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현황 및 문제점

(단위 : 백만원, %)

사업명

2015

결산

2016년 예산

2017

증감

(B-A)

 

본예산

추경(A)

요구안

조정안(B)

(B-A)/A

장병복무적응지원

12,537

15,826

15,826

17,810

18,017

2,191

13.8


o 해당 사업은 군에 입대한 장병들 중 군생활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사고가 발생한 장병들을 보호하고, 부대에 복귀시키기 위해 마련된 사업임.


o 낮은 복귀율, 높은 재입소강제전역 비율

- 그러나 실제로 굉장히 낮은 복귀율로 나타나고 있으며, 실제 입소자 중, 25%의 장병들이 현역복무부적합 판정을 받아 강제 전역 당하고 있으며, 22%의 장병들이 1차 입소 후 여전히 부대에 적응하지 못해 재입소하고 있음.

- 특히, 현역복무부적합 비율은 매년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1차 치유 후 자대복귀 비율은 반대로 계속해서 낮아지고 있음.


구 분

총 입소인원

치유후 자대복귀

재입소 후

자대복귀

병역심사대

입소

‘12

2,582

1,822

(70.6%)

343

(13.3%)

417

(16.2%)

‘13

2,657

1,675

(63.1%)

467

(17.6%)

515

(19.4%)

‘14

3,132

1,511

(48.3%)

795

(25.4%)

826

(26.4%)

‘15

3,371

1,536

(45.6%)

911

(27.0%)

924

(27.4%)

‘16

(5.31.기준)

1,544

622

(40.3%)

381

(24.7%)

541

(35.0%)

병역심사대 입소자 중 95%는 현역복무부적합 판정, 병역 전환됨.

 

o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에게 초점을 맞춘 적응 지원

- 실제 군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문제는 경직된 계급 문화와,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관리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인권침해

- 하지만 군의 복무적응지원은 피해자를 문제 있는 장병으로 낙인찍고, 이들에게만 제대로 생활할 것을 강요.

- 그린캠프내에서 행해지는 지원사업도 상담웃음음악미술치료 등, 피해자의 일시적인 정신안정을 목표로 하고, 부대로 복귀한 피해자는 2차 피해를 받게 됨.

- 만일, 현역복무부적합 판정을 받을시 사회진출 이후에도 현역복무부적합이라는 일종의 낙인이 찍힌 채 계속 생활하게 됨.


o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자질 문제

- 병영생활전문 상담관은 고용구조 상 군 지휘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상담내용 및 개인 정보가 해당 지휘관과 부대에 노출됨.

- ’15년 공군 1비행단에서 벌어졌던 가혹행위 재판(1)에서 상담관이 내담자였던 장병의 개인사를 폭로하고, 이를 통해 재판에서 군부대의 무죄를 주장함.

- 상담관 확대 예산이 가장 큰 규모로 확대됨(13,450 15,858백만원(2,408백만원))

상담관 확대 : ’16369(여단급) ’17406(연대급)

상담관 인건비 공통처우개선 4.5%인상, 복리후생비 증액(30만원 40만원) 반영


사업 철회 및 타기관으로 이양

o 국방부는 자체 프로그램을 통해, 피해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보다 관리하에서 통제하고자 함. 특히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이 지휘관을 위해 충성하고, 상담자를 우선하지 않는 상황은 절대적으로 심각한 상황임.

o 민간 또는 타기관으로 사업 이양하여 피해자 회복과 동시에 가해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사업 재설계 필요.

- 현재 운용중인 법무부 산하 스마일센터’, 여성가족부 산하 해바라기 센터와 같은 군피해자 전문 지원시설 설치 필요.




alt="저작자 표시" style="width:15px;height:15p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