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하야’가 정국의 핵심 키워드로 달아오르고 있다. 각계에서 국정운영 난맥상의 지저분한 배경을 목도하며 노동개악 성과-퇴출제 등 정부 정책의 목적과 실효성에 대한 의문과 비판도 더욱 거세지고 있다. 79개 시민사회운동단체로 구성된 <공공성 강화와 공공부문 성과-퇴출제 저지 시민사회공동행동>도 오늘 11시 청와대 인근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부문 파업을 지키는 것이 박근혜 퇴진의 지름길”이라며 “하야”를 촉구했다.

 

시민행동은 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사상 초유의 장기파업이 계속됨에도 사실과 다른 “불법파업” 말만 반복하며 대화조차 거부하는 정부, 공공부문을 재벌에게 팔아 민영화하려는 기초단계로 성과-퇴출제를 도입하고 노조를 무력화시키려는 정부의 이런 행태도 결국 최순실의 작품일 수 있다는 것이 시민행동의 의문이다.

 

이들은 철도파업이 30일째임을 언급하며 앞으로도 파업을 지지하고 성과-퇴출제가 초래할 국민피해를 막기 위해 투쟁하는 한편, 대통령 하야 운동도 동시에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민행동은 오는 27일 18:30분에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지키자 철도파업, 끝내자 박근혜”를 모토로 촛불행진에 나서는 것을 시작으로 대대적 ‘하야운동’을 펼치고, 11월 12일 민중총궐기까지 1차 집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정부는 공공부문 개혁을 입에 담을 자격이 없다”며 “국민의 재산인 공공재를 더 망가뜨리게 놔둘 수 없고... 대통령 하야만이 국민이 행복해지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더해 철도노조는 “파업의 불법논란은 종결”됐다며 “해결을 위한 가장 빠른 길은 사회적 대화와 노사교섭”이라고 덧붙였다. 기자회견에는 박성운 철도민영화 저지 범국민대책위원회 공동대표, 정용건 연금행동 집행위원장, 정영섭 사회진보연대 운영위원장 등이 참여했다.

 

한편 시민행동 기자회견에 앞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비상시국대책회의’와 ‘참여연대’도 각각 기자회견을 열어 대통령의 국기문란 행위를 강하게 비판하고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와 대통령 조사를 요구하기도 했다.

 

최종진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이 규탄발언을 하고 있다. ⓒ 변백선 기자
전창훈 철도노조 사무처장이 현재 철도노조의 파업 상황을 공유하고 대체인력에 대해 규탄하며 "정당한 파업이 재난이 아니라 불법대체근로가 재난"이라고 지적했다. ⓒ 변백선 기자
사민사회는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국민의 재산인 공공재를 온전하게 보존하기 위해서는 공공파업을 지켜내는 것이 바로 박근혜 퇴진의 지름길이라는 것"이라고 선언했다. ⓒ 변백선 기자
기자회견에 참석한 시민사회단체는 "국민의 명령이다. 개헌말고 하야하라", "비선실세 국정농단 최순실은 구속하라"고 촉구하고 청와대에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 변백선 기자 시민사회는 국민의 재산인 공공재를 온전하게 보존하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비상시국대책회의가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주민센터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국기문란 행위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변백선 기자

참여연대가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주민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박근혜 대통령-최순실게이트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 변백선 기자

                                                                                              <출처: 노동과 세계>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