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7월 28, 2020 - 19:49
갯벌은 수많은 생명들을 먹여 살린다. 갯벌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생물로 사람과 새가 있다. 특히 지구의 남반구와 북반구를 오가며 살아가는 이동철새들에게 갯벌은 더없이 중요한 삶의 터전이다. 전 세계 120여 종의 도요물떼새 중에서 대략 60여 종이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는 중에 한국의 갯벌을 이용한다. 도요새 중에서 제일 몸집이 큰 종으로 알락꼬리마도요란 놈이 있다. 유명한 가수가 부른 노래 제목에도 등장하는 바로 그 마도요다. 말조개, 말백합, 말냉이처럼 동물이나 식물 이름에 ‘말(馬)’ 자가 들어가면 몸집이 크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이놈은 도요새 중에서 제일 크고 꼬리도 알록달록하다는 뜻이겠다. 큰 몸집만큼 긴 부리가 둥그렇게 구부러져 있어 아주 독특하게 생긴 알락꼬리마도요는 전 세계의 생존개체가 30,000여 마리에 불과해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Red List)에 ‘위기종(EN)’으로 등재되어 있다.1) 필리핀, 호주 등지에서 월동2)하고 유라시아 중북부 툰드라 지대에서 번식하는 알락꼬리마도요를 우리나라에서는 번식지로 올라가는 봄철과 월동지로 내려가는 가을철에 잠깐 볼 수 있다. 이런 새들을 ‘나그네 새’라고 하는데 알락꼬리마도요는 우리나라 갯벌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나그네 새다.
놀라운 것은 이들의 비행능력이다. 호주에서 긴 월동기간을 보낸 이들은 기온이 올라가고 해가 길어지면 본능적으로 이동 시기가 다가왔음을 깨닫게 된다. 인간이 만든 어떤 디지털시계보다 정확하고 섬세한 생체시계가 이들에게 때가 왔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동 시기가 가까워지면 이들은 장거리 비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축적한다. 어떤 놈들은 자기 몸무게의 거의 두 배에 이르는 지방을 저장한다. 출발 직전의 도요새를 만져보면 마치 물풍선처럼 출렁일 정도라고 한다. 언제든지 연소할 수 있는 고효율 연료로 꽉 채워둔 상태인 것이다.
드디어 출발 시간! 대집단을 이루어 출발 준비를 마친 알락꼬리마도요의 비행이 시작된다. 호주에서 태평양을 가로질러 한반도까지의 거리는 대략 8,000Km. 이 먼 거리를 이들은 한 번도 쉬지도, 먹지도, 자지도 않고 논스톱으로 날아온다. 그야말로 고난의 행군이 아닐 수 없다. 혹시 폭풍우라도 만나게 된다면 이들의 여정은 목숨을 건 사투가 된다. 대략 20일이면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에 도착하는데 이때쯤이면 몸무게가 40% 이상 줄어들게 된다. 완전한 탈진상태, 바로 먹이를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지 않으면 죽음에 이를 수도 있는 심각한 상태가 된다. 어떤 조류학자는 “도요새들은 갯벌에 다리보다 부리가 먼저 닿는다”고 우스갯소리를 했는데 그만큼 이들의 상태가 화급하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은 이들에게 완벽한 먹이터와 휴식처를 제공한다. 이들은 우리 갯벌에 보름에서 한 달가량 머물며 휴식을 취하고 에너지를 보충한 뒤 다시 수천 킬로미터를 날아 번식지로 이동한다.
요즘 강화갯벌은 알락꼬리마도요의 울음소리로 요란하다. 번식을 마치고 내려가는 선발대들이 도착하기 시작한 것이다.3) 갯벌 위를 느긋하게 거닐며 긴 부리로 칠게 구멍을 쑤셔대다가 부리 끝에 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구부러진 부리로 요리조리 파 헤쳐 끝내 잡아내고 만다. 작은 게는 한 입에 꿀꺽, 좀 크다 싶으면 다리를 물고 흔들어 다리를 끊어낸 뒤 몸통부터 먹고 디저트로 다리를 주워 먹는다.
