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노동법 국민이 원한다고?
비정규법 개정안에 대한 노동자 의식조사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6일 비정규직법, 파견법 등 노동 5법을 두고 “국회가 국민이 간절히 바라는 일을 제쳐두고 무슨 정치개혁을 한다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고 18일에는 재벌들을 만나 “핵심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아 속이 타들어가는 심정”이라고 했습니다. 20일 청와대는 여야 지도부 회동에서 “국민이 원하는 법안”이라며 국회를 재차 압박했습니다. 정말 국민과 비정규직 당사자들이 이 법안의 통과를 원하고 있을까요?
올해 3월 360개 노동사회단체로 만든 장그래살리기운동본부는 2015년 12월 14일부터 18일까지 5일 동안 전국의 직장인 9,287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조사를 병행한 설문조사를 벌였습니다. 5일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1만여명의 직장인들이 응답한 것은 ‘박근혜 노동법’에 대한 당사자들의 관심이 얼마나 많은지를 보여준 것입니다.
장그래살리기운동본부는 박근혜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노동5법 중 기간제법과 파견법에 대해서만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1만 명에 달하는 직장인들이 박근혜 노동법의 핵심인 기간제법과 파견법에 대한 의견을 피력했습니다. 이 중에서 몇 명이 박근혜 노동법을 찬성했을까요?
<결과 요약>
- 정부 ․ 여당의 기간제법 기간 연장 개정안에 대해 노동자 97%가 반대함. 정부안을 지지하는 노동자는 3%에 불과.
- 응답자 76%가 기간제한 방식 폐지하고 사유제한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응답함.
- 파견확대 개정 방향에 대해서는 92.9%가 파견을 더 엄격하게 규제하거나 파견법을 폐지해야 한다고 응답함. 정부안을 지지하는 응답은 3.2%에 불과.
- 파견확대는 정규직 일자리를 파견노동을 대체해서 고용을 불안하게 만들 것이라는 응답이 96.9%임.
■ 설문조사 개요
- 조사 주최 : 장그래살리기운동본부
- 조사기간 : 2015. 12. 14.~ 18.
- 조사방식 : 온오프라인 조사 병행
오프라인 : 비정규직노조 설문지 배포 수거(1366명)
온라인 : 온라인 설문양식(구글 독스)을 이용하여 장그래살리기운동본부 및 360개 산하 단체 이메일과 SNS를 통해 참여(7921명)
- 응답자 : 총 9,287명
- 조사 분석 : 한국비정규노동센터
1. 기간제법 개정에 대한 의식조사
○ 정부는 노동자가 원할 경우 기간제 계약기간을 기존 2년에 추가로 2년을 더 연장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기간 연장 개정안에 대해 귀하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이 질문에 대해 응답자 중 97.0%가 반대라고 응답했다. 절대다수는 정부의 개정안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간 연장에 대한 의견 |
빈도(명) |
비율(%) |
찬성 |
281 |
3.0 |
반대 |
8,970 |
97.0 |
합계 |
9,251 |
100.0 |
- 노동조합에 가입된 사람과 가입하지 않은 사람을 구분해서 살펴보면, 정부의 기간 연장안에 대한 반대 비율이 노조원 97.1%, 비노조원 96.3%로 별 차이가 없었다.
구분 |
찬성 |
반대 |
전체 |
|
노조원 |
빈도(명) |
235 |
7,744 |
7,979 |
비율(%) |
2.9 |
97.1 |
100.0 |
|
비노조원 |
빈도(명) |
40 |
1,054 |
1,094 |
비율(%) |
3.7 |
96.3 |
100.0 |
|
전체 |
빈도(명) |
275 |
8,798 |
9,073 |
비율(%) |
3.0 |
97.0 |
100.0 |
-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대(97.2%), 40대(97.5%)가 상대적으로 반대비율이 높은 편이고, 60대 이상(94.2%)이 낮은 편이었다.
- 고용형태별로 살펴보면, 정규직과 비정규직, 직접고용과 간접고용에 구분없이 95.5 ~ 97.5%의 고른 반대의견을 나타냈다.
구분 |
찬성 |
반대 |
전체 |
|
정규직 |
빈도 |
119 |
4,644 |
4,763 |
비율 |
2.5 |
97.5 |
100.0 |
|
무기계약직 |
빈도 |
57 |
1,847 |
1,904 |
비율 |
3.0 |
97.0 |
100.0 |
|
직접고용 비정규직 |
빈도 |
55 |
1,164 |
1,219 |
비율 |
4.5 |
95.5 |
100.0 |
|
간접고용 비정규직 |
빈도 |
40 |
1,272 |
1,312 |
비율 |
3.0 |
97.0 |
100.0 |
|
전체 |
빈도 |
271 |
8,927 |
9,198 |
비율 |
2.9 |
97.1 |
100.0 |
○ 1번 문항에서 “반대”를 선택한 경우, 기간제법을 어떻게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기간 연장에 반대하는 경우 기간제법을 어떻게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해, 현재의 “기간제한 방식”을 폐지하고 기간제 고용에 대한 객관적인 “사용 사유를 제한”하는 방향으로 개정해야 한다는 응답이 76.0%로 가장 높았다. 현재의 기간제한 방식은 기간제 남용을 방지하기에 부적합한 방식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할 수 있다.
