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평화올림픽을 위한 각계 원로 기자회견 개최 예정(12/26 화, 오전 11시)
평화 올림픽을 위한 각계 원로 기자회견 개최 “평창 올림픽 앞서 미국 ․ 북한 군사행동 중지하고 대화 나서야” 일시: 2017년 12월 26일(화) 11시, 장소: 프레스센터…
평화 올림픽을 위한 각계 원로 기자회견 개최 “평창 올림픽 앞서 미국 ․ 북한 군사행동 중지하고 대화 나서야” 일시: 2017년 12월 26일(화) 11시, 장소: 프레스센터…
<2017 한반도평화회의> 지금 한반도 평화는 중대한 위기에 봉착했습니다. 남북관계는 물론 한미관계와 한중관계 모두가 새로운 전환을 계기를 만들지 않으면…
한미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와 남북관계 전망 토론회 시민평화포럼과 지식협동조합 좋은나라에서는 한미정상회담의 결과를 평가해 보고, 앞으로의 남북 관계 및 한반도 정세…
금강산관광 중단 10년, 금강산관광 재개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 “정부는 금강산관광 조속히 재개하라” 2008년 7월 12일 금강산관광이 중단 이후 어느덧 10년이…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한미 정상회담 과정과 결과를 미국 탐사전문기자 팀 셔록(Tim Shorrock)과 공동 취재해 보도합니다. 팀 셔록…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한미 정상회담 과정과 결과를 미국 탐사전문기자 팀 셔록(Tim Shorrock)과 공동 취재해 보도합니다. 팀 셔록…
러시아 국영 TV, 한국 새 대통령 “한반도 긴장 풀 수 있을까” 촉각 -베스티, 대선 결과는 보수 정권의 종말 -독립외교와 대북관계 개선 선택한 국민 러시아 언론도 한국의 대선…
이슈리포트 「19대 대선후보 정책질의에 대한 답변평가 : 남북관계·외교·국방분야」 발행 오늘(4/25)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는 「19대 대선후보 정책질의에 대한 답변평가 :…
4월 평화정책세미나 대북정책 전환을 위해 남북관계 법률 다시보기 시민평화포럼과 이인영 의원실이 공동주최하여 매월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정책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4월…
한반도에 봄이 왔고 벚꽃과 함께 위기도 다시 왔다. 사실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4월 위기는 연례행사가 됐다. 통상 한미 양국은 3월부터 4월까지 키 리졸브, 독수리 등…
<한반도 평화 촉구 한국 시민사회단체 공동 기자회견> 개최 한반도 무장충돌 방지와 남북관계 단절 극복을 위한 시민사회의 긴급제언 한반도 주민 볼모로 하는 일체의…
남북관계와 한국의 선거 How inter-Korean relations are politicized in elections in Korea 2016년 4월 / 정욱식…
북한인권법 시행, 인권 실종과 예고된 갈등을 우려한다 오늘(9/4)부터 북한인권법이 시행된다. 지난 8월 30일에는 북한 인권재단과 북한 인권기록센터 설립 등을 주요…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8. 2)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핵 문제의 진전 없이 남북관계 발전만을 추구하거나 남북관계의 모든 사안을 핵 문제와 직접 연계하는 것 모두…
동북아 평화위협‧군비경쟁 촉발하는 북 무수단 발사 유감 4차례 핵실험한 북한의 로켓 발사는 주변국에 명백한 위협 군사적 대결과 제재 위주 대응에서 평화 대화로 전환해야 어제(…
개성공단 가동 중단 108일째인 지난 5월 27일, 정부가 대책을 내놓았다. 정부는 개성공단 폐쇄로 피해를 본 입주기업과 주재원을 지원하기 위해 5,200억 원 가량의 재정을…
세월호 참사 2주기가 다가오지만 진상규명은 요원하기만 합니다. 정부와 여당은 국민들의 염원으로 만들어진 특별법을 무력화시키려 갖은 애를 다 쓰고 있습니다. 봄은 다가오고…
정보공개센터는 총선을 맞아 시민 유권자들과 함께 정당별 정책공약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각 정당들이 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정책공약을 일자리와 노동, 경제와 조세,…
제1차 <한반도평화회의>를 제안합니다 한반도가 전쟁 위기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북의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한 유엔의 대북제재와 더불어 대규모…
추가 독자 제재는 해결책이 아니라 자충수 출구 없는 과시용 대북제재 제2의 5.24조치 우려 실효성 없는 제재가 아닌 대화와 협상으로 가야 오늘(3/8) 정부는 북한의…
제재와 봉쇄를 넘어 대화와 협상을 재개해야 한다 대화 없이 제재 일변도로 북핵 해결할 수 없어 군사적 모험주의 버리고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 착수해야 어제(3/2, 현지시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