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환경운동연합

갑작스레 찾아온 한파가 막바지에 달했던 18일(목), 서울환경연합은 인왕산에 위치한 양서류 서식지인 누상동 계곡과 수성동 계곡 그리고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지역에 다녀왔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누상동에 위치한 양서류 서식지를 찾아 올라가는 길입니다. 목적지에 거의 다 와가는데 주거시설과 체육시설 등이 눈에 띕니다. 이런 특성 때문인지 자치구 등에서 따로 조성한 인공서식지가 아님에도 지역 주민들의 왕래가 꽤나 있는 편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시국도 시국이거니와 날이 꽤 쌀쌀했기에 아무도 없을 줄 알았는데, 누군가 나와있었습니다. 저는 생물 서식지를 관찰할 때는 최대한 다른 시민들의 눈에 띄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처음에는 보호종이 서식하는 것이 알려지면 여러 방면에서 보호 활동이 더 용이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더라고요..


©서울환경운동연합

사진상에서도 보이다시피 서식지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나뭇가지로 진입로를 막아놓은 모습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그러나 이것보다 강력한 방안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넘어가기 너무 쉬워 보이지 않나요..


©서울환경운동연합

슬프게도 서식지에 고인 물이 전부 얼어있었습니다. 사실 이날 인왕산 누상동 계곡을 방문한 가장 큰 이유는 이미 온라인을 통해 누상동 계곡에 도롱뇽의 산란 소식을 접했었기 때문입니다. 지난 1월 기온이 따듯해지자 겨울잠에서 깨어난 도롱뇽들이 나와 산란을 한 것이었겠죠. 그러나 다시금 한파가 찾아왔고 물이 얼어붙어버렸습니다. 기후 때문에 양서류들이 멸종될 위기에 처한 단편적 원인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개구리와 도롱뇽이 살아가는 소생물서식공간임을 알리는 표지판이 보이고 뒤로는 웬 파이프 같은 것이 눈에 띕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이것의 정체는 상부 군부대에서 내려오는 하수관입니다. 겨울철이면 하수관이 동파되어 파손되는 일이 주기적으로 발생했었습니다. 군부대에서 내려온 생활하수가 1급수 지표종인 도롱뇽 서식지에 유입되는 있어서는 안 될 일이 지속적으로 벌어졌던 겁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서울환경연합도, 누상동 소생물서식공간을 찾는 지역의 주민들도 이런 하수관에 대한 우려를 계속 표해왔었기에 저런 철판으로 하수관을 감싸놓게 된 것입니다. 군부대를 이전하거나, 하수관 자체를 없애는 게 소생물서식공간에는 가장 바람직한 일이겠지만, 서울에서 보호종을 대하는 취급이 썩 좋지 않은 것을 생각하면 이 정도 대안을 마련했다는 것만으로도 만족해야 할 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이후 고개를 몇 개 넘어 수성동 계곡으로 넘어왔습니다. 마찬가지로 하류 부근은 물길이 얼어붙은 것이 눈에 띕니다. 그리고 까치 한 마리가 얼음 밑에 먹을 것이라도 있는 양 부리로 얼음을 쪼아대고 있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수성동 계곡의 최상단, 청계천 발원지까지 올라와서 주변을 살펴봤습니다. 사진 상의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누상동과 마찬가지로 군사시설이 등장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서울의 산에는 군부대가 참 많아요.


©서울환경운동연합

발원지의 경우 계속 어디선가 물이 유입되고 있어서인지 물이 조금씩이나마 흐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버들치 몇 마리가 돌아다니는 모습은 보이나 누상동과는 달리 이곳엔 양서류의 산란 소식은 없는 듯 보였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그렇게 인왕산의 두 양서류 서식지를 뒤로하고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이동했습니다. 지난번 방문과 마찬가지로 아직은 물이 얼어붙어있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현통사를 지나 홍제천으로 빠져나가는 지점은 완전히 꽝꽝 얼어있었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지난해 가을쯤 들어서면서부터 백사실계곡에 대대적인 리뉴얼(?)이 있었습니다. 산책로를 정비하고, 몇 가지 수종을 식재하는 등 꽤나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은색 철기둥(?)같은 것들도 그때 다시 정비된 시설 중 하나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정비된 산책로를 따라 계속 걸어가다 보면


©서울환경운동연합

요런 표지판이 나옵니다. 약 17년 전에는 도롱뇽 난괴 수만 개가 발견됐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수십 개 발견하는 것도 쉽지는 않은 실정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새롭게 정비한 목책(?)을 따라 계속 올라갑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그럼 지난가을 새로 심어놓은 단풍나무가 나옵니다. 이건 진짜 좀 너무하다 싶은 게,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지정 척도에서 경관이 중요한 것 중 하나인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원래의 경관을 인위적으로 바꾸는 게 필요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더군다나 단풍나무는 백사실계곡의 생태계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수종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장마철이면 물이 가득 고여 무당개구리가 산란하던 별서터 연못도 물이 빠져있습니다. 계곡과 물길이 이어져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비가 오지 않는 이상 물이 고이지 않는 이 연못의 특성상, 물이 가득 찬 모습을 보는 건 쉽지 않은 일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다시 상류를 향해 올라가려는데 이곳에도 단풍나무가 심어져 있는 게 눈에 띕니다.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생태계를 보전하는 것에 대한 행정의 눈높이가 어느 정도인지 능히 알 수 있네요.


©서울환경운동연합

상류부로 올라오니 어디선가 물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여전히 눈과 얼음밖에는 보이지 않는데 말이죠.


©서울환경운동연합

경작지를 넘어 능금마을로 향하는 길목에 들어섰습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능금마을 가는 길에 들어서고 나니 조금씩 물이 녹아서 흐르는 광경들이 보입니다. 아무래도 상류다 보니 물 흐름이 지속적으로 있어서 가능한 것이겠거니~ 싶었으나, 생각해 보니 상부에 있는 하수 정화시설에서 계속 물이 방수되고 있어서가 아닐까 싶었습니다. 올라가서 확인해보니 김이 나거나 냄새가 나지는 않았지만 물량이 적어지는 겨울철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고 있는 게 좋은 일일지 나쁜 일일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생태계보호지역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근본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의견입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서울환경연합은 서울의 생태계보호지역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방면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백사실계곡에 대한 생태보전활동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고요. 앞으로도 서울환경연합의 활동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리며, 다음에 또 다른 활동 소식으로 돌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