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 2016-03-14 20:50:55



[저널리즘] 아버지, 어디에 잠들어 계십니까

About you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은 국가폭력에 의해 억울하게 죽어간 희생자들의 유해를 발굴하여 민간인학살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2014년 진주, 2015년 대전에서 시민들의 뜻과 힘을 모아 학살 희생자들의 유해를 발굴하였습니다. 


'빨갱이 가족'이라는 오명을 쓰고 살아온 유족들, 아직까지 묻혀 있는 희생자들의 유해, 발굴작업에 나선 시민들, 발굴진행 보고를 통해 민간인학살 희생자들의 삶과 이야기를 전하고자 합니다.


Funding plan


오는 2월 24일(수)부터 29일(월)일까지 충남 홍성군 광천읍 담산리에서 제3차 유해발굴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여러분들께서 모아주시는 소중한 후원금은 희생자 유해발굴작업에 필요한 비용과 결과보고서 발간비용으로 쓰겠습니다.


Details


"여기 억울한

주검들이 있습니다


어떤 이는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겠다는 신념 때문에, 어떤 이는 단지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어떤 아낙네는 빨치산에게 밥을 줬다는 이유만으로, 또 어떤 어린애는 영문조차 알지 못한 채 죽은 주검들입니다.


전쟁이라는 비상상황이기 때문에 이들의 죽음은 어쩔 수 없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건 옳지 못합니다. 아무리 큰 죄를 지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국가가 적법한 절차 없이 함부로 사람을 죽일 수 없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사라져간 수많은 민간인들의 죽음은 전투로 인한 것이 아니라 국가가 스스로 법을 무시하며 저지른 학살 때문에 일어난 일입니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60여년이 지난 2005년 과거청산을 위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가 설립되어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유해발굴이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3년간의 사업을 통해 1,617구의 유해와 5,600여점의 유품을 발굴하고, 충북대학교에 임시 안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진상규명위원회는 밝혀야 할 규모의 10%도 해결하지 못한 채 문을 닫아야만 했으며, 유해발굴 사업 또한 중지되었습니다.

"세 번째 발굴을

하려 합니다
 


한국전쟁 당시 희생된 유해들이 아직도 전국 곳곳에 방치되고 있지만 국가는 피해자와 유족들에게 마땅히 지켜야할 국가적 책무인 법적·정치적 책임은 고사하고 최소한의 윤리적 책임조차 지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민간차원에서라도 먼저 아픈 역사의 진실을 밝히고 그 상처를 치유하는 일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2014년 2월 18일 뜻을 함께 하는 시민단체와 연구자, 시민들이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을 결성하여 민간모금과 자원봉사로 유해발굴 사업을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2014년 진주 명석면과 2015년 대전 골령골 유해발굴에 이어 올해는 2월 24일부터 29일까지 충북 홍성군 광천읍 담산리 산 92번지에서 세 번째 발굴을 하려 합니다.


국가범죄로 인해 억울하게 희생된 분들의 유해를 수습하여 적절한 장소에 안치하는 일은 희생자와 그 유족의 한을 조금이나마 풀기위한 조치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사람들이 죽은 이에게 가져야할 최소한의 윤리적 책무일 것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함께 하시기를 기다리겠습니다.

[스토리펀딩] 1화 논매기 하다가 끌려간 우리 아버지


[스토리펀딩] 2화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과 비밀의 탄생

[스토리펀딩] 3화 반드시 밝은 곳으로 모시겠습니다.

[스토리펀딩] 4화 "아버지의 유해를 찾을 수 있을까요?"

[스토리펀딩] 5화 '혹시 저 분이 내 아버지는 아닐까?





지난 2월 24일부터 3월 8일까지 충남 홍성군 광천읍 담산리의 일명 꿀꿀이산에서 진행된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 3차 유해발굴이 모두 끝났습니다. 과거청산을 위해 노력해 온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이하 공동조사단)은 애초 지난 2월 24일부터 29일까지 발굴조사를 예정하였지만, 동굴 안에서 66년 만에 참혹한 모습을 드러낸 희생자들의 유해를 남겨둘 수 없어 3월 3일부터 8일까지 추가 발굴을 실시했습니다.


