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의 조직적인 참여로 만든 옐로카펫
국제아동인권센터 이제복
아이들을 지켜주고 싶었습니다.
지난 해 우리나라 국민 모두가 느꼈을 지켜주지 못한 것에 대한 부채의식이
아이들을 지켜줘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했습니다.
이미 벌어진 일을 되돌릴 순 없지만 그로 인해 깨닫게 된 문제의식에 적극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것은
고인에 대한 예의가 아닐뿐더러 성인으로서의 책임도 다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바로 그 시기가 어떻게 아이들을 지켜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시작이었습니다.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할 책무가 있지만
전 국토의 안전을 구석구석까지 개선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
또한 주민이 개인적으로 행동하기에는 사유지로 범위가 제한되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주민들이 연대하여 만드는 아동이 안전한 마을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왜 아동이 안전한 마을인가?
첫째, 아동이 일상을 보내는 마을을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 그들을 지켜주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아동 안전사고의 대부분은 학교와 문방구, 놀이터 등이 있는 마을에서 발생하므로
마을을 중심에 두지 않는 안전 개선은 실존하기 어렵습니다.
둘째, 한 마을을 안전하게 만드는 방법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현장에서 삶을 사는 주민들이기 때문입니다.
안전 관련 거대담론은 전문가에게 맡기더라도 마을의 어디가 아동에게 위험한가는
오늘도 자녀의 등‧하굣길을 걱정하며 마을을 살피는 주민들이 최고 전문가입니다.
셋째, 주민들이 사업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마을 자체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마을에 특정 시설물이 설치 되냐 안 되냐가 아니라, 주민들이 얼마나 마을을 소중한 것으로 여기느냐가
그 마을의 안전을 보장해 줍니다.
넷째, 한 마을에서 시작된 사업이 사회 상위로 확장되는 하의상달식 시스템이 구현되기 때문입니다.
상의하달식 시스템은 고도로 복잡화된 현대 사회의 과제를 해결하기에는 획일화된 결과를 빗어내고,
높은 수준의 주민의식을 담아내기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상기 원칙에 기반을 둔 ‘아동이 안전한 마을 만들기’ 기획서를 작성하여 기업에 제안하였을 때
구체적인 결과물이 하나도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업 담당자는 의구심이 있었을 것 같습니다.
오직 ‘주민 참여’라는 과정만 있었기 때문입니다.
마을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마을의 안전 위협요소를 조사하고,
회의를 통해 최우선 과제와 개선 방안을 고안한 후,
주민 투표를 실시하여 구체적인 개선 계획을 결정한다는 과정만 적힌 기획서,
기업 담당자 입장에서는 그래서 결국 무엇을 하겠다는 것이냐는 질문을 할 수 밖에 없었고
저는 그에 대답 대신 주민들보다 그 마을을 안전하게 만드는 방법을 잘 아는 사람은 없다고 반문 했습니다.
기업 측에서는 의구심을 가시지 못한 채 프로젝트 후원을 결정해 준 것입니다.
기업의 후원이 결정된 후 우리는 본격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가장 먼저 성북구 마을 만들기 지원센터에 협조를 요청하여 성북구에서 활동하는 마을공동체들에게
공문으로 ‘아동이 안전한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를 함께 하자는 제안을 했습니다.
총 4개의 마을공동체가 지원하였고 설명회와 합동회의를 거쳐
길음동에서 활동하는 ‘길음밴드’가 프로젝트 파트너로 결정되었습니다.
‘길음밴드’와 함께 지난 1월부터 길음동을 답사하며 아동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조사하였고,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의논하였습니다.
그 결과 횡단보도 안전 개선이 최우선 과제로 결정되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아동 사망사고의 44%가 교통사고이고,
교통사고 중 횡단보도 관련 사고가 81%를 차지하였으므로
우리는 횡단보도 안전 개선에 대한 의지를 더욱 굳건히 하였습니다.
횡단보도 관련 교통사고의 주원인을 분석해 보니 아동이 갑자기 횡단보도로 뛰어 나가고,
운전자가 이를 보지 못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아동이 안전한 영역에서 신호를 기다리게 하고,
운전자가 아동을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개선 방향을 설정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건축, 디자인, 전기전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프로젝트 팀에 합류하였고
법과 행정의 조언을 구하기 위해 성북구청과도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 결과 스페인 디자이너의 작품에서 모티브를 딴 옐로카펫이라는 아이디어가 탄생하였습니다.