2019년 1월 1일, 호주의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WA) 브룸(Broome,) 노던 테러토리(NT) 다윈 항(Darwin Harbour), 퀸즐랜드(QLD) 모레톤 베이(Moreton Bay), 빅토리아(VIC) 웨스턴 포트 만(Western Port Bay)에서 출발한 알락꼬리마도요의 위성추적 데이터.
알락꼬리마도요 한 마리가 대략 10분에 4마리 꼴로 하루 수백 마리의 칠게를 잡아먹는다고 한다. 강화갯벌에는 알락꼬리마도요 외에도 큰뒷부리도요며 중부리도요며 학도요며 알락도요며 좀도요며 민물도요며 검은머리물떼새며 개꿩이며 검은가슴물떼새며 수십 종, 수만 마리의 도요물떼새들이 활보하고 있다. 그야말로 새들의 천국이다. 강화갯벌을 경유하는 도요물떼새 수만 마리가 하루에 수백 마리씩 잡아먹는데도 강화갯벌에는 칠게가 득실거린다. 수만 마리의 새들과 사람을 먹이고도 강화갯벌의 생태계는 끄떡없다는 이야기다. 이 얼마나 놀라운 생명력이고 생산력인가.
만약 우리나라 갯벌이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 더 말할 필요가 있을까? 갯벌에서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하고 휴식하지 못한 채 번식지로 향하는 장거리 비행은 생사를 넘나드는 죽음의 여정이 될 가능성이 크다. 설령 구사일생으로 번식지에 도착한들 제대로 번식이나 할 수 있을까. 영양소가 부족하면 산란율이 떨어지고, 난각의 두께가 얇아져 알 내부로 세균이 침투해 정상적으로 부화하지 못한다. 많은 연구결과들이 알락꼬리마도요의 주된 위협으로 황해 갯벌의 감소를 가리키고 있다. 알락꼬리마도요만이 아니다. 호주에서 매년 11만 마리 이상 관찰되던 붉은어깨도요는 몇 년 사이에 9만 마리가 실종되었다. 새만금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새만금 갯벌에 지천으로 깔려 있던 조개들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개발주의자들이 세계 최대의 간척사업이라며 침을 튀기던 새만금은 세계 최대의 생태계 무덤이 되어 버렸다. 북상 시기에 전 세계 개체 수의 80%가 황해를 이용한다는 연구 결과를 놓고 볼 때, 번식을 앞둔 알락꼬리마도요에게 우리나라 갯벌이 얼마나 중요한 공간일지 짐작이 간다. 그러나 상황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새들마다 사람의 접근을 허용하는 거리가 다르다. 참새나 제비처럼 사람 근처에서 맴도는 새들이 있는가 하면, 뜸부기같은 새들은 사람 그림자만 봐도 숨어 버린다. 알락꼬리마도요는 30~100미터 이내에, 심지어 250미터 이내에 사람이 들어오면 날아가 버린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새들은 한 번 날 때마다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 휴식하거나 먹이를 먹어야 할 시간을 회피 비행을 위해 써버린다면 그만큼 손해다. 이런 일이 반복된다면 영양소 섭취는커녕 안정적인 휴식조차 어렵게 된다.