발굴조사 기간 동안 억울하게 돌아가신 분들을 어두운 땅 속에서 밝은 세상으로 정성스레 모시고자 하는 마음 하나로 전국 각지에서 많은 분들이 발굴 현장으로 달려와 함께 해 주셨습니다. 이번 발굴조사에 마음을 모아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작년 10월 공동조사단은 처음으로 홍성을 찾았습니다.


앞의 연재에도 소개된 두 분의 유족 최홍이, 이종민 씨께서 저희들을 반갑게 맞아주셨습니다. 평생을 '빨갱이'의 아들로 살아와야 했던 두 분께서 저희에게 가장 먼저 하신 말씀은 '고맙다'는 것이었습니다. 억울하게 돌아가신 아버지의 유해 한 조각이라도 찾아야 한다는 일념으로 오늘을 기다려 오셨을 두 분의 간절한 염원을 생각하니 고맙다는 그 말이 부담으로 느껴진 것도 사실입니다.



▲ 조사 결과 발굴된 21구 가운데 2구의 유해와 유품 (3월 6일)


학살 장소로 추정되는 대나무 숲을 찾아 헤맸지만 단서를 찾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강제로 지워야만 했던 66년 전 그 날의 학살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도 이제는 찾기 힘들지만, 학살의 흔적도 세월의 더께와 함께 변하여 좀처럼 찾기 힘든 것이 현실입니다.


아쉬운 마음으로 대나무 숲을 뒤로 하고 또 다른 증언을 단서로 폐금광의 입구를 찾았습니다. 예전부터 학살된 사람들이 폐금광에 버려져 있으니 사람들이 가까이 가기를 꺼리던 곳이라 했습니다. 그런데 이미 그곳은 2m 이상 복토가 되어 입구를 찾을 수 있을지 확신하기조차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 시굴조사 (11월 15일)

공동조사단은 유족들의 간절한 염원을 생각하며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지난 11월 15일 시굴조사를 위해 역사의 흔적을 찾아 나섰습니다. 두 시간이 넘게 흙을 산더미만큼 파냈지만 입구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약식으로 제례를 올린 후 "반드시 밝은 곳으로 모시겠습니다!"며 모두가 외치자 기적과도 같이 희생자들의 유해가 잇따라 발견되었습니다.


"참으로 불가사의한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암흑 속에서 66년을 기다린 희생자들이 자신들의 억울한 죽음의 진상을 꼭 밝혀달라며 스스로 우리들 앞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 아닌가 하는 마음마저 들었습니다.



▲ 시굴조사 결과 발굴된 유해


드디어 2월 24일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시작되었습니다.



국가가 방치한 역사적 진실의 규명을 위해 시민단체들이 나섰고, 스토리펀딩을 통해 많은 분들이 마음을 모아주셨습니다. 특히 이번 발굴조사는 홍성군과 홍성군의회의 적극적인 협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기에 그 의미가 남달랐습니다. 국가가 외면하고 있는 역사를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는 마음으로 함께 한 것입니다. 한나절 동안 굴삭기를 동원하여 흙을 파내자 드디어 폐금광 입구가 나왔습니다.



▲ 왼쪽 동굴 입구에서 발견된 유해를 발굴하는 발굴단


▲ 많은 사람들의 협력으로 이루어지는 발굴조사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었습니다


발굴 작업은 많은 사람들의 협력이 조화를 이뤄야 비로소 가능한 일입니다. 또한 발굴 과정에서 유해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작업이기도 합니다. 흙을 파낼 때도 지층의 단면을 확인하면서 평평하게 파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땅을 파기보다는 '긁는다'고 하는 표현이 어울릴 것입니다.


