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중 양서류는 파충류와 더불어 세계 자연보전연맹이 지정한
기후변화로 인해 멸종할 확률이 가장 높은 종인데요.
국립생물자원관의 우리나라 양서류 적색목록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17종이 모두 위기에서 관심 대상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살아가는 양서 파충류 중 도롱뇽, 두꺼비, 줄장지뱀은 서울시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고
맹꽁이, 금개구리 등은 멸종 위기 2급의 야생동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서울환경연합은 그간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 지역 등을 중심으로
양서류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하는 등 지속적으로 보전활동을 진행해 왔습니다.
그동안 양서류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산개구리, 청개구리, 무당개구리 등 다양한 종류의
개구리목 양서류들을 만나보았지만, 두꺼비를 마주친 적은 거의 없었는데요.
작년 3월 경, 안산도시자연공원 양서류 서식지에서 두꺼비 알을 발견한 이후
함께 모니터링하던 선생님에게 효창공원이
두꺼비가 많기로 유명하다는 이야길 전해 들었었는데요.
전해 들은 지는 꽤나 지났지만, 그래도 한 번 방문해보고자 지난 4월 9일
국회 방문 일정을 마치고 마포구 부근을 경유하여 효창공원을 다녀왔습니다.
처음 들어선 효창공원의 모습은 생각보다 크고, 생각보다 방문객이 많은 공원이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공원이 텅 비었을 거라는 생각과는 달리
바둑을 두고 계시거나, 담소를 나누는 중이시거나, 산책, 운동을 즐기는 시민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창포가 자라있는 것 같길래 연못인 것 같아 달려가 보았습니다만,
연못에 물이 전부 말라 양서류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더군요.
그다음 연못도 곳곳에 놓인 ‘여기 연못이요~’ 하고 티 팍팍 내는 인공 암반들만 놓여 있지
물이라고는 한 방울도 고여있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창포에 둘러싸인 그다음 연못도 마찬가지,
자연학습장이라고 쓰여 있는 곳이었는데
올해만 이런 건지, 원래부터 이렇게 물을 비워놓는 곳인지
내년 산란철에도 방문할 필요가 느껴지는 모습이었습니다.
저 멀리 산책이나 운동을 즐기시는 시민들이 눈에 띕니다.
전에 효창공원에서 근무하셨던 분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연못 부근뿐 아니라 산책로 등지에서도 두꺼비를 본 적이 많다고 하셨는데
전 산책로 주위에서는 목격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효창공원 정문 근처에 있는 커다란 연못에 와보니 물이 꽉 차있더군요!
수도세가 없는 건지.. 이곳에만 물이 가득 들어차 있었습니다.
두꺼비 올챙이는 한눈에 봐도 바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다른 올챙이들에 비해 뭉뚝하니 커다란 것이 특징이거든요.
양서류의 특징 중 하나가, 엄청나게 많은 알을 낳고
엄청나게 많은 유생들이 나온다는 것인데
과연 어마어마한 양의 두꺼비 올챙이들이 연못에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이 많은 올챙이들 중 성체가 될 때까지 성장하는 비율은 그리 높지 않을 것입니다.
두꺼비가 좋아할 것 같이 생긴 연못의 전경입니다.
위에 첨부한 작년 3월 발견한 두꺼비 알의 모습처럼
두꺼비들은 알이 흘러내려가거나 가라앉지 않도록
수초나 돌 등에 감아 산란을 합니다.
아마 산란시기에 왔다면 저 풀들에 감아져 있는 알들을 볼 수 있었겠지요.
‘두꺼비’라는 이름은 다른 개구리에 비해 몸통이 두꺼운 데서 유래한 것으로 순우리말에 해당합니다.
개구리보다 몸통이 크지만, 울음통이 작아 개구리만큼 큰 소리로 울지는 못하며
몸통에 비해서는 다리가 짧아 개구리처럼 뛰어다니지는 못합니다.
앞발과 뒷발을 모두 이용해 뒤뚱뒤뚱 걸어 다니며
포식자를 만날 시 도망치는 것이 아니라
포식자를 노려보며 등을 부풀리고 등에서 끈적한 분비액을 뿜어
포식자에게 맞서곤 하죠.
이런 두꺼비는 성체가 된 후에 대부분의 시간을 뭍에서 보내게 됩니다.
맹꽁이처럼 두꺼비도 땅을 굉장히 잘 파는 편인데
이러한 특성을 살려 평소에는 땅을 파고 들어가 잠을 자다가
해 가지면 올라와 사냥을 하곤 하죠.
이런 특성을 봤을 때 방문 시간이 낮이었던 만큼
성체를 만나기는 조금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연못을 둘러보고 난 후엔 바로 뒤에 자리한 ‘삼의사 묘’에 올라봤습니다.
삼의사 묘는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의사를 모신 묘역입니다.
삼의사는 1946년 백범 김구 선생의 주선으로 이곳에 봉환 안장되었다고 합니다.
삼의사 묘 왼편에는 1910년 3월 26일 중국 뤼순 감옥에서
순국한 안중근 의사의 유해를 찾으면 안장하고자 마련한 빈 무덤이 있다고 합니다.
삼의사 중 이봉창 의사는 효창공원이 자리한 용산을 고향으로 두고 계시다고도 합니다.
두꺼비가 가득한 연못과 삼의사 묘를 지나 산책로를 통해
공원을 한 바퀴 빙 돌아봤습니다.
생각했던 것보다 공원 전체의 크기가 커다란 편이었어서
천천히 걸으니 공원 구석구석을 둘러보는데 한 시간가량이 소요됐습니다.
이런 효창공원에는 현재 개발사업이 하나 추진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서울시가 ‘새로운 효창공원’을 조성한다며 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새로운 효창공원 개발은 2021년에 시작하여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한다고 합니다.
기후 위기 시대 지속 가능한 도시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선순환적인 사이클을 마련하고 유지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서울시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는 두꺼비가 다수 서식하는 효창공원을 개발한다는 것은
분명 생태적으로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사안일 것입니다.
개발을 피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최소한 생태계도 주민도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개발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서울환경연합은 이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나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