최근 들어, ‘걷는 길’을 조성하는 게 유행인 듯하다. 제주 올레길이 뜨면서 여기도 나들길, 저기도 둘레길, 다양한 이름의 트래킹 코스를 만들고 있다. 특히 바닷가의 제방에는 이런 걷는 길들이 많다. 강화도에도 ‘강화나들길’이라는 트래킹 코스가 있다. 고즈넉한 들판과 마을을 여유롭게 걸을 수 있는 길들이 도시인들에게 매력인가 보다. 주말이면 많은 사람들이 강화나들길을 걷곤 한다. 난개발보다는 이런 트래킹 코스를 만드는 게 조금 더 생태적인 것 같아 좋긴 하다. 그런데 이 코스 중에 초지진에서 분오리돈대로 이어지는 8코스 이름이 ‘철새 보러 가는 길’이다. 해안도로를 만들면서 철새들을 쫓아냈던 길…, 그나마 시간이 지나고 해안도로 바깥으로 펄이 높아지면서 갯벌 상부에 넓은 염생식물 군락이 형성되기도 해서 새들에게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는 곳이다. 이제는 트래킹 코스를 만들어 휴식하는 철새들을 쫓아내고 있다. 이 길은 태생이 ‘철새 쫓아낸 길’이었고, 지금은 관광객들을 동원해서 ‘철새 쫓아내는 길’로 만들고 있다. 강화도만이 아니다. 전국의 풍광 좋은 해안가 ‘걷는 길’ 중 열에 서넛은 필시 ‘철새 쫓아내는 길’일 것이다.
강화나들길. ‘철새보러 가는 길’ 외에도 강화나들길 코스의 절반 이상이 해안가에 만들어져 있다. 어떤 사람들은 갯벌에서 쉬고 있는 새들을 만나면 환호하며 새들을 날리곤 한다.
‘우잇~ 우잇~ 우히히히히히히이이잇~’ 물이 드는 갯벌가에서 알락꼬리마도요의 소리를 들어본 적 있는가. 물소리, 바람소리를 뚫고 창공에 울러 퍼지는 그 소리에 고단한 순례자의 비애가 묻어나는 건 나만의 감상일까. 한쪽에서는 갯벌을 메우고, 한쪽에서는 갯벌을 복원하고, 한때 갯벌 매립에 앞장섰던 기관이 지금은 갯벌 복원의 기수가 되어 온 나라 갯벌을 다시 건드리고 있다. 어처구니없는 역설이 인간세상에서 펼쳐지는 사이 알락꼬리마도요의 고단한 여정은 계속되고 있다. 지구 순례자 알락꼬리마도요의 위대한 비행은 언제까지 계속될 수 있을까.
매년 30,000km가량을 이동하는 알락꼬리마도요. 이들의 이동선상에 위치한 황해갯벌은 이들의 고단한 여정을 가능케 해주는 생명선과 같은 곳이다.
사람의 간섭만 없다면 갯벌은 새들에게 더할 나위 없는 휴식의 공간이 된다. 사람을 피해 갯벌 안쪽으로 이동한 도요새들은 물이 차오르면 이내 날아올라야 한다. 헤엄칠 수 없기 때문이다. 제발 좀 쉬자!
알락꼬리마도요들이 강화갯벌에서 칠게를 잡아먹고 있다.
1) 21세기 초에는 38,000여 개체가 생존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00마리 미만으로 떨어졌다는 추정치도 있다. 호주에서는 최근 30년간 30~49%씩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와 함께, 가장 중요한 중간기착지인 한국 갯벌의 상황 악화 등으로 머지않아 더 심각한 멸종위기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2015년에는 IUCN 적색목록 ‘VU(취약)’ 등급에서 ‘EN(위기)’ 등급으로 멸종 위험의 등급이 상향 조정되었다.
2) 전 세계 개체의 약 1/4가량이 필리핀,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에서, 나머지 개체들은 대부분 호주에서 월동한다. 소수 개체가 우리나라를 비롯, 일본, 중국 등지에서 겨울을 나기도 한다.
3) 선발대들은 7월부터 호주에서 관찰되며 8월 중순~말까지 최대 무리가 도착하는데, 어미들보다 뒤늦게 번식지에서 출발하는 유조들은 12월 경에 도착하는 경우도 있다.
---
여상경 생태교육허브물새알 협동조합 관리자
강화로 흘러들어와서 어쩌다 새를 보기 시작, 덕분에 심심치 않게 시간 보내며 남은 여생을 준비하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