파낸 흙은 양동이에 담겨 발굴장 밖으로 옮겨집니다. 간혹 흙에 유해나 유품이 섞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일일이 흙을 파헤쳐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유해가 발견되면 희생자의 개별성을 유지하면서 유해가 손상되지 않게 발굴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대나무 칼과 붓으로 유해 조각 한 점, 한 점을 조심스럽게 드러낸 뒤에 유해에 얽혀 있는 나무뿌리와 흙을 털어냅니다. 발굴된 유해는 적당히 건조된 뒤에 아세톤에 담겨 칫솔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거쳐야 합니다. 땅 속에서 습기를 머금고 있던 유해는 부서지기도 쉬울뿐더러 금방 상하기 때문입니다. 아세톤으로 닦여 건조된 유해는 해부학적인 감식을 거쳐 보관됩니다.



▲ 발굴된 유해를 아세톤으로 세척하는 작업


이번 발굴조사 현장은 폐금광의 동굴이었기 때문에 발굴 작업이 더욱 순탄치 않았습니다. 한 사람이 겨우 들어갈 수 있는 동굴의 흙과 돌을 모두 파내는 일은 무척이나 힘든 작업이었습니다. 49통일평화재단의 안경호 사무국장이 며칠 동안 동굴 속에서 허리도 펴지 못하고 힘든 작업을 도맡아 해냈습니다.


동굴 입구 쪽에서 유해들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뼛속 골수 사이로

나무뿌리가 얽힌

유해가 나왔습니다


희생자들의 유해가 동굴에 내던져졌기 때문에 여러 사람의 팔다리가 뒤엉켜 있습니다. 두개골 서너 개가 한 곳에서 겹겹이 쌓여 나오기도 했습니다. 두개골 속에서 M1 소총의 탄두가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두개골이 온전한 형태로 발굴된 유해를 자세히 보면 얼굴 표정이 보이기도 합니다. 희생자들의 유해가 뒤엉켜있는 모습에서 학살 당시의 끔찍한 상황을 상상해 봅니다.



▲ 오른쪽 아래 두개골 두 개가 나란히 발견된 희생자의 유해를 비롯하여 최소 4구의 유해가 겹쳐서 발견되었다.


'혹시 저 분이 나의 아버지는 아닐까?'


한 구 한 구 희생자의 유해가 참혹한 모습을 드러낼 때마다 지켜보는 유족들의 한숨은 깊어만 갑니다.

"아버지는 뻐드렁니가 났었다는데 혹시 뻐드렁니가 있는지 잘 봐주세요."

유족 이종민 씨는 뻐드렁니가 있는 유해를 보며 기대를 감추지 않습니다. 아버지의 얼굴은 자세히 기억이 나지 않지만 발굴된 유해를 보니 할머니의 얼굴 모습과 흡사하다고 말씀하십니다. 아버지를 향한 그리움과 아버지를 찾고 싶다는 간절한 염원이 절절하게 마음에 와 닿습니다.



▲ 두개골의 형태가 온전히 발굴된 희생자의 유해


한편, 발굴 기간 동안 때 아닌 폭설이 내려 우리들을 당황케 하기도 했습니다. 발굴단원들이 희생자의 눈물로 여기는 장대비가 이번에도 어김없이 발굴장에 쏟아졌습니다. 눈비를 막기 위해 가림막을 치고 배수로를 파는 일도 큰일입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발견된 유해를 모두 온전히 발굴하기에는 예정된 조사기간이 턱없이 짧다는 것이었습니다. 유해가 묻힌 곳이 개인이 소유한 땅이었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발굴을 중단하면 그대로 다시 유해를 묻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결국 추가 발굴이

결정되었습니다


마침 발굴 현장을 찾은 김석환 홍성군수도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이틀 동안의 휴식을 거쳐 다시 발굴이 재개되었고 자원봉사로 함께 한 발굴단원들도 다시 모였습니다. 뉴스를 통해 소식을 듣고 발굴 현장을 찾은 새로운 얼굴들도 있었습니다.



