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와 슬로푸드, 도시생태농업의 미래
김종덕 교수 초청강연

“세상에 90%가 나쁜 먹거리인데, 사람들 대부분은 나쁜 먹거리라는 것을 알지 못합니다.”
- 김종덕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6일 대전 노은고 시청각실에서 ‘로컬푸드와 슬로푸드, 도시생태농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김종덕 교수 초청강연을 진행했다. 김 교수는 강의를 시작하며 위와 같이 발언을 시작하며, 사회가 ‘음식 문맹상태’를 만들고 있다며 일갈했다.

이번 초청 강연은 건강한 먹거리 개념을 위해서 노은고등학교 ‘샤프론’과 함께 준비했다. 로컬푸드는 공간적인 개념으로 지역의 생산품에 대한 개념이다. 그리고 슬로푸드는 시간적 개념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런 시간과 공간이 고려된 먹거리를 고민하기 위해서 마련한 이번 강연에는 약 120여 명의 시민이 함께 했다.

세계의 식량체계를 자본과 농기업들이 결정하고 있다. 농작물과 땅, 가축이 하나의 수단이 되었다. 산업의 수단으로 농업을 전락시키면서 농업을 죽이는 형국이 계속되고 있다. 김 교수는 “현재 구조는 생산자가 소비자를 알지 못한 채 자본에 의해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다”며 “생산자는 소비자를 소비자는 생산자를 배려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형 농업이되면서 기후와 토양이 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배려되지 못한 채 단순한 공장형농업이 되었다고 말했다. 또 농민을 단순한 노동자로 전락시키면서 농민의 차지하는 수익 자체를 줄이고 있다고 비난 했다.

그는 이런 산업구조가 되면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이 상실되면서, 슬로푸드와 로컬푸드를 통한 건강한 먹거리는 사라졌다며 걱정했다. 닭이 수명이 7년 이상인데 육계는 38일이고 돼지는 흙을 좋아하지만 흙을 접할수 없게 길러지고 있다고 부연설명했다.’

식품산업은 이윤을 위해 성분표시를 작게 쓰면서 소비자를 속이고 있는 것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경고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이윤만을 위한 식품산업이 유지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소비자의 건강이나 생산자의 권리나 동식물의 생명권을 중요치 않게 되었다고 일갈했다.

농업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영향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성장과 산업화된 농업으로 지구전체에 문제가 되고 있다. 김 교수는 “우리의 식생활을 바꾸기 위해서는 성장에서 지속가능성의 사회로 전환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21세기에 이런 전환을 이루지 못하면 22세기는 없다고 설명했다.

과거 농사는 자연이 지었고, 농민이 짓다가 현재는 석유가 짓고 있다고 설명했다. 5000원 짜리 햄버거에 우리 아이들의 장래를 맡겨서야 되겠느냐고 호소했다. 패스트푸드, 수입밀을 사용하는 라면, 38일 만에 잡는닭, 흙 없이 길어지는 돼지를 먹는 것 자체가 농업을 죽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여러분의 좋은 먹거리를 선택하기 시작하면 바꿀수 있다”며 “여러분이 건강한 먹거리 확보를 위해 분노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악의 축이 되고 있는 식량체계의 개편이 필요하다고 설명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스스로 바꿀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야 한다고 설명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결된 음식혁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로컬푸드인 생산자를 알고 소비자를 알고 막을수 있는 방법이 있다. 시간을 고려하여 닭과 돼지를 공급할 수 있는 슬로푸드는 멀리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바로 연결된 지역식량 체계(생협, 농산물 보따리)를 통해 혁명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교수는 슬로우푸드을 이야기 하면서 “좀더 원칙적으로 돌아가서 사람의 생활방식을 바꾸는 방법까지 가야한다. 생활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지구의 미래는 없다”고 경고했다. 김교수는 “아직 남은 희망이 있을 때 준비를 해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강연을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