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비두드리기 챌린지.pnghttps://www.peoplepower21.org/files/attach/images/37219/324/808/001/babc... style="vertical-align:middle;color:rgb(102,102,102);font-family:'나눔고딕', NanumGothic, ng;text-align:justify;background-color:rgb(255,255,255);" />

 

 

끝나지 않은 미얀마 시민들의 항쟁,

‘8888 공동행동’으로 한국시민사회의 연대를 이어나갑시다!

 

쿠데타 이후 지금까지 미얀마의 6개월은 학살과 탄압으로 점철돼 있습니다. 미얀마 정치범지원협회에 따르면 7월 26일 기준 군‧경의 총칼에 목숨을 잃은 시민은 934명입니다. 체포된 6,913명의 시민들 중 65명에게는 사형 선고가 내려졌습니다. 민주주의를 열망하고 평범한 일상으로의 복귀를 바랬다는 이유만으로 1천 명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최근 군부의 잔혹한 시위 진압과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미얀마 항쟁의 파고는 잦아든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도심에서의 항쟁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고, 언론에 보도되는 미얀마 소식 역시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뉴스에서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항쟁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도시의 심야 거리에서, 깊은 산 마을에서, 일터에서, 심지어 민주화 시위로 많은 시민들이 수감된 교도소 안에서도 함성은 여전히 울리고 있습니다.

 

한국 시민사회단체들과 노동조합, 다양한 지역 풀뿌리 단체들과 종교 단체들은 멀리 미얀마에서 들려오는 참극에 함께 슬퍼하고 분노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연대해왔습니다. 지역별 네트워크도 구성하고, 종교 단체들은 기도를 열기도 했습니다. 부산과 울산, 거제, 창원, 김해, 전주, 대전, 서울 등에서는 지역 운동과 미얀마 출신 이주노동자·유학생이 주말마다 모여 미얀마에서의 학살을 중단하라고 외쳤습니다. 크고 작은 모임과 학교에서도 모금 활동이나 사진전, 미얀마인들과의 대화를 통해 항쟁에 연대하고자 힘썼습니다.

 

1988년 미얀마에서는 8888 민주 항쟁이 일어났습니다. 백만 명의 민중이 군부 독재 종식을 촉구했지만, 군부는 3천 명을 학살하며 독재를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이 항쟁은 오늘까지 지속된 미얀마 민주화 운동의 뿌리이기도 합니다.

 

오는 8월 8일 일요일, 전국 각지에서 8888 공동행동을 제안합니다. 고통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있는 미얀마 사람들에게 한국 시민사회가 함께 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합시다. 해결되지 않고 있는 오랜 싸움에 연대함으로써, 파괴되고 있는 민주주의와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지킵시다.

 

8888 공동행동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심화된 조건 속에서, 지역별 방역 지침에 맞게 진행될 예정입니다. 거리두기 2~3단계로 지정된 지역에서는 99명 또는 49명까지 옥외 집회가 가능하니 기존에 하던 집회를 진행하고, 4단계 지역(수도권 등)에서는 여러 장소에서 1인 집회를 열고자 합니다. 미얀마 대사관과 무관부 앞만이 아니라, 미얀마 군부와의 관계를 여전히 단절하지 않고 군부와 가스전 사업 이윤을 나누고 있는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한국가스공사 앞으로도 찾아갈 것입니다. 또, 국민연금처럼 기관 투자기관들도 항의의 대상입니다.

 

8월 8일의 공동행동은 오프라인 집회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냄비두드리기 온라인 행동을 통해 #WithMyanmar #SaveMyanmar #힘내라미얀마 #8888함께해요 해시태그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8월 8일 당일 저녁 8시에는 줌 온라인에 접속해 함께 8888보를 걷는 연대 행동도 개최할 예정입니다.

 


 

[온라인 행동] 냄비 두드리기

  • ‘냄비 두드리기’ 퍼포먼스와 함께 짧은 구호를 외치는 모습을 짧은 영상으로 촬영.
  •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 등)에 #WithMyanmar #SaveMyanmar #힘내라미얀마 #8888함께해요 등 해시태그 추가해 업로드
  • 릴레이를 이어갈 세 사람 지목

* 이 캠페인은 8888공동행동을 알리기 위한 취지로 기획되었습니다. 8월 8일, 전국 곳곳에서 시민행동이 열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