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년, 휴전을 촉구합니다
2023.02.23. 우크라이나 침공 1년 규탄·휴전 촉구 기자회견 (사진=참여연대) 한국 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년 규탄·휴전 촉구Stop…
2023.02.23. 우크라이나 침공 1년 규탄·휴전 촉구 기자회견 (사진=참여연대) 한국 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년 규탄·휴전 촉구Stop…
한국 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년 규탄·휴전 촉구Stop the War! Ukraine Peace Now! 일시·장소 : 2023.02.23. (…
9.19 군사 합의는 지켜져야 한다 남북 모두 군사적 위협 즉각 중단하고 위기 관리에 나서라전쟁 예방과 한반도 평화 구축은 대통령의 의무‘확전’ 운운하지 말고 무력 충돌 막을…
현재 중미 간 무역전쟁이 한창이다. 미국은 1차로 지난 7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총 500억 달러에 달하는 중국산 수입품에 추징관세를 부과한데 이어, 최근 다시 2,000여억…
편집자 주: 9월21일 세계평화의 날을 맞이하여 미국내 최대 반전평화단체인 ‘Peace Action, 대표 Kevin Martin이 commondreams.org를 통해 한반도…
서울 – 남한과 북한이 한국전쟁의 종전과 한반도 평화체제의 시작을 반드시 자신들만의 힘으로 추진해야 할 이유는 없다. 북한의 단계적 핵 보유능력 포기는 종전이나 평화체제와 같은…
오는 2월 21일(수), 오후 2시~5시,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실에서 “전쟁의 세계화와 한반도 평화”라는 주제로 백년포럼을 개최합니다. 이번 백년포럼에서는 프레시안 박인규…
제재로 핵전쟁을 막을 수 있다고? 최악의 참사를 막는 평화연대 제안 이미현 참여연대 평화국제팀장 "인도적 지원은 대북제재에서 제외되지 않나요?" 벨기에 대표단이…
한반도 안보 딜레마, '쌍중단'이 답이다 한국 외교의 봄은 오려나? 이혜정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지난 여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트럼프 방한 즈음 시민평화행동 Peace Sunday 전쟁반대 평화협상 PEACE NOT WAR 2017년 11월 5일 일요일 오후 2시, 광화문 세종로 공원 출연…
한반도 핵위기, 정부의 대응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북한은 미사일 시험을 계속하고 있고 6차 핵실험을 통해 사실상 완성에 가까운 핵무기 제조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한반도 핵위기, 정부의 대응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북한은 미사일 시험을 계속하고 있고 6차 핵실험을 통해 사실상 완성에 가까운 핵무기 제조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유엔…
양국체제’란 한국(ROK)과 조선(DPRK)이 국제법상 정상국가로 상호 인정하고 수교하여 평화적으로 공존하는 상태를 말한다. 1991년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이후 남북의 국제적…
위기 이후 두 가지 시나리오 북미, 남북 대화 병행해야 서보혁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김정은 정권의 괌 일대 포격 협박과 트럼프 정권의 '분노와 화염…
북한의 예고된 폭주와 충돌, 지켜만 볼 것인가 모든 수단을 활용해 대북 대화 재개해야 이미현 참여연대 평화국제팀장 오랜만에 운전대에 앉았다. 모든 것이 낯설다. 차도…
일상의 위기론, 언제까지 끌고 갈 건가 한반도 4월 위기와 대통령 선거 구갑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예고된, 예측된, 한반도 2017년 4월 위기다. 그러나 대통령…
한반도에 봄이 왔고 벚꽃과 함께 위기도 다시 왔다. 사실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4월 위기는 연례행사가 됐다. 통상 한미 양국은 3월부터 4월까지 키 리졸브, 독수리 등…
유어뉴스와이어, 미 태평양사령관 “오늘밤이라도 북한과 대결 각오하라” – 주일 미군 대상 직접 강조 – 북한 도발 가장 급박한 위협 규정 – 한국군 비상대기태세 유지 한미일…
북한 붕괴? 어쩌면 남북 공멸이다! 북한 엘리트층의 탈북 사태, 체제 변화로 이어질까? 김종욱 동국대학교 객원교수 동아시아의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한국전쟁, 6.25라는 이름이 더욱 익숙한 이 전쟁은 66년의 시간만큼 멀리 떨어진 현재 우리의 삶까지도 크게 바꾸어놓았습니다. 한반도는 남북으로 갈라져 서로를 그리워하는 만큼…
평화가 밥 먹여 주냐고? 폭탄 한 방이면 모두 끝! 평화·통일 정책 사라진 총선 서보혁 코리아연구원 연구위원 솔직히 말하면 다가오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투표할…
한국 경제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우리나라가 가장 많은 수출을 하는 나라가 중국이고, 국내에 들어오는 외국인 관광객 중에서도 중국인이 가장 많다. 이 때문에 한국 내 사드…
대통령은 화만 내는 자리가 아니다 통일 경제의 폐쇄와 흡수 통일의 주술 김종욱 동국대학교 객원교수 남북한 정상의 결단으로 군사적 요충지에 공장과 건물이 들어서면서 '통일…
[성명] 이러다가 전쟁난다. 불안해서 못살겠다. 박근혜 정부는 대북확성기방송 중단하고 대화에 나서라! 남북간의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어제 국방부에서는 북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