옐로카펫은 횡단보도 진입부의 벽과 바닥에 펼쳐진 노란색 공간으로써,
공간 형성이 주는 넛지 효과를 통해 아동이 안전한 영역에 들어가서 머무르도록 유도하고,
동시에 색 대비를 활용하여 운전자가 횡단보도 진입부에 서있는 아동을 잘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동 교통사고를 예방해 주는 아이디어입니다.
그리고 상단에 부착된 태양광 램프는 주간에는 전력을 충전하고,
야간에는 사람을 감지하여 램프를 점등함으로써 야간 보행 안전을 도와주는 기능도 추가하였습니다.
우리는 옐로카펫 아이디어를 현실화하기 위해 길원초등학교 앞의 횡단보도에서 테스트 시공을 해보았습니다.
공업용 노란색 테이프와 3M사의 6251 제품 두 가지를 준비하여
옐로카펫이 설치될 벽면의 먼지를 털어내고 부착해 보았습니다.
먼저 공업용 노란색 테이프는 당장은 붙어있지만 오랫동안 버티지는 못할 것 같았습니다.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어 갑작스럽게 떨어지기라도 할 경우 사고의 위험이 있을 것 같았습니다.
다음으로 반영구적으로 부착 가능하다는 3M사의 6251 제품은 상대적으로 훨씬 안정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3M사의 6251 제품으로 옐로카펫을 펼친다면 현실화가 가능하겠다는 판단을 하고
면적 실측을 위해 테두리만 공업용 노란색 테이프로 표시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태양광 램프도 상단에 임시 부착해 보았습니다.
테두리 표시를 하는 동안 학생들이 왔다, 갔다하며 관심을 가졌습니다.
아직 테두리만 표시했을 뿐인데도 그 안에서 횡단보도 신호를 기다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시간이 지나 어두워지기를 기다린 후 우리는 태양광 램프가 정상 작동하는지 까지 확인하고
테스트 시공을 마무리 하였습니다.
이제 최종적으로 길음동 내 횡단보도 중 어느 곳에 옐로카펫을 펼칠 것인가를 결정하는 주민 투표만 남아 있었습니다.
2주 동안 길음동 주민들을 대상으로 주민 투표를 실시하였고 총 1,676명의 주민들께서 참여해 주셨습니다.
“길음동 내 횡단보도 중 안전 개선 대상으로 추천하시는 곳은 어디입니까?"라고
묻는 주관식 문항의 응답 결과는 ‘길원초등학교 사거리 횡단보도'가 22.8%로 1위,
'해맑은 어린이공원 삼거리 횡단보도'가 18.2%로 2위,
'미아초등학교 사거리 횡단보도'가 12.8%로 3위,
'롯데마이슈퍼 사거리 횡단보도'가 9.3%로 4위,
'동부크리닉센타 삼거리 횡단보도'가 5.5%로 5위였고 기타의견이 31.4%였습니다.
추천해 주신 모든 횡단보도에 옐로카펫을 펼치고 싶었지만,
이 프로젝트가 가진 옐로카펫은 오직 3개 뿐 이었으므로 상위 3곳에 펼치기로 하였습니다.
이렇게 결정된 성북구 길음동 3개 횡단보도 진입부에 주민들과 함께 고무망치를 두드리며 옐로카펫을 펼쳤습니다.
옐로카펫이 펼쳐진 후 아동들은 이전과 달리 안전한 영역에서 신호를 기다렸고,
운전자는 아동들을 잘 볼 수 있게 됨으로써 교통사고로부터 안전한 횡단보도로 변화하였습니다.
프로젝트 영상이 SNS로 공개되자 나흘 만에 30만 조회수를 넘기며 국민들의 지지가 쏟아졌습니다.
이어서 언론과 방송을 통해 이슈가 되면서 프로젝트 확장 시행에 대한 문의가 전국 각지에서 쇄도하고 있습니다.
우선 과분한 관심에 감사드리며 이 프로젝트의 과정, 즉 주민 참여의 중요성에 대해 꼭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성북구 길음동이 이전보다 안전한 마을이 된 이유는 옐로카펫이라는 결과물 뿐 만 아니라,
주민들이 사업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마을 자체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희는 프로젝트 확장 시행에 있어서도 주민 참여라는 원칙을 지켜나갈 생각입니다.
그리하여 더 많은 마을이 안전해짐으로써 나아가 ‘아동이 안전한 대한민국’이 되기를 꿈꾸어 봅니다.
* 국제아동인권센터는 한국인 최초로 유엔아동권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이양희(성균관대 교수) 대표가
2011년 4월에 설립한 NGO로 아동 인권에 대한 교육과 연구, 사회 정책 개발 및 인식 개선 활동에 힘쓰고 있다.
* 본 글은 녹색교통운동 소식지 176호에 기고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