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초록의 계절이 돌아왔다. 5월 2일 목요일 오전 대전환경운동연합 김형숙회원과 함께 금강을 다녀왔다. 오늘의 일정은 부여의 백제보를 시작하여 황산대교에 이르는 생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었다.
따사로운 햇살이 내리쬐지만 아직 강바람은 매서웠다. 봄의 전령사 봄맞이꽃이 백제보 둔치와 길가에서 바람에 흩날리며 마치 우리를 향해 손짓하는 것 같아 미소가 절로 그려졌다.
사실 이런 작은 식물에 대한 나의 관심은 전혀 없었다. 하지만 자세히 보니 너무나도 예쁜 색색의 야생초는 환상적이었다. 누가 이 작은 생명에게 이름을 지어주었을까? 김형숙회원은 이 작은 친구들을 지나치지 않고 하나하나 이름을 불러주며 인사를 나누었다.
이름도 하나같이 너무나도 예뻤다. 꽃다지, 양지, 제비꽃, 별꽃… 하우스의 화초처럼 크고 화려한 것과는 구분되게 모두 작지만 강한 생명력을 지닌 짓밟혀도 다시 일어서고, 관심을 가져주는 이가 적어도 어김없이 자기의 자리를 지키며 빛내는 이들처럼 살아가고 싶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하지만 안타까운 부분도 있었다. 백제보 둔치에 식재된 나무들은 대부분 메말라 죽어가고 있었다. 그리고 자전거도로는 흙이 유실된 부분도 많고 공사 후 남은 골재와 쓰레기들이 곳곳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었다. 관리하지 말아야 할 것과 정말 관리해야 할 것을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야속하게 느껴졌다.
황산대교 근처의 습지에서는 또 하나의 신비로운 생명체 새들의 모습도 관찰하였다. 먹이를 사냥하기 위해 정지비행을 하는 황조롱이, 그리고 논과 야산에서 서식하며 인디언 추장같이 멋진 머리 깃을 뽐내는 후투티, 습지와 얕은 물가에서 서식하며 바쁘게 먹이를 찾으러 움직이는 도요새. 무엇보다 희귀하다는 장다리물떼새를 발견하였을 때는 이경호국장은 월척을 보았다며 기뻐하였다. 좀처럼 볼 수 없다는 이 새는 오랫동안 자신의 고고한(?) 긴 다리를 앞세워 사진포즈를 취하고 있었다. 한가로이 물가를 거니는 이들의 모습을 보자니 너무나도 마음이 평온해졌다. 더 다양하고 더 많은 새들이 이곳에서 쉴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자연은 그자체로 우리에게 너무나도 많은 안식을 준다. 도시의 각박한 삶의 현장과 오염된 공간에서 탁트인 아름다운 대자연의 조각들을 보자니 행복한 미소가 끝이지 않았다. 4대강사업으로 인해 힘들었던 금강에 다시금 봄이 찾아오고 있었다. 우리는 늘 자연을 통해서 힐링을 한다. 자연은 인간을 위한 힐링의 조력자였지 주체는 아니었다. 하지만 이젠 자연도 힐링이 필요하다. 우리역시 받기만 하는 삶에서 주기도 하는 삶으로 전환이 필요하지 않을까? 김춘수 시인의 ‘꽃’에서와 같이 내가 대상에 대하여 존재를 인식하는 단계를 넘어 대상이 나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으로 확대되어. 서로가 서로의 존재를 인식하며 사랑하는 차원.
자연과 인간이 가야할 길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 대전환경운동연합 간사 조용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