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이대근 칼럼 페이지

결과: 1 - 16 of 16

한반도 문제의 본질에 다가가는 순간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7. 9. 27)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요즘 한반도는 상호 파괴를 장담하고 그것이 가능한 무기를 손에 쥐려는 폭력적 사건들로 가득하다. 이런 폭력…

조회수: 228

문재인 100일에 읽은 링컨

3년 전 사다 놓고 밀쳐 둔 책을 이제야 읽었다. 도리스 컨스 굿윈의 <권력의 조건>이다. 4년 전에 상영한 스티븐 스필버그 영화 <링컨>의 원본이다. 아마…

조회수: 170

문 대통령, 거부할 수 없는 터프한 제안을!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7. 6. 13)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1950년 11월30일 “핵무기 사용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아마 이…

조회수: 317

30년 만에 배달된 선물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7. 5. 24)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한 잔 더 하시죠.” 방금 한 잔 했는데 또 재촉이다. 그는 이미 혀가 약간 꼬부라져 있었다. “이런 때…

조회수: 221

두 남자의 위험한 탱고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7. 2. 7)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북핵 문제는 상당 부분 북·미 간 문제다. 북·미 간 타협과 갈등으로 점철된 북핵 문제의 긴 역사가 잘…

조회수: 283

내 나라는 ‘잘 익은 고구마’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7. 1. 18)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한국은 어디에 있는가? 부산 소녀상에 반발해 주한 대사·총영사를 소환한 일본은 한·일 통화스와프 협상을…

조회수: 261

보수신당, 새누리당을 무너뜨려라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12. 28)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드디어 새누리당 탈당파가 개혁보수신당의 깃발을 올렸다. 4당 체제의 시작이다. 누구는 좋다고 한다. 다양한…

조회수: 190

탄핵이 부결된다면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12. 7)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을 피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가 많았는데도 마다한 두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9일…

조회수: 178

박근혜 권력을 어떻게 해체할 것인가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10. 26)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나는 박근혜 대통령이 개헌을 제의하기 직전까지 이런 내용의 칼럼을 쓰고 있었다. 경제는 바닥으로 내려앉고…

조회수: 311

헌법 무죄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10. 4)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정치인·지식인 사이에서 헌법을 바꾸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시민의 개헌 찬성률도 높다. 개헌에 관한 한…

조회수: 139

북핵의 역설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9. 13)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북한이 5차 핵실험을 하던 9월9일 오전 9시(평양시간) 대통령과 외교부 장관은 라오스에, 총리는 세종시에…

조회수: 136

조용한 집권, 꿈도 꾸지 마라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8. 23)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낯선 풍경이었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 반대라는 기존 입장을 과감히 폐기할…

조회수: 163

박근혜는 어떻게 길을 잃었나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8. 2)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핵 문제의 진전 없이 남북관계 발전만을 추구하거나 남북관계의 모든 사안을 핵 문제와 직접 연계하는 것 모두…

조회수: 123

분열하는 세계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7. 12)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우리는 전례 없는 시대를 맞고 있다. 브렉시트가 드러낸 세계적 갈등 구조는 마르크스가 살던 19세기는 물론…

조회수: 120

비핵화라는 이데올로기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6. 21)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박정희가 미국의 한국 안보 공약을 신뢰하지 못해 자주국방을 선언했듯이 중국·소련을 완전히 믿을 수 없었던…

조회수: 132

누가 반기문의 욕망을 키워주었나

(이 칼럼은 경향신문(2016. 6. 1) 칼럼을 전재한 것입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관련한 책을 검색해봤다. <세계의 대통령 반기문> <세계 위인전 WHO…

조회수: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