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째 환경사랑방을 진행했습니다. 박완희 사무국장은 두꺼비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환경사랑방을 열었다. 두꺼비의 옛말은 두터비, 둗거비라고 말했다. 둗은 땅을 표현하기도하고, 거친피부 두툼하게 생긴몸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한다. 두꺼비 생김새를 잘표현한 이름에 선조들에 감탄이 절로 나왔다. ‘떡두꺼비같은’ 이라는 표현은 다산의 상징으로 되어있다는 말을 전하면서, 땅과 떡벌어진 어깨등을 형상화하였고, 생명의 어머니를 표현한 듯 하다며 개인적 소견을 전했다.

‘두껍아두껍아 헌집줄게 새집다오!’ 놀이를 보면 두꺼비의 생태를 알 수 있다고 했다. 두꺼비가 알을 낳고 봄잠에 들어가는 모습이 꼭 이 놀이와 비슷하다고 한다. 놀이도 자연을 세심하게 관찰해서 만들었음을 설명했다. 더 신기한것은 지네로부터 처녀를 지켜준 두꺼비이야기의 배경이 청주지역이라고 한다. 본래 청주지역에 두꺼비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어 이런 전설이 생겼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렇게 사람과 친숙한 두꺼비가 많이 사는 원흥이 방죽은 1994년 택지개발지구 지정되면서, 농경지가 자연으로 복원되어 두꺼비의 천국이 되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2002년 법원 검찰청이 들어오는 것이 결정되어 위기를 맞게 되었다. 모든 행정철자가 마무리된 2003년 두꺼비가 발견되면서 우리들이 잘 아는 원흥이 방죽을 지키기위한 싸움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땅속온도 4.6도가 되면 겨울잠에서 깨어나 알을 낳는 두꺼비는 약 6,000개정도의 알을 낳는다고 한다. 원흥이방죽을 찾았던 수백마리의 두꺼비 알을 계산하면 수십만마리가 되는 것이다. 수십만마리의 새끼두꺼비가 산으로 올라가는 광경에 언론에 보도되면서 청주지역의 시민들로 함께하게 되었다고 한다. 생명을 이어가기 위한 새끼들의 본등이 시민들을 자극한 것이라며 전했다.

청주충북환경연합을 비롯한 생명연구소 터 등의 청주지역 환경단체와 시민사회가 함께 원흥이 방죽을 지켜내기위해 힘을 모은 기억은 소중한 가치를 깨닿게 한 과정이었다고 전했다. 과정에서 새벽 6시에 700여명의 시민이 모이는 장관도 만들어내었고, 수많은 문화행사들과 시위들을 진행한 원흥이 방죽 싸움은 단체의 싸움이 아닌 시민들의 싸움으로 기억되고 있다고 한다.

다만, 아쉽게도 구룡산과 연결이 가능한 원흥이방죽 주변을 지켜내지 못한 아쉬움이 남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도 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많은 시민단체가 연대해서 원흥이방죽의 생태계를 살리기위한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며, 싸움은 졌지만 원흥이방죽의 생명들을 지키기 위한 일을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두꺼비신문발행과 두거비생태관건설, 시민프로그램운영을 통해 지속적인 원흥이방죽의 생태계를 알리고, 두꺼비 생태를 조사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마련해가고 있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운동의 방향을 생태마을만들기로 운동의 전환하면서 주민과 생태마을 주민협의회를 구성하여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은 원흥이방죽의 미래를 밝게 전망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될 수 있을 듯 했다.
박완희 사무국장은 작은 지역인 원흥이방죽을 지키기위한 운동이 지금은 사람과 생명의 공존과 지구의 미래까지 생각하는 운동으로 확장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완벽하게 지키지못한 사례인 원흥이방죽이 타 지역의 모델로 꼽히고 있는 부담이 있다고 설명하고, 앞으로 더 좋은 원흥이 방죽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다짐했다. 올해 30개체정도의 두꺼비가 발견된 원흥이방죽의 미래를 지켜봐줄 것을 당부하면서 환경사랑방을 마쳤다.

환경사랑방은 사람들이 느낄 수 있는 작은 이야기들을 서로 나누는 자리이다. 이번 원흥이 방죽 이야기를 통해 작은 두꺼비를 통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사람이 가진 따뜻한 생명을 위한 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자리였다. 환경사랑방은 매월 세 번째 목요일 저녁 7시 대전환경운동연합 교육센터에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