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농업과 지역먹을 거리운동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
새로운 지역의 로컬푸드 운동을 위해서..
대전환경운동연합이 대청호보전운동본부와 함께 지난 30일 대전환경운동연합 교육실에서 ‘지속가능한 농업과 지역먹을거리 운동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건희 대청호보전운동본부 사무국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간담회에서는 송윤섭 대청호 농민연대 대표이사와 고은아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의 주제발제와 7명의 토론자의 토론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발제를 진행한 고은아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올 한해동안 진행한 ‘농산물 보따리’사업에 성과와 한계에 대해서 발제를 진행했다. 보따리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생산자가 물건들을 꾸러미로 만들어서 생산자에게 배송해주는 시스템이다. 올한해 진행한 보따리는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았으며, 생산지의 다양화에 한계가 있었다고 진단했다. 친환경농산물이 공급되는 보따리시스템은 믿을만한 제품이라는 인정을 받고 있으나, 생산지역의 확장이 필요하고, 친환경뿐만아니라 유기농까지 확장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더불어, 특정 기업들과 연계하여 소비구조를 만들어 내는 것을 제안하고, 기존의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원주에서 시행하는 생협등과 연계하여 성공적인 사례로 자리잡아가고 있다고 부연설명하면서 발제를 마쳤다.
두 번째 발제를 진행한 대청호 농민연대 송윤섭 대표이사는 친환경농산물 및 도농직거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발제를 진행했다. 송윤선 대표이사는 현재 농촌사회의 생산구조가 생각보다 심각하다고 경고하고, 단작화하고 소유모 농들이 사라지고 대규모 영농만이 살수 있는 구조로 전환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영농층의 고령화와 더불어 주력농민층인 50대들의 농업데 전망을 세우지 못하는 것이 더 큰문제라고 진단했다. 친환경농법의 시행하는것 역시 전망을 보기보다는 경제적인 것을 먼저 생각하는 욕구로 생산하고 있다. 소비자는 신뢰적 측면보다는 인식의 전환에서 친환경 농산물을 구매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고 지적했다. 로컬푸드역시 지역운동의 확산이라는 형태이지만 조직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직거래를 통해 소비자와 생산자의 서로의 교류를 통해 진행되는 것이 아닌, 개인간의 이해관계로 직거래가 형성되고 있으며, 일부의 경우 농민을 상업적인으로 전락시키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사회적 흐름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로컬푸드나 친환경농업등의 확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발제를 마무리 했다.
새로운 생협을 준비하는 품앗이 생협준비위 홍은영씨가 공동체와 건강한 먹거리를 결합해서 추진하는 것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다. 충남대경제학과 이기훈 교수는 보따리의 경제성을 담보하기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순숙 소비자는 구성품들에 대해서는 다양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보따리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기다릴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양혜숙 환경운동연합 의장은 보따리의 횟수를 늘려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접근성을 높일것을 요구했다. 좀더 확장해서 푸드마일리지등을 도입하는 방안도 고민해줄 것을 요구했다. 박장동 YMCA사무총장은 지역먹거리활성화를 위해서는 조직을 만들어내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가정에서의 유기농 식단을 구성할 수 있는 운동적 관점도 놓치지 않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장수민 소비자는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보따리 이용만으로 식생활이 해결될 수 있는 정도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램을 표명하면서 먹거리의 안정성에 대해서 알려주셨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이성숙 대청호농민연대 사무국장은 올해 보따리는 소비자와 생산자가 끈임없이 만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계기가 된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송윤섭 대표이사는 직거래를 일부가 불신을 가지게 되었던 선례가 있었다고 설명하고, 꾸러미사업도 이렇게 변질되지 않을 수 있기 위해서는, 의식의 전환솎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와 생산자의 관계를 통해서 소비자와 생산자의 책임성을 인정하는 식의 의식개선을 통한 접건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기존의 시장과 같은 시스템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설명하다. 소비자의 친정이 생산자가 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소규모 농민의 경우 다양한 물품을 심어서 부가가치를 높일수 있는 방법이 있으나, 팔로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일농으로 변화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따라서, 이런 보따리 사업등의 다양한 소비구조가 마련된다면, 농촌을 살릴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고은아 사무처장은 올해 꾸러미는 시범적인 사업이라고 설명하면서, 간담회에서 제시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방법이 필요하겠다고 설명하고, 많은 과제를 가진 간담회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향후 보따리나 로컬푸드나 생협등이 서로간의 밀접한 연대를 통해서 지역의 먹거리운동을 활성화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아, 앞으로 좀더 좋은 보따리로 소비자와 생산자들을 만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서 보따리가 로컬푸드를 통한 지역먹을거리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며 토론회를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