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확대 요구 반영 못한 2017년 보건복지 예산
의료민영화 관련 예산은 일부 삭감 후 유지하고
국민건강권 보장을 위한 건강보험 국고지원 추가예산 편성 안함
정부안에서 삭감되었던 취약계층 예산은 미미한 수준으로 상향조정
지난 12/2(금) 2017년 예산이 국회에서 통과되었으며, 보건복지부 소관 예산은 정부안 57조 6,798억 원 보다 감액된 57조 6,628억 원으로 확정되었다. 통과된 2017년 보건복지 예산은 정부안에서 대폭 삭감되어 문제되었던 취약계층관련 예산, 장애인 예산 등이 미미한 수준으로 증액 조정되었으나 땜질식 처방 수준이다. 또한 건강보험 국고 지원 예산은 정부안이 법률상 예정된 국고지원에 현저히 미치지 못하는 상태였음에도 추가 편성하지 않고 통과되었다. 또한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던 의료민영화 정책의 일환인 원격의료, 정밀의료, 해외환자유치지원사업 등의 예산은 형식적으로 삭감 조정하고 사업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기초생활보장 중 주거급여 예산은 농어촌 장애인주택 개조 지원을 위한 940백만 원만 상향 조정하였을 뿐 중위소득의 상승과 평균국고보조율의 인상, 기준임대료 인상을 전혀 반영하지 않아 전년대비 대폭 삭감되었다. 의료급여와 양곡할인, 긴급복지지원도 정부안에 비하여 증액 조정하였으나 그 수준이 미비하다. 특히 긴급복지지원은 송파세모녀 사건과 같은 예측과 대응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위기가구를 위한 것으로, 참여연대가 정부안에서 대폭삭감되었던 것을 지적하여 100억 원이 증액되었으나, 전년도보다 낮은 수준이라 대상자의 적극적 발굴과 지원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표 1> 2017년도 보건복지부 기초생활보장 확정예산 (단위 : 백만 원, %)
구분 |
‘16년 예산 (A) |
‘17년 정부안 (B) |
‘17년 확정 |
조정액 (C-B) |
|
(C) |
(C-A) |
||||
생계급여 |
3,389,311 |
3,619,132 |
3,670,232 |
280,921(8.2) |
51,100 |
주거급여 |
1,028,936 |
938,949 |
939,889 |
△89,047(△8.7) |
940 |
양곡할인 |
93,079 |
58,943 |
85,125 |
△7,954(△8.5) |
26,182 |
의료급여 |
4,819,221 |
4,746,764 |
4,799,164 |
△20,057(△0.4) |
52,400 |
긴급복지 |
121,317 |
101,304 |
111,304 |
△10,013(△8.3) |
10,000 |
보육분야를 살펴보면, 국공립어린이집확충 예산은 정부안보다 3,519백만 원을 증액하여 22,370백만 원으로 확정하였으나 이는 16개소만을 추가 편성하여 총 91개소를 확충하겠다는 것으로 150개소 목표에 현저히 미치지 못한 수준이다. 정부는 계속해서 국공립어린이집확충을 하향조정하여 예산을 편성하고 있는데 이는 보육정책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의지가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반면 공공형어린이집에 대한 운영비 예산을 전년대비 14.6% 증액하였는데 정부의 보육 공공책임성을 국공립어린이집이 아닌 공공형어린이집으로 대체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표 2> 2017년도 보건복지부 보육 확정예산 (단위 : 백만 원, %)
구분 |
‘16년 예산 (A) |
‘17년 정부안 (B) |
‘17년 확정 |
조정액 (C-B) |
|
(C) |
(C-A) |
||||
어린이집기능보강 |
6,447 |
5,802 |
6,447 |
- |
645 |
어린이집확충 |
30,234 |
18,851 |
22,370 |
△7,864(△26.0) |
3,519 |
보육사업관리 |
7,822 |
3,201 |
3,301 |
△4,521(△57.8) |
100 |
육아종합지원센터지원 |
11,267 |
5,408 |
9,508 |
△1,759(△15.6) |
4,100 |
공공형어린이집 |
48,730 |
53,769 |
55,827 |
7,097(14.6) |
2,058 |
보육교직원인건비및운영지원 |
816,818 |
860,663 |
901,852 |
85,034(10) |
41,189 |
아동청소년 분야 예산 같은 경우 취약계층아동 등 사례관리 사업은 정부안에서 2016년 대비 10% 삭감했던 것을 전년도와 동일하게 조정하였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지원 예산은 오히려 삭감하였는데 빈곤아동이나 요보호아동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방기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또한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지원 예산은 정부안보다 증액했지만 작년 예산에 미치지 못한다.
