속위)가 출범했다. 도봉구 지속위는 민관 거버넌스(협치) 기구로…

주민이 만들어가는 무대, 행복 거버넌스 – 종로구 행복드림팀 인터뷰

행복을 주민 스스로 정의하고 주민의 관점에서 정책화하면, 우리 지역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종로구에서는 행복정책을 만들기 위해 2015년 3월부터 주민, 전문가, 공무원이…

중간지원조직과 거버넌스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있지만, 간단히 정리하면 행정과 시민 또는 지역사회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중간지원조직이 거버넌스의 고리이자 다양한…

[카드뉴스] 거버넌스 혹은 협치?!

사회가 복잡 다양해질수록 많은 분야와 영역에서 강조되는 거버넌스(협치)! 과연 무엇일까요? 거버넌스는, 정부, 지자체, 기업, 국민, 시민단체 등 사회구성원 모두가 참여해요.

[칼럼] 공놀이에서 찾은 거버넌스

공 하나의 추억 나는 초등학교에 다니는 조카와 함께 공놀이하는 것을 좋아한다. 운동신경이 꽝인 이모와 놀아주는 조카가 있다니, 얼마나 큰 영광인가. 동네 조기축구회는 휴일이 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