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

 

우리들 참, 딸기딸기하죠?

“사진 한 장 찍읍시다!” 이근혁 생산자의 전화 한 통에 한달음에 달려온 정효진, 서짐미 부부. 딸기밭에 나란히 선두 부부는 온통 딸기 얘기뿐이다. 카메라 앞이 쑥스러워 자세가 영 어색한 두 남편과 잘 좀 해보라며 핀잔주는 두아내, 부부끼리도 서로 닮았다. 농사와 삶의 뜻이 같은 다섯 농가가 모여 참벗공동체(작목반)를 만든 이래 말 그대로 참벗처럼 속살까지 다 아는 가까운 벗이 된 지 18년째다. 이근혁 생산자에게 정효진 생산자는 딸기 농사를 가르쳐준 선배고, 정효진 생산자에게 이근혁 생산자는 믿음직스러운 동지다. 10년 나이차는 무색하기만 하다. 서짐미, 김은심 생산자는 겨울이면함께 김장을 담그고, 토박이씨앗살림운동을 하며, 봄엔 같이 씨를 뿌린다. “매일같이 얼굴 보니 서로 의지가 많이 돼요.” 친환경딸기가 시간 지나며 제 본성을 찾아간다는 정효진 생산자 말처럼 참벗공동체도 이곳에서 ‘함께 더불어 사는’ 사람 본성을 되찾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사람들 사는 모습이, 참 다디달다.

글·사진 문하나 편집부

 

참벗공동체 (3)

이근혁·김은심·정효진·서짐미 부여연합회 참벗공동체 생산자 부부

 

오랜 기다림의 끝,
새콤달콤한 봄을 가득 껴안은

한살림 딸기

2면_상단 (1)

 

친환경이라 더 어려운 딸기 농사

찬바람 부는 바깥 날씨와 달리 딸기하우스 안 공기는 훈훈함이 맴돈다. 코로 스미는 달콤한 딸기향에 길고양이의 나른한 울음소리까지 더해지니, 난데없이 졸음이 밀려든다. 이근혁 생산자가 마침 똑 따서 건넨 큼지막한 딸기 하나. 입에 밀어 넣자마자 낯선 손님의 몽롱함을 깨워 주려는 듯 입 안 가득 과즙이 흘러넘친다.

“딸기는 이렇게 밭에서 갓 따 먹는 게 가장 맛있죠. 딸기 맛은 하루마다 다르고, 시간마다 달라요. 신기하고, 또 어렵죠.”

딸기는 선선한 기후를 좋아하는 여러해살이 열매채소로 비타민 C가 많고 섬유질 성분이 소화를 잘 되도록 돕는다. 굳이 딸기의 기특한 영양성분을 밝히지 않고도 딸기는 그 맛 하나로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다.

딸기는 입에 넣자마자 눈 녹듯 사라져버리지만, 한 알 한 알 빨갛게 물이 올라 달콤한 맛이 밸 때까지, 농부는 장장 18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이근혁 생산자 말에 따르면, 친환경 딸기 농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50%가 육묘, 50%가 방제다.

육묘란 딸기를 수확할 수 있는 어린 묘를 밭에 옮겨 심을 때까지 따로 키우는 것을 말한다. 11월 초 어미묘를 땅에 심으면, 겨울을 지나 이듬해 2월 무렵 이 어미묘로부터 ‘런너(Runner)’라고 하는, 새로운 어린 묘들이 뻗어 나간다. 이 런너들을 하나하나 선별해 여름 내내 귀하게 돌본 뒤 다시 9월 밭에 심으면 12월 중순부터 오매불망 기다리던 딸기를 만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다른 딸기묘를 구입할 수도 있지만, 그럴 경우 모종 하나에 병이 생기면 손 쓸 방법 없이 밭 전체에 병이 퍼지기 때문에 한살림 딸기 농가들은 대부분 직접 모종을 기른다. 딸기 농사를 좌우하는 또 다른 숙제는 병충해인데, 자가육묘부터 일체의 화학방제 없이 친환경 자재나 천적을 이용한다. 딸기 맛의 근간이 될 뿌리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석유를 쓰는 가온재배 대신 물을 이용한 수막으로 온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올해는 이상기후 때문에 응애벌레가 한 달은 빨리 왔어요. 생산성도 떨어지고, 품위에도 영향을 주죠. 친환경 약재로는 소용이 없어 막막해요. 날씨가 이러니 갈수록 친환경 농사가 어려워요. 평년에 비해 수확량이 한 70퍼센트로 떨어졌어요. 농부들 걱정이 많아요.”

