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을 방불케 하는 뜨거운 5월 21일 대전환경운동연합에서 실시한 텃밭 관리자 양성교육 9강이 대전환경운동연합 교육실에서 진행됐다. 이번 강의는 젊은협업농장의 정민철 선생(이하 정 선생)이 ‘논과 생물다양성 그리고 농촌 마을‘를 주제로 강의했다.

정 선생은 요즘 주말 농장 형식의 텃밭은 많은 반면 주말 논, 텃논은 많이 활성화가 되지 않은 의문을 띄우며 강의를 시작했다. 밭은 대부분 작은 규모로 시작하지만 논은 큰 규모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하지만, 논은 텃밭에 비해 기계화되고, 수확량도 월등하여 한사람이 5~6천 평 정도 관리 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상추나 다른 작물의 모종의 경우는 씨앗 하나하나를 심어 발아 시켜야 하지만 볍씨의 경우는 모판에 그냥 뿌리면 쉽게 발아 되어 다른 작물보다 쉽고 실패가능성이 낮다고 강변했다.

정 선생은 ‘볍씨 하나를 뿌리면 몇 개의 볍씨가 될 까요?’ 질문을 했다. 수강생들은 200알, 10알 여러 숫자를 얘기했지만 맞출 순 없었다. 정 선생은 볍씨 1알에 2,000개의 벼 알을 얻을 수 있다며 놀라워했다. 성인 한명의 공기밥 안에 1,000개 정도의 밥알이 있다고 가정하면 볍씨 한 알을 심어 2끼를 해결 할 수 있을 정도의 생산량을 자랑했다.

정 선생은 세계 3대 주곡은 쌀, 옥수수, 밀이라고 설명하고, 이는 각 나라의 기후에 제일 잘 자라고, 기르기 쉽고, 생산량이 많은 곡식이 그 나라의 주곡이 되었다고 한다. 유럽이나 미국은 밀이 그 나라의 주곡이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권의 주곡은 쌀이라고 이 된 것 역시 기후 때문인 것이다. 밀은 어떤 사람에게는 잘 맞지 않아 알러지를 일으키는 성분이 있기 때문에 요즘에 건강식으로 뜨고 있는 곡식은 쌀이라고 자부했다.

친환경 유기농 제품의 앞을 보면 유기농 번호가 있는데 이는 제품의 농약 잔류나 농가에게 주는 인증 마크가 아니고, 흙을 검사한 수 흙에게 유기농 인증 마크를 주는 것이다. 그 흙에서 나고 자란 어떠한 작물도 유기농마크를 달 수 있다고 했다. 그 만큼 흙이 중요하고, 작물에게 흙이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유기농인증마크에서 알 수 있다고 한다.

논을 공식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전답(田畓)의 답(畓)자는 밭 전(田)자 위에 물 수(水)는 밭에 물을 담는 모습을 표현한 한국식 한자라고 한다. 쉽게 말해 밭에 물을 담아 놓은 형태가 논이 되는 것이다. 논에 물을 담아 벼농사를 짓는 이유는 순전히 잡초 때문이라고 한다. 아무래도 물을 대게 되면 밭에 사는 잡초가 자라기 힘든 여건이 되기 때문에 주변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논에 물을 대는 것이다. 습생식물로 습한 곳에서 잘 자라지만 굳이 물을 댈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의림지 재림지등 과거 문화재가 논에 물을 대기위해 만든문화제라고 부연했다. 두레는 논의 김매기를 위해 만든 조직이라며 농경사회의 공동체는 논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오랜 기간 물을 대며 농사를 짓다보니 수생식물의 종류의 잡초들이 자란고, 이런 잡초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를 심기 한 달 전에 물을 대 미리 잡초를 자라게 해 뽑으면 나중에 잡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했다. 만약 이 시기를 놓치고 미리 잡초를 뽑지 못하면 나중에 벼가 자랄 때 함께 자라 더 힘들어 질 수 도 있다며 주의를 요했다.

그럼 제초제나 농약을 뿌리지 않고 제초효과를 거우면수 유기농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

오리농법
오리 농법이란 논에 오리를 키워 잡초가 나는 것을 억제하는 농법이다. 정 선생은 오리가 논을 돌아다니면서 흙탕물을 만들고 흙탕물이 생기면서 자연스레 잡초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오리농법에 문제점은 오리가 가는 곳만 가서 오리가 가지 않은 곳에는 잡초가 나 그 곳은 사람이 직접 김을 매야 된다고 한다. 또한 산짐승의 위협을 막기 위해 저녁에는 우리에 가두어 놓아야하고, 아침에 다시 풀어 놓아야 하며, 매일 오리의 먹이를 챙겨 주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며 부지런한 농부가 되어야 가능하다고 한다.

우렁이 농법
우렁이 농법이란 논에 우렁이를 풀어 나는 잡초를 먹게 하는 농법이다. 정 선생은 우렁이는 오리처럼 먹이를 주거나 따로 관리 하지 않아도 되어 덜 번거롭지만, 우렁이 대부분이 남미에서 가져와 외래종 문제도 있고, 겨울을 잘 이겨내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잘 살리기 위한 노력이 있다고 한다.

논은 습지인가?
정 선생이 말하길 습지란 젓은 땅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늪, 수렁, 뻘 등과 같은 곳을 칭하는데, 논도 국제습지보호를 위한 람사르협약에서 지정한 습지라고 설명했다. 논 습지는 다른 습지와는 달리 인간이 일부러 물을 대어 만든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손길이 없으면 없어진다고 강변했다. 논 습지에는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된 투구 새우나, 붕어, 도룡뇽 등 다양한 생물이 산다고 한다. 정 선생은 생물을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논습지를 보호하고, 계속 유기경작 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둠벙을 을 만드는 것이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부연했다.

정 선생은 밥을 먹는 것은 다른 다양한 생명체를 살리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습지로서의 가치가 높은 유기농 논은 많은 생명들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논의 습지로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농사가 지속가능하게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논농사가 끝났을 경우 2년정도면 육화된다고 한다. 정선생은 둠벙이나 유기농 논이나 모두 습지로서의 생명을 살리는 기능을 유지하는 농사가 가능한 사회구조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한 공기에 원가는 50원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탄하면서, 50원짜리를 사먹으면서 관행농 비해 훨씬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유기농을 농가 개인에게 전가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몸과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유기농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현재 50원에서 500원이상으로 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몸에도 좋지 않은 커피는 5,000짜리를 먹으며, 밥은 50원짜리로 먹는 것은 농민으로서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일갈했다.

우리나라의 쌀이 남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논이 많아져서도 아니고, 수입을 많이 해서도 아니라고 한다. 70년대 인인당 쌀소비량이 140kg에 달하던 것이 현재는 80kg정도로 감소했다고 안타까워 했다. 떡, 쌀과자, 막걸리, 쌀빵을 만들어 공급하는 데도 불구하고 소비량은 감소한다는 것이다. 다른 생명체를 살리고 생물의 다양성을 위해 많은 쌀 소비를 권장하며 강의를 마쳤다.

항상 텃밭수업만 듣고 논수업은 처음이라 많이 생소했지만, 논농사를 짓는 것은 그냥 식량생산의 문제가 아니라 습지를 보호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일이라는 것이 굉장히 인상이 깊었다. 텃밭 역시 이 부분에 있어 비슷한 부분은 상당할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많은 사람들이 이를 알고, 유기농 쌀과 유기농 작물을 섭취하여 환경보호에 관심을 가져주길 희망한다. 나 역시도 이를 다시한번 결심하는 계기가 된 것 같아 뿌듯한 시간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