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가 수사기관에 신상정보 제공한 이유, 고객은 알필요 없다는 대법원 판결 유감
헌법에 반하는 통신자료 제공 관행 끊을 기회 외면한 대법원
대법원이 헌법의 기본권 보호 역할을 외면하였다. 지난 10월 31일 대법원 제1부(주심 대법관 이기택)는, 에스케이텔레콤(이하 SKT), 엘지유플러스(이하 LGU+)를 상대로 수사기관으로부터 받은 통신자료제공 요청서의 내용(요청사유, 이용자와의 연관성, 자료의 범위 등)을 공개해달라는 정보공개소송에서 알려줄 필요가 없다는 2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했다. 통신사들이 수사기관에 이용자 신상정보(통신자료)를 한해 수백만건 넘게 제공하는 이유를 정작 정보 주체들은 왜, 어느 범위까지 제공되었는지 영영 알 수 없게 된 것이다. 헌법 제10조에서 도출되고 17조로 보장받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대법원이 부인한 것이다. 헌법에 반하는 통신자료 제공 관행을 개선할 기회를 외면하고, 수사기관이 신상정보를 가져가도 이유를 알려고 하지 말고 알 필요도 없다는 이번 대법원 판결은 개인정보의 주체를 객체로 전락시킨 것이다.
현행 전기통신사업법 제83조 제3항에 따라 수사, 정보기관이 ‘수사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요청하면 이통사는 고객들의 신상정보(이름, 주민번호, 주소 등 통신자료)를 한 해 수백만 건 이상 수사기관에 제공해 왔다. 헌법 제12조제3항은, “체포·구속·압수 또는 수색을 할 때에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검사의 신청에 의하여 법관이 발부한 영장을 제시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는 국민의 기본권을 강제로 침해할 때는 반드시 법관이 발부한 영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수사과정에서 특정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사람의 인적사항을 손쉽게 파악하도록 하는 것은 수사상 편의에 불과하고, 이 수사상 편의를 위해 법원의 영장을 받지 않아도 되도록 제도가 설계되어 있다. 그런데 법원의 영장없이 수사기관이 요구하고 통신사들이 기계적으로 그 요구에 따르기 때문에 수백만건의 개인정보가 수사기관에 흘러들어가고 있는데, 그 정보의 주인은 왜 정보를 가져갔는지조차 확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해 수백만 건 이상 수사기관에 제공된 통신자료 제공은 법원의 통제를 받지 않고 있는데, 이제 그 정보의 주인인 개인이 사후적으로나마 왜 통신자료를 요청했고 제공했는지 조차 확인할 수 없다면 통신사들의 통신자료 제공은 통제불가능해진다. 2012년 헌법재판소가 전기통신사업자의 통신자료 제공은 법률상 강제수사가 아닌 임의수사에 응하는 것으로 사업자 재량에 따라 제공할지 말지 결정했던 것은 전기통신사업자들 스스로 최소한의 심사와 관리를 할 것으로 전제한 것이었다. 2012년 헌재결정 이후 포털사들은 통신자료를 임의제공하던 관행을 중단하고 영장에 의한 제공만 하고 있는데 통신사들은 오히려 경찰과 협의해 이제 클릭 몇 번으로 자신들이 관리하는 고객들의 정보를 넘겨주고 있다. 통신사들의 고객DB를 수사기관이 맘대로 이용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제까지 통신자료 제공과 관련해서 수사기관은 수사상 필요 때문에 요청했으니 합법, 통신사들은 수사기관이 요청했으니 그에 따른 것이라 합법이라는 판결이 이어져 왔는데 대법원이 이번에 왜 제공되었는지조차 알 필요가 없고, 알고자 해도 확인할 수단조차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국가공권력 행사의 대상이 된 사람이 그 공권력이 적법, 적정한 것이었는지를 사후적으로나마 검증할 수 있는 기회조차 박탈한 것이다. 대법원은 수사기관과 통신사가 알아서 잘 하고 있을테니 그냥 믿으라는 것이다. 국가기관의 공권력 행사과정을 감시하고 통제해야 할 법원이 그 본연의 임무를 망각하고 사법적 통제의 사각지대를 스스로 만든 것이라 이번 판결 자체가 기본권 침해적이다.
수사기관이 법원 통제없이 국민의 통신자료를 요청하고 수집해 가는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참여연대는 지금까지 10년 가까이 헌법소원, 민사 및 행정 소송 제기, 국회 관련법 개정 요구 활동을 해 왔다.헌법이 확인하고 법률로 보장하는 기본권임에도 길고 긴 소송을 통해서라야 겨우 통신자료의 제공현황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고, 영장 없이는 일부나마 인터넷기업들이 함부로 통신자료를 수사기관에 내주지 않게 되었다. 이와 같이 그동안 아무런 통제없이 이루어져 온 통신자료 제공 제도가 느리지만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흐름을 이번 대법원 판결이 거스른 셈이다. 대법원은 대체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지 묻고 싶다.
▣ 참고자료
청구시점
|
피고 (피청구인)
|
청구내용
|
판결결과
|
이후 사회 변화
|
|||
2010년 7월
|
DAUM
|
(1) 수사기관에 원고들 통신자료 제공한 현황 공개청구
(2) 공개거부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
1심
|
공개청구 인용
손해배상 기각
|
통신자료 제공 내역은 요청 시 공개함
|
||
2심
|
항소기각
|
||||||
3심
|
상고기각
|
||||||
2010년 7월
|
NAVER
|
네이버가 원고의 통신자료를 수사기관에 제공한 것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
1심
|
기각
|
|||
2심
|
인용
(50만 원 손해배상)
|
||||||
3심
|
파기환송(손해배상 책임 인정 안함)
|
||||||
2010년 7월
|
경기지방경찰청장
|
(1) 경기지방경찰청장이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통신자료를 취득한 행위
(2) 통신자료 근거법률인 구 전기통신사업법 제54조 제3항에 대한 헌법소원
|
각하(통신사들의 신상정보 제공은 법률상 강제수사가 아닌 임의수사로서 사업자 재량에 따라 제공할지 말지 결정할 일)
|
다음, 네이버 등 인터넷기업 영장 없이 통신자료 제공안하기로 함
|
|||
2013년 4월
|
통신3사
|
(1) 수사기관에 원고들 통신자료 제공한 현황 공개 청구
(2) 공개거부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
1심
|
공개청구 인용
손해배상 기각
|
통신사들도 통신자료 제공 내역 요청 시 공개함
|
||
2심
|
공개청구 인용
손해배상 인용 (20~30만원)
|
||||||
3심
|
상고기각( 원고 승소)
|
||||||
2016년 5월
|
통신3사
|
통신자료제공요청서 공개하라
|
1심
|
SK
|
KT
|
LG
|
통신사들이 수사기관에 왜 내 정보를 제공했는지 확인할 방법 없음
|
기각
|
일부 인용
|
기각
|
|||||
2심
|
항소 기각
|
재판 계속중
|
항소기각
|
||||
3심
|
상고기각
|
|
상고기각
|
||||
2016년 5월
|
대한민국
|
경찰 및 국가정보원의 통신자료수집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
1심
|
청구기각
|
|||
2심
|
항소기각
|
||||||
3심
|
재판 계속 중
|
논평 원문https://docs.google.com/document/d/1uAmXO4vwuVRlb2Kp1AVLjMcANQllyikxZdbw... rel="nofollow">보기/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