NO4A0165

이근혁 생산자의 육묘장에서 자라고 있는 딸기런너

 

한살림 농부들이 더 많아져야죠

한살림 딸기 생산자들의 하루는 동트기 서너 시간 전 일찌감치 시작된다.새벽에 딴 딸기가 해 뜬 뒤 따는 딸기보다 맛이 좋고 신선도가 높기 때문이다. 오전 10시 경이면, 부여연합회 소부리영농조합 생산자들이 새벽부터딴 딸기들을 차에 싣고 속속 물류센터로 도착한다. “어이구, 자네 오늘 많이땄네.” “그 집 딸기는 알도 커.” 물류센터에서 만난 생산자들 사이에 부러움섞인 대화들이 오간다.

정효진, 서짐미 부부는 이날 소부리영농조합 물류센터로 딸기를 갖고 온 생산자들 중 두 번째로 많은 양을 냈다.한살림과 인연이 돼 친환경 농법으로딸기를 수확한지 8년째지만, 관행농사를 지을 때부터 친환경 농사만이 농업의 마지막 남은 희망이라 여겼다고.

“친환경 농사가 확실히 힘은 들어요.한 번 손 갈 거 서너 번 가니까. 풀 메고 돌아서면 또 풀이고, 수확량은 적고… 그래도 좋은 건 일단 나쁜 약을쓰지 않으니까 내 몸이 건강해져요. 이런 말해도 되나? 술이 잘 받아요, 술이…” 가만히 더 생각하던 정효진 생산자가 다시 말을 잇는다. “친환경 딸기 농사를 짓다 보면 딸기가 제 성질을찾아가는 느낌이에요. 단맛만 나는 게아니라 원래 새콤달콤해야 하거든요.우리 딸기가 그래요.”

정효진, 서짐미 부부와 이근혁, 김은심 부부는 2010년 부여연합회 참벗공동체를 직접 만들었다. 참벗공동체의모태가 된 참벗작목반까지 합하면 햇수로 18년째 인연이다. 농민회에서 처음 연이 닿았고, 농사와 삶의 문제를 고민하며 서로를 ‘동지’라 부르는 막역한 사이가 됐다. 하우스를 같이 정비하고, 트랙터 같은 농기계를 공동 소유하며 함께 짓는 농사가 더없이 편하고 즐거웠다고 그들은 말한다.

 

아이

이근혁·김은심 생산자의 맏딸, 이조은. 포트에 흙을 담아 편편하게하는 작업중이다.

 

이근혁, 김은심 부부가 처음 친환경 딸기농사를 시작한 계기 역시 정효진 생산자가 마을의 주인 잃은 딸기밭을 소개한 인연 덕분이었다. 두 부부 외에도 마음 맞는 다섯 농가가 의기투합해 만든 참벗공동체는 올해 가입을 앞둔 새내기 농가까지 합해 열여덟 농가로 늘었다.

“우린 새 농가가 들어오면, 기존에 갖고 있던 딸기비닐하우스 한 동을 그냥 내줘요. 처음엔 손해라 생각할 수 있고, 공동체 안에서 이견이 있기도 하지만, 저는 한살림 농사를 짓는 생산자가 더 많아졌으면 해요. 한살림은 생산자들이 농사를 지으면서 생활을 계획할 수 있게 해줘요. 그게 가장 장점이죠.”

 

NO4A9401

김은심 부여연합회 참벗공동체 생산자

 

참벗공동체는 앞으로 소비자조합원, 그리고 활동가들과 만날 수 있는 도농교류 활동을 점점 늘려가려고 한다. 자매결연을 맺은 한살림서울 경인지부 부천지구 소비자조합원들과 작년 처음 시작한 김장담그기 행사도 매년 이어갈 계획이라고. “서로 얼굴 보니 참 좋더라고요. 생활이 넉넉해서 한살림 조합원 하시는 게 아니라, ‘한살림 생산자는 소비자의 생명을, 소비자는 생산자의 생활을 책임진다’는 그런 마음을 우리가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는 걸 느꼈어요.”

 

NO4A0175

이맘때면 2~3일 꼴로 딸기를 수확할 수 있다. 다시 3일 뒤 빨갛게 여문 딸기를 바구니 안에 한가득 담을 수 있을 것이다.

 

글·사진 문하나 편집부

160229-한살림연합-소식지-546호-(고해상-1-28-펼침면)-2

 

한살림딸기 장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