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녹지·생태 페이지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차 없는 인왕산로는 어디까지 왔을까?

인왕산로 ©김규원 인왕산로는 인왕산을 등산하기 위해 찾은 이들이 반드시 지나야만 하는 도로입니다. 인왕산을 등산하기 위해서는 인왕산로 곳곳에 놓인 건널목을 통해야 하기…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백사실계곡은 어떻게 소모되고 있나

지난달 백사실계곡을 찾았을 때 비가 내렸던 것과는 반대로 해가 정말이지 쨍합니다. 최근 며칠간 서울의 기온은 35도 안팎을 아우르고 있는데요. 7월 16일 오전 10시, 평소보다…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보라매병원 호흡기 전문센터 건립에 따른 대체공원 부지의 정체는?

보라매공원 입구 ©서울환경운동연합 지난 6월 8일, 서남권의 대표적 그린 인프라 보라매공원에 다녀왔었습니다. 공원 안에서 진행되는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해 오랜 시간 공원을…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엔 개구리가 살고 있을까?

서울에는 생태계보호지역이 모두 24곳 있습니다. 종류별로 살펴보면 생태경관보전지역 17개소와 야생생물보호구역 4개소, 철새보호구역 3개소인데요. 그동안 지역의 생태계 보호를 위해…

[가로수 모니터링] 보행환경 개선 공사는 과연 실효적일까?

지난 6월 24일, 신사동 가로수길을 다시 찾았습니다.신사동 가로수길의 실태를 알고 나서 벌써 4번째로 실시하는 모니터링입니다. 가로수길 가는 길 ©서울환경운동연합 신사역…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인왕산로 따라 백사실까지!

아침부터 비가 부슬부슬 내렸습니다만, 오늘 오후 비가 잠잠해진 틈을 타 인왕산로에 다녀왔습니다. ‘차 없는 인왕산로’로 제안한 구간을 활동가들과 둘러보고, 갑작스러운 비로 일정이…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사라져가는 보라매공원 나무들, 이들에게 필요한 건..

우리에게 다양한 생태적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나무. 이런 나무를 가장 쉽게, 또 많이 만날 수 있는 곳은 아마도 공원일겁니다. 지난 6월 8일, 서울환경연합은 서울 서남권에…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차 없는 인왕산로를 시민에게! 인왕산로 차량 제한 시민 서명 전달 기자회견…

인왕산로는 인왕산을 찾은 이들이 반드시 지나야만 하는 도로입니다. 인왕산을 등산하기 위해서는 인왕산로 곳곳에 놓인 건널목을 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많은…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또다시 베어진 인왕산로 아까시 나무, 서울 나무의 위기는 왜 반복되는가?…

지난 5월 20일 서울환경연합으로 한 통의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인왕산로 아까시 나무들을 대상으로 무분별한 가지치기가 자행되고 있다는 것이었는데요. 얘기를 듣고 나니 지난번의 그…

[가로수 모니터링] 5월 모니터링: 보행환경 개선공사에 따라 변해가는 가로수길

걷고 싶은 거리를 만들겠다며, 보행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하겠다며, 보행친화적인 도시를 만들겠다면서 보행친화 요소인 가로수를 베어내는 행정의 태도에 의문이 생겼습니다. 서울환경연합은…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백사실계곡 활동가 모니터링, 신영동에서 부암동까지.

서울환경연합은 지난 2004년부터 백사실계곡을 보호하고 관찰하는 활동을 해왔습니다. 벌써 15년도 더 지난 일이니 자세히는 모르지만, 서울환경연합 홈페이지에서 ‘백사실계곡’이라는…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차 없는 인왕산 길 함께 걷는 날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며 인왕산을 찾는 시민들이 많아지고 있지만, 인왕산로의 보행환경은 안전하지도 쾌적하지도 않습니다. 인왕산을 찾은 시민들이 지나야 하는 ‘인왕산로’가…

[가로수 모니터링] 신사동 가로수길 가로수 모니터링

©서울환경운동연합 지난 3월 2일, 신사동 가로수길로 모니터링을 다녀온 후 가지가 두절되어 도장지가 뻗친 은행나무들의 모습을 전해드렸었습니다.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성균관로 플라타너스의 벌목이 저지되었습니다!

오랜만에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바로 성균관로의 플라타너스 벌목이 저지되었다는 겁니다! 성균관로 플라타너스 이야기 보러 가기 지난 4월 14일, 서울환경연합은 성균관로에 위치한…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성균관로 플라타너스는 왜 베어질 위기에 처했을까?

여러분은 성균관로를 지나보신적 있으신가요? 만약 있으시다면 이 나무를 알고 계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은행나무가 줄지어 가로수길을 이루고 있는 이곳에 혼자서 외롭게 자리를 잡은 이…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인왕산로에서 백사실까지.. 스카이웨이를 따라 걸어봤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평소에는 백사실계곡을 갈 때 신영동까지는 버스를 타고 갔었는데요. 이번에는 사무실에서 인왕산로를 따라 걸어가 보기로 했습니다. 인왕산로에서 북악스카이웨이로…

[생물다양성] 개구리사다리가 필요한 곳을 찾아서.. EP 01 : 월드컵공원 맹꽁이 서식지에 다녀왔습니…

개구리사다리를 아시나요? 백령도에 설치된 개구리사다리©인천환경운동연합 개구리사다리란 이름 그대로 개구리를 위한 사다리입니다. 개구리로 대표되는 양서 파충류가 자력으로 탈출이…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질의 답변 정리: 서울시장 후보자들은 한남공원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앞으로 1년간 서울의 행정을 책임질 시장을 뽑는 선거가 코앞입니다. 지난 4월 2일과 3일, 이틀에 걸쳐 사전투표가 진행되었고 다가오는 7일에는 본 투표가 진행되지요.…

[서명] 차 없는 인왕산로, 함께 만들어요!

서울은 북한산과 관악산, 용마산과 같은 외사산으로 동서남북이 둘러싸인 형태의 도시입니다. 도시 외곽뿐 아니라 중심부에도 안산이나 남산, 인왕산과 같은 다양한 도시자연공원들이…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반환된 한남공원 부지, 오염 조사 신속히 진행해야..

지난해 11월, 21년도 서울시 예산안을 살펴보던 저는 절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본인들이 실시계획인가를 내었음에도, 한남공원 보상 예산이 단 한 푼도 잡혀있지 않았거든요.…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백사실 계곡에 돌아온 봄기운!

지난 3월 17일(수), 한 달 만에 백사실계곡을 찾았습니다. 3월이 된지도 이미 한참이고, 많은 양서류들이 산란을 시작했지만 백사실계곡은 통상적인 양서류 서식지보다 산란이…

[가로수 모니터링] 신사동 가로수길에 은행나무는 안녕할까?

강남구 신사동의 어느 가로수©서울환경운동연합 가로수는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숲들이 그러하듯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신선한 산소를 배출하기도 하고, 거리를…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서울환경연합 5대 환경정책 제안 기자회견 : 품격 있는 생태도시 서울의…

2022년 제8회 지방선거 전까지 약 1년하고도 2개월간 서울을 이끌어갈 시장을 뽑는 보궐선거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얼마 전, 서울환경운동연합은 2020년 12월 30일…

[서울, 이곳만은 지키자] 용산미군기지 온전한 반환을 위한 용산 주민 기자회견

서울환경연합은 지난 10월부터 용산공원의 온전한 조성을 위해 활동하는 시민들의 모임인 ‘온전한 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용산시민회의’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용산시민회의에서는 매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