<표 3> 2017년도 보건복지부 아동청소년 확정예산 (단위 : 백만 원, %)
구분 |
‘16년 예산 (A) |
‘17년 정부안 (B) |
‘17년 확정 |
조정액 (C-B) |
|
(C) |
(C-A) |
||||
취약계층아동등사례관리 |
66,834 |
60,151 |
66,834 |
- |
6,683 |
아동안전사고예방사업 |
335 |
318 |
338 |
3(0.9) |
20 |
아동발달지원계좌 |
11,217 |
13,054 |
17,304 |
6,087(54.2) |
4,250 |
중앙입양원및입양단체등사후관리지원 |
4,791 |
5,017 |
5,517 |
726(15.1) |
500 |
저소득층기저귀조제분유지원 |
23,010 |
10,000 |
23,000 |
△10 |
13,000 |
지역아동센터지원 |
142,764 |
145,659 |
142,105 |
△659(△0.5) |
△3,554 |
노인분야를 살펴보면, 노인일자리 확대를 위한 예산은 지난해 382,349백만 원에서 443,641백만 원으로 16% 증가한 반면 노인일자리 1개당 지원예산은 912,527원에서 1,015,196원으로 11.2% 증가하는데 그쳤다. 여전히 노인일자리 사업의 기간 확대 및 급여수준의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2017년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예산은 84,940백만 원으로 2016년 예산 79,875백만 원에 비하여 6.3%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인단체지원 예산 중 경로당 냉난방비와 양곡비는 지방정부 예산으로 떠넘겨 정부안에서 전액 삭감했는데 확정예산안에 재편성하는 방식을 매년 반복하고 있다. 정부는 지방정부의 복지확대에 대한 제재는 강화하면서 경로당 운영 예산 등 재정적 부담은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저소득 취약 노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노인장기요양과 양로시설의 시설확충 및 운영지원은 조정 없이 전년대비 삭감하였다. 마지막으로 843개소 요양시설에 원격협진 장비지원을 위한 예산 1,625백만 원은 전혀 삭감하지 않았다.
<표 4> 2017년도 보건복지부 노인 확정예산 (단위 : 백만 원, %)
구분 |
‘16년 예산 (A) |
‘17년 정부안 (B) |
‘17년 확정 |
조정액 (C-B) |
|
(C) |
(C-A) |
||||
노인보호전문기관 |
6,907 |
6,932 |
7,306 |
399(5.8) |
374 |
노인돌봄서비스 |
156,335 |
161,697 |
166,762 |
10,427(6.7) |
5,065 |
장사시설설치 |
32,838 |
28,825 |
31,415 |
△1,423(△4.3) |
2,590 |
노인일자리및사회활동지원 |
403,486 |
440,038 |
466,360 |
62,874(15.6) |
26,322 |
노인단체지원 |
41,104 |
10,942 |
41,387 |
283(0.7) |
30,445 |
보건의료분야를 살펴보면, 건강보험 국고지원은 전혀 조정 되지 않아 정부안대로 법정 국고지원율 20%를 기준으로 일반회계와 국민건강증진기금 합계 2조 185억 원이 부족한 예산이 편성되었다. 이는 저소득층 등 사회적 약자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국가의 책임을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정밀의료사업은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자 했던 것으로 개인의 진료정보, 유전정보, 생활습관 정보 등 건강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개인정보 유출이 빈번하고 민감정보에 속하는 개인질병 정보를 다루는 것의 위험성이 다분하여 우려가 됨에도 예산을 삭감하기는커녕 정부안보다 7배 증액하여 편성하였다. 그뿐만이 아니라 박근혜 정부는 줄기세포 은행 운영 및 표준화기반 구축을 위해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 구축 지원, 글로벌 화장품 육성인프라 구축 지원 사업, 의료시스템수출지원, 해외환자유치지원 등을 추진했는데 사업의 정당성과 합리성에 대한 평가도 없이 정부안보다 증액 편성하였다. 반면 외국인근로자 등 의료지원 사업은 정부안에서 2016년 대비 약 40% 삭감하였다가, 작년과 동일한 금액으로 조정하였다.