기간제법 개정 방향 |
빈도 |
비율 |
기간제한 폐지 후 사유제한 |
7,002 |
76.0 |
사용기간 1년으로 축소 |
1,114 |
12.1 |
현재 적당 |
1,096 |
11.9 |
합계 |
9,212 |
100.0 |
- 기간제법 개정 방향에 대한 의견을 노조원과 비노조원으로 구분해서 파악해보면, 기간제한 방식 폐지 후 사유제한 방식 도입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노조원(75.2%) 보다 비노조원(78.7%)에서 더 높게 나왔다. 노조효과를 배제한 결과를 볼 때, 노동자들이 현재의 사용기간 제한은 기간제 남용을 방지하는데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것을 노동현장에서 피부로 느끼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
기간제한 폐지 후 사유제한 |
사용기간 1년으로 축소 |
현재 적당 |
전체 |
노조원 |
75.2 |
12.3 |
12.5 |
100.0 |
비노조원 |
78.7 |
11.9 |
9.4 |
100.0 |
전체 |
75.6 |
12.3 |
12.1 |
100.0 |
- 기간제한 폐지 후 사유제한을 도입해야 한다는 응답은 60대 이상이 79.2%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현재의 기간제법이 55세 이상 중고령자에게는 무제한의 기간제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에 대해 당사자인 60대 이상 노동자들이 가장 크게 반대 의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분 |
기간제한 폐지 후 사유제한 |
사용기간 1년으로 축소 |
현재 적당 |
전체(%) |
20대 이하 |
74.1 |
13.1 |
12.9 |
100.0 |
30대 |
74.2 |
14.2 |
11.6 |
100.0 |
40대 |
76.8 |
11.7 |
11.5 |
100.0 |
50대 |
76.8 |
10.8 |
12.4 |
100.0 |
60대 이상 |
79.2 |
5.9 |
14.9 |
100.0 |
전체 |
76.1 |
12.1 |
11.9 |
100.0 |
2. 파견법 개정안에 대한 의식 조사
○ 정부는 55세 이상 고령자, 관리직, 제조업 일부에도 파견을 추가로 허용하는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귀하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정부 ․ 여당의 파견 대상 확대 개정안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응답자 92.9%는 파견 확대가 아니라 파견 대상을 더 엄격하게 규제하거나 파견법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정부의 파견확대 추진에 대해 찬성하는 노동자는 3.2%에 불과하다.
파견법 개정 방향 |
빈도(명) |
비율(%) |
규제 강화 및 금지 |
8,586 |
92.9 |
현재가 적절 |
363 |
3.9 |
파견대상 확대 |
298 |
3.2 |
합계 |
9,247 |
100.0 |
- 파견 규제를 강화하거나 파견법을 폐지해야 한다는 응답을 산업별로 살펴보면, 평균 이상의 응답을 한 대표적인 산업으로 건설업(96.6%), 제조업(94.8%), 과학및기술서비스업(96.3%), 운수업(95.6%) 등을 꼽을 수 있다.
○ 파업 허용 업종을 확대하려는 정부 정책이 고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하십니까?
- 정부 ․ 여당의 파견확대 추진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노동자들은 “기존 정규직 일자리마저 점차 파견직으로 대체되어 고용불안이 심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96.9%로 압도적이었다. 파견 확대가 노동시장에서 정규직 일자리를 파견노동으로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파견확대 효과 |
빈도 |
비율 |
고용 불안 심화 |
8,965 |
96.9 |
일자리 증가 |
173 |
1.9 |
별 영향 없음 |
114 |
1.2 |
합계 |
9,252 |
100.0 |
- 파견 확대가 고용불안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응답을 연령대별로 구분해보면, 30대가 가장 높은 97.6%의 응답을 보였고, 40대가 97.3%로 그 뒤를 이었다.
- 고용형태별로 응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파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거나 파견법을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고용형태에 상관없이 91 ~ 93%의 고르게 나왔다.
구분 |
규제 강화 및 금지 |
현재가 적절 |
파견대상 확대 |
전체 |
|
정규직 |
빈도 |
4,446 |
175 |
126 |
4,747 |
비율 |
93.7 |
3.7 |
2.7 |
100.0 |
|
무기계약직 |
빈도 |
1,732 |
99 |
73 |
1,904 |
비율 |
91.0 |
5.2 |
3.8 |
100.0 |
|
직접고용 비정규직 |
빈도 |
1,156 |
33 |
48 |
1,237 |
비율 |
93.5 |
2.7 |
3.9 |
100.0 |
|
간접고용 비정규직 |
빈도 |
1,206 |
51 |
46 |
1,303 |
비율 |
92.6 |
3.9 |
3.5 |
100.0 |
|
전체 |
빈도 |
8,540 |
358 |
293 |
9,191 |
비율 |
92.9 |
3.9 |
3.2 |
1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