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7일(수), 한 달 만에 백사실계곡을 찾았습니다. 3월이 된지도 이미 한참이고, 많은 양서류들이 산란을 시작했지만 백사실계곡은 통상적인 양서류 서식지보다 산란이 늦는 편이었습니다. 과연 산란을 시작했을지 고민하며 백사실계곡 현통사쪽 진입로로 들어섰는데요.


©서울환경운동연합

이게 뭐람. 갑자기 진입로 정비 공사를 하고 있다네요.
우회로를 표시해놨길래 봤는데 봐도 잘 모르겠더군요.
이 약도는 아마도 양서류들이 산란철을 맞아 예민하니
굳이 찾아오지 말고 좀 돌아가라~
하는 뜻을 담은 게 아닐까 싶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가까이 와서 보니 노후화된 진입로를 보수한다고 적혀있군요.
노후화된 진입로라.. 제 기억엔 노후화된 진입로가 없는데 말이죠.


©서울환경운동연합

장비들이 쌓여있는 것을 보니 어떻게 공사하려는 건지 대충 견적이 나옵니다.
공원에서 많이들 하는 나무 데크를 깔려는 것 같네요.


©서울환경운동연합

야자 매트나 나무로 된 데크나 자연물이 소재다 보니 환경에 좋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신 것 같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서울에 야자나무가 자라나는 곳이 있나요..?
나무와 철근으로 만들어진 다리 같은 길이 원래부터 깔려진 곳은 또 있나요?
아무리 좋은 소재여도 자연 생태계에서는 이질적인 것이 될 수 있습니다.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불과 한 달 전 백사실계곡의 모습입니다.
제가 기억하기론 저 철로 된 펜스도 지난해 11월경 보수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저런 식으로 진입로를 만들고,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 무조건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생태경관보전지역임에도 보전 지역에 걸맞는 관리를 하지 않으니 답답하고.. 그럴 뿐입니다.

단풍나무처럼 식생과 상관없는 조경수를 식재하더니,
이제는 완전히 생태공원처럼 만들려고 마음을 먹은 것 같아서 좋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불과 한 달 전만 해도 듬성듬성 얼음이 남아있었는데
이제 겨울의 흔적은 더 이상 남아있지 않네요.


©서울환경운동연합

얼음이 녹아내리고, 수위가 높아진 백사실계곡의 모습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계곡에 들어서자마자 거의 바로, 계곡산개구리 알을 찾았습니다.
계곡산개구리는 백사실계곡에서 살아가는 대표적인 양서류 중 하나입니다.
물이 느리게 흐르는 계곡가에 알을 낳곤 합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물 위로 떠오른 이 알은 산개구리의 알로 보이네요.


©서울환경운동연합

빛 때문에 사진이 흐리게 나왔지만 도롱뇽 난괴도 보입니다!
올해는 전반적으로 산란이 빠르군요~


©서울환경운동연합

대부분의 도롱뇽들은 계곡의 바닥이나 바위, 낙엽 등에 붙여서 알을 낳는데요.
마땅히 붙일 곳이 없으면 바닥에 낳기도 합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계곡 안쪽에 나무가 꽤나 무성해진 모습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산개구리들이 알을 많이 낳았네요!
계곡산개구리알과 산개구리알의 차이는 보통 알 안에 검은 부분의 크기,
그리고 알이 뜨거나 가라앉는지, 혹은 바닥에 붙는지 등으로 구별됩니다.
표면 위로 떠있는 것을 보면 산개구리 알인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계곡을 거슬러 올라가다 보니 어느덧 별서터가 가까워졌음이 느껴집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별서터에 다다라서 지나온 길을 돌아봤습니다.
여기까지 오면 반은 왔다는 뜻입니다.
밝아 보이지만 이때가 한 5시 20분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너무 어두워지기 전에 모니터링을 마칠 수 있도록 하려면 꽤나 서둘러야겠더군요.


©서울환경운동연합

별서터 연못은 여전히 말라붙어 있습니다.
장마철이 찾아와 물이 고이기 시작하면 무당개구리들이 알을 낳는 곳이죠.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방시설을 따라 상류로 올라가는 길, 무너졌던 사방시설이 눈에 띕니다.
무너져 내린 것을 보고 종로구청에 제보했었는데, 직원들이 직접 손으로 다시 쌓았다고 들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계곡 상류 쪽으로 오니 물살이 빨라져서인지 아래쪽보다 산란의 흔적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그래도 드문드문 도롱뇽 알과 산개구리알을 볼 수 있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전과 마찬가지로 산개구리 알인 듯 보입니다.
산개구리들은 이렇게 무리 지어서 알을 낳아놓는 편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능금마을 입구까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입니다.
보통 때에는 백사실 지킴이 분들이 계실 때인데,
올해는 어찌 된 일인지 보이지 않습니다.
코로나의 영향일까요?


©서울환경운동연합

능금마을 쪽에 넘어온 후로 물길이 좁아졌지만, 군데군데 물이 고인 곳에서 산개구리와 계곡산개구리의 산란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위쪽에선 도롱뇽은 안 보이더군요.


©서울환경운동연합

서울환경연합은 백사실계곡을 비롯하여 서울지역의 생태계보호지역의 지속 가능한 보호/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조만간 또 다른 생태계보호지역에 대한 소식 전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