▲'병규'라는 이름이 새겨진 라이터


공동조사단은 3차 발굴결과 21구의 유해와 라이터, 4열 단추, 벨트, 신발 등의 유품을 발굴했습니다. 특히 발견된 라이터에는 '병규'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어 희생자를 찾을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여겨집니다. 희생자가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신분을 알리기 위해 새긴 것일 수도 있다는 설명에 안타까움이 더해집니다.


억울하게 죽어간 희생자들은 비록 아무 말도 할 수 없지만, 이번 발굴조사에 참여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은 그들 희생자들 덕분에 비로소 만날 수 있었습니다.


"희생자들이 새로운 만남을

맺어준 것입니다


스토리펀딩을 보고 참여하게 되었다는 H씨는 강원도 동해에서 차를 몰아 충남 홍성까지 달려왔습니다. 발굴 기간 내내 묵묵히 궂은일을 도맡아 준 H씨는 추가 발굴 때도 끝까지 발굴장을 지켰습니다. 억울하게 돌아가신 분들을 위해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할 뿐이라고 수줍게 웃습니다.


작년에는 어머니에 이끌려 발굴 현장을 찾았던 고등학생 M군과 J군 콤비는 부쩍 자란 모습으로 올해 다시 나타났습니다. 슬픈 역사의 현장이지만 늘 즐거운 모습으로 모두에게 웃음을 선사하는 이들에게서 새로운 힘을 얻습니다. '헬조선'에서 가장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청년 세대의 많은 젊은이들도 방학을 반납하고 아르바이트 시간을 쪼개어 발굴장을 찾았습니다.


역사의 현장에서 너나 할 것 없이 헌신적으로 땀 흘리는 그들의 모습을 보며 유족들은 무엇보다 감사하게 여겼습니다. 그분들의 크나큰 슬픔에 조금이라도 위안이 되었기를 바랄 뿐입니다. 이 밖에도 하루 이틀 시간을 내어 발굴현장을 찾은 이름 없는 시민들이 삽질을 하고 흙을 퍼 나르고 유해를 정성스레 닦아주었습니다. 함께 하신 모든 분들의 귀한 마음이 희생자들의 억울함을 조금이라도 덜어주었으리라 생각합니다.


▲ 역사의 유적으로 보존해야 할 학살의 현장


▲ 이 좁은 동굴 안과 주변에 21구의 희생자 유해가 묻혀 있었다.


유해가 모두 발굴된 폐금광의 학살현장은 우리들이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역사의 현장입니다. 유족 이종민 씨는 아버지가 66년 동안 잠들어 있던 동굴을 보존하고 싶다며 통째로 동굴을 떠가서 보존하고 싶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했습니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국가가 학살한 수많은 사람들이 지금 이 순간에도 전국의 땅속에 묻혀 66년 동안 암흑 속에 방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희생된 가족 때문에 그때부터 지금까지 66년 동안 숨죽이며 살아온 수많은 유족들이 아버지의 유해라도 찾고 싶어 눈물을 삼키고 있습니다. 가해자인 국가가 외면하고 있는 역사적 진실을 밝히고자 하는 시민들의 발걸음은 결코 멈출 수 없습니다. 이번 발굴조사를 위해 마음을 모아주신 모든 분들의 뜻이 역사의 진실에 한걸음 다가설 수 있는 큰 힘이 되었다고 믿습니다.



▲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솟대가 희망의 솟대가 되기를 바라며


충남 홍성군 광천읍 담산리 꿀꿀이산의 발굴 현장은 예전처럼 다시 흙으로 메워졌습니다.

"그 곳에 솟대 하나가

세워졌습니다



이곳에서 국가의 무자비한 폭력으로 억울하게 죽어간 분들의 넋을 달래기 위한 것입니다. 홀로 그곳을 지키고 있는 솟대가 잔혹한 학살의 현장이었던 이 땅에서 진실과 정의, 인권과 평화의 새로운 희망이 싹텄음을 전하는 희망의 솟대가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글 | 김영환(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