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대북제재 페이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대북제재 연속기고 ③] 북한이 양보할 거라고? '제재만…

<div class="xe_content"><p> </p> <h1>북한이 양보할 거라고? '제재만능론'은 틀렸다</h1>…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대북제재 연속기고 ②] 독일 통일의 혼란을 줄인 비결, &amp;apo…

<div class="xe_content"><h1>독일 통일의 혼란을 줄인 비결, '이것' 덕분이었다</h1> <h2>[한반도 평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대북제재 연속기고 ①]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 실상은 이렇다

<div class="xe_content"><h1>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 실상은 이렇다</h1> <h2>[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기자회견] 한반도 상황에 대한 한국 시민사회단체 입장 발표 외신 기자회견

<div class="xe_content"><h1>한반도 상황에 대한 한국 시민사회단체 입장 발표 외신 기자회견</h1> <p> …

[보도자료] 시민사회단체, 유엔 안보리와 1718 위원회에 공개서한 발송

<div class="xe_content"><p><img alt="유엔 안보리 서한 발송" src="http://www.peoplepower21.org…

[기자회견] 유엔 안보리와 국제사회를 향한 한국 시민사회 호소문 발표 기자회견 (3/18)

<div class="xe_content"><p dir="ltr" style="line-height:1.38;margin-top:0pt;margin-bottom:…

웜비어를 둘러싼 미국의 위선

편집자 주: 미국법원은 웜비어 사건으로 북한당국에 50억 달러의 배상금을 부모에게 지불하라고 판결하였다. 다른백년의 견해는 50억 달러를 미 행정부가 대신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웜비어를 둘러싼 미국의 위선

편집자 주: 미국법원은 웜비어 사건으로 북한당국에 50억 달러의 배상금을 부모에게 지불하라고 판결하였다. 다른백년의 견해는 50억 달러를 미 행정부가 대신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대한 실수: 러시아와 체결한 중거리 핵전력조약(INF) 파기계획

편집자 주: 미국은 작년 말 북한이 제6차 핵실험에 이어 대류간 탄도 미사일인 화성 15호를 발사하자, 유엔 사상 유래가 없는 초강경조치로 대북제재를 강요하였다. 이는 사실상…

누가 미국의 한반도 정책을 통제하는가?

북한의 김정은 국방위원장과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 사이의 극적인 교착상태를 두고 이리저리 말들이 많다. 대체로 북미가 신속하게 북한의 비핵화와 경제발전을 위한 방법을 합의해 낼 수…

[공동성명] &apos;최대한의 압박&apos; 정책은 평화로 인도할 외교책이 아니다.…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위한 밴쿠버 여성 포럼  Vancouver Women’s Forum on Peace and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팀 셔록의 워싱턴리포트13] 대북 협상가 수잔 디마지오와의 인터뷰

사실상의 ‘북한 주재 미국 대사’, 수잔 디마지오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국가안보 보좌진이 북한과의 직접 대화를 무시하고 전쟁 위협을 부추기는 상황에서, 뉴욕의 한 싱크탱크 소속…

[팀 셔록의 워싱턴리포트13] 대북 협상가 수잔 디마지오와의 인터뷰

사실상의 ‘북한 주재 미국 대사’, 수잔 디마지오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국가안보 보좌진이 북한과의 직접 대화를 무시하고 전쟁 위협을 부추기는 상황에서, 뉴욕의 한 싱크탱크 소속…

문재인-트럼프 정상회담… 극명한 대조를 보이다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한미 정상회담 과정과 결과를 미국 탐사전문기자 팀 셔록(Tim Shorrock)과 공동 취재해 보도합니다. 팀 셔록…

문재인-트럼프 정상회담… 극명한 대조를 보이다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한미 정상회담 과정과 결과를 미국 탐사전문기자 팀 셔록(Tim Shorrock)과 공동 취재해 보도합니다. 팀 셔록…

문재인 대통령의 워싱턴 방문과 미국 우익의 경계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한미 정상회담 과정과 결과를 미국 탐사전문기자 팀 셔록(Tim Shorrock)과 공동 취재해 보도합니다. 팀 셔록…

문재인 대통령의 워싱턴 방문과 미국 우익의 경계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한미 정상회담 과정과 결과를 미국 탐사전문기자 팀 셔록(Tim Shorrock)과 공동 취재해 보도합니다. 팀 셔록…

러시아 ‘RBC 신문’, 한러 해빙모드, 대북 입장에서 에너지까지 구체적 논의

러시아 ‘RBC 신문’, 한러 해빙모드, 대북 입장에서 에너지까지 구체적 논의 – 푸틴, 6자회담 부활 강조 북한과는 대화로 – 올 9월 동방경제포럼에 문 대통령 초청 – 한국과…

사드 상황 변화가 한미국방장관 발표?

상황이 바뀌면 입장이 바뀌어야 되는게 당연하지 않습니까? 만약에 이런 외교적인 상황이 바뀌었는데도 그 이전의 입장을 고수하는 것이야말로 사실은 더 큰 문제라고 봅니다. 지난…

[논평] 제재만으로 북핵문제 해결 할 수 없다

  제재만으로 북핵 문제 해결할 수 없다 어제(11/30, 현지시각)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지난 9월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응해 북한의 석탄과 광물 수출을…

[이제는 평화] 초유의 김정은 제재, 목적은 체제 붕괴

북한의 핵 위협, 일본의 재무장과 한미일 군사동맹 강화, 중국의 군사력 확충까지 한반도를 둘러싼 국가들의 군비 경쟁과 군사적 긴장은 점점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 불안하고…

북한은행도 모색 폰세카 고객, 국제감시 피해 조세도피처로

북한의 해외 자금 조달 통로로 이용된 북한 금융기관도 파나마 로펌인 모색 폰세카를 통해 조세도피처인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한 사실이 드러났다. 뉴스타파는…

[논평] 추가 독자제재는 해결책이 아니라 자충수

  추가 독자 제재는 해결책이 아니라 자충수 출구 없는 과시용 대북제재 제2의 5.24조치 우려 실효성 없는 제재가 아닌 대화와 협상으로 가야 오늘(3/8) 정부는 북한의…

[논평] 제재와 봉쇄를 넘어 대화와 협상을 재개해야 한다

제재와 봉쇄를 넘어 대화와 협상을 재개해야 한다 대화 없이 제재 일변도로 북핵 해결할 수 없어 군사적 모험주의 버리고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 착수해야 어제(3/2, 현지시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