<표 5> 2017년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확정예산 (단위 : 백만 원, %)
구분 |
‘16년 예산 (A) |
‘17년 정부안 (B) |
‘17년 확정 |
조정액 (C-B) |
|
(C) |
(C-A) |
||||
의료시스템수출지원 (중남미지사신설) |
9,186 |
11,930 |
11,630 |
2,444(26.6) |
342 |
해외환자유치지원 (보건산업진흥원 중남미지사신설) |
8,613 |
16,710 |
16,368 |
7,755(90.0) |
△342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R&D)(줄기세포은행운영및표준화기반구축) |
12,417 |
10,959 |
11,959 |
∆458(∆3.7) |
1,000 |
글로벌화장품육성인프라구축 |
12,652 |
8,509 |
10,009 |
∆2,643(∆20.8) |
1,500 |
해외환자유치지원 (K-medical 통합연수원센터건립) |
8,613 |
16,710 |
19,910 |
11,297(131.1) |
3,200 |
국가전략프로젝트(R&D)(정밀의료) |
- |
500 |
3,478 |
순증 |
2,978 |
외국인근로자등의료지원 |
2,100 |
1,690 |
2,100 |
- |
410 |
보건의료빅데이터플랫폼구축사업 |
- |
2,000 |
△2,000 |
- |
△2,000 |
의료시스템수출지원(ICT기반의료시스템진출모델개발) |
9,186 |
11,930 |
11,630 |
2,444(26.6) |
△300 |
의료및분만취약지지원 |
6,393 |
13,659 |
13,313 |
6,920(108.2) |
△346 |
국민건강증진기금은 본래 국민의 건강권 강화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나 일반회계 성격 자금으로 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원격의료 사업은 박근혜 정부가 대표적으로 적극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그러나 원격의료는 오진과 개인질병유출의 위험성이 커 국민 및 의료계의 우려가 높다. 그런데도 예산을 전액 삭감하지 않고 감액 조정하여 전년도대비 약 42% 높은 금액을 책정하였다. 또한 IT융합산업육성사업은 전년도 대비 200% 이상 증액하였는데 해당 사업에 대한 평가가 명확하지 않은데도 조정하지 않았다. 반면 국가금연지원서비스는 1,200백만 원을 삭감하였다.
<표 6> 2017년도 국민건강증진기금 확정예산 (단위 : 백만 원, %)
구분 |
‘16년 예산 (A) |
‘17년 정부안 (B) |
‘17년 확정안 |
조정액 (C-B) |
|
(C) |
(C-A) |
||||
원격의료제도화기반구축 |
1,055 |
2,572 |
1,495 |
440(41.7) |
△1,077 |
국가금연지원서비스 |
137,309 |
147,987 |
146,787 |
9,478(6.9) |
△1,200 |
장애인연금과 장애수당은 정부안에서 전년대비 삭감하였던 것을 전년도 수준과 비슷하게 증액하였다. 그러나 장애빈곤율은 전체가구 빈곤율의 2배라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예산 편성이라 할 수 있다.
<표 7> 2017년도 보건복지부 장애인 확정예산 (단위 : 백만 원, %)
구분 |
‘16년 예산 (A) |
‘17년 정부안 (B) |
‘17년 확정안 |
조정액 (C-B) |
|
(C) |
(C-A) |
||||
장애인연금 |
558,457 |
554,967 |
559,967 |
1,510(0.3) |
5,000 |
장애수당(기초) |
77,582 |
73,602 |
78,102 |
520(0.7) |
4,500 |
장애인활동지원 |
522,070 |
516,486 |
546,137 |
24,067(4.6) |
29,651 |
발달장애인지원 |
9,446 |
8,567 |
9,081 |
△365(△3.9) |
514 |
장애인일자리지원 |
70,725 |
67,556 |
81,365 |
10,640(15.0) |
13,809 |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 |
5,279 |
5,015 |
5,279 |
- |
264 |
장애인차별금지모니터링및인식개선 |
1,323 |
1,971 |
2,071 |
748(56.5) |
100 |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 |
18,477 |
18,209 |
18,709 |
232(1.2) |
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