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주교회의에서 지난 11월 6일 사목현장 체험의 하나로 4대강사업이 행해진 낙동강 중류와 내성천을 찾았다. 주교회의 의장인 김희중 대주교와 염수정 추기경 등 12명의 주교회의 회원이 참여하였는데 낙동강 일정이 조금 길어진 까닭에 영주댐까지는 가보지 못하고 내성천 중류 우래교에서 일정을 마무리했다. 물에 들어가기는 시기적으로 좀 늦은 감이 있었지만 대구환경연합 정수근처장의 안내로 주교님들은 흔쾌히 강에 들어가 모래강을 걸어보았다. 이곳에서 일정을 마무리하면서 염수정 추기경님은 어려서 개울에서 멱 감고 고기 잡거나 서울 한강 백사장에서 수영한 시절을 돌아보면서 “아름다운 우리나라의 자연이 얼마나 좋은지 체험하며 살았다”며 “지금 그런 것들이 사라져가고 자연을 이용가치로만 생각하는데 인간의 교만이지 않은가”, “오늘 생명이 이렇게 죽어가는 것을 보면 제일 먼저 이런 것들을 개선해야 되지 않을까”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맡겨 주신 인류공동의 환경을 우리가 사랑하는 마음으로 지켜나가고 또 그렇게 더불어서 살 수 있는 자연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 우리나라가 가야 할 길”이라고 말했고, 주교회의 의장인 김희중대주교님은 “외국 사례를 보면 자연에 한번 손대려면 십 수 년 또는 수십 년 동안 공감대를 형성하고 연구하여 가장 지혜로운 방법으로 자연을 이용할 수 있는 길을 찾는데 우리는 너무 쉽게 자연을 보고 있다”면서 “프란치스코 교황 회칙 ‘찬미받으소서’ 정신에 따라 그리스도교 공동체뿐만 아니라 자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시민사회와 더불어 자연보호를 위해서 함께 공감대를 확산해야 한다”고 말하고, 이 자리를 찾은 영주시장에게 ‘찬미받으소서’를 선물하였다. 

C11 DSC_2051s2.jpg

우래교 일대를 잠시 걷는 주교회의. 주변으로 거칠어진 모래와 풀들이 보인다. 2015.11. / 박용훈 

주교회의 사목체험 현장을 진행한 한 분인 수녀님은 두 분이 이날 언급한 프란치스코 교황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나에게도 선물로 주셨는데, 당시에는 생태지평 연구원 등과 함께 내성천 보고서를 만드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어서 읽지 못하다가 시간이 많이 지나서 펴보게 되었다. 책은 지난 9월 발행되었는데 180쪽 분량으로 총 6장 36개 소주제로 구성된 이 회칙을 읽으면서 이 책을 받게 된 인연을 무척 감사하게 생각하였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는 4대강사업 당시 이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창조질서 회복을 위한 우리의 책임과 실천‘이라는 이름으로 ’환경에 대한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지침서‘를 편찬하였는데 이 지침내용은 이후 교계 중심의 여러 공간을 통해서 해설되고 공유된 것 같다. 그런 점에서 ‘찬미받으소서’는 한국 천주교 내에서는 전혀 새로운 경향은 아니겠지만 회칙이 다루는 여러 방면의 깊은 내용은 나처럼 교인이 아닌 입장에서도 두고두고 읽으며 뜻을 새길 말씀으로 여겨져서, 아마 이 회칙이 발표되고 많은 분들이 공유하였을 것 같지만, 내성천에서 염수정추기경님이 “오늘 생명이 이렇게 죽어가는 것을 보면 제일 먼저 이런 것들을 개선해야 되지 않을까” 라고 한 것을 생각하고 또 김희중 대주교님 말처럼 “자연보호를 위해 함께 공감대를 확산”한다는 뜻에서 회칙 일부를 인용하여 소개해본다. 

 제1장 3절 <생물 다양성의 감소>
33. 그렇지만 그러한 다양한 생물종들을 그저 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 ‘자원’으로만 여겨 그 고유한 가치를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해마다 수천 종의 동물과 식물이 사라지고 있습니다...우리 때문에 수많은 생물종들이 더 이상 그들의 존재 자체로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지 못하고 그들의 메시지를 우리에게 전해 주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할 권리는 없습니다.

34. 그러나 냉철하게 이 세상을 바라보면 인간의 개입정도가 종종 기업의 이익과 소비주의를 위한 것이어서 사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빈곤하고 추하며 더욱 제한되고 음울한 것으로 만들고 소비재들이 넘쳐나게 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우리는 대체할 수 없고 회복할 수 없는 아름다움을 우리 자신이 만들어 낸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착각에 빠져있는 것 같습니다. 

35. 모든 계획의 환경영향평가에서, 일반적으로 토양, 물, 대기에 미치는 영향에는 관심을 두면서도, 마치 동식물종의 소멸은 중요하지 않다는 듯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신중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37. 일부 국가들은 육지와 해양에서 특정 지역과 장소의 효과적인 보호를 시행하여 그 모습을 변형시키거나 원상태를 훼손시키는 모든 인위적 개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생물다양성의 보호에 관하여 전문가들은 보호를 거의 받지 못하거나 적게 받는 토종 생물종이 풍부한 지역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38. 우리가 열대림에 관하여 이야기할 때는 균형을 잘 잡아야 합니다. 커다란 세계적 경제 이익을 추구하는 세력들이 열대림 보호를 구실로 개별 국가의 통치권을 해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42. 살아 있는 피조물인 우리는 모두 서로 의존하고 있습니다. 모든 지역은 이 가족을 돌보아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멸종위기에 놓여 있는 생물종들을 특별히 보살피면서 보호 계획과 전략을 개발하여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생물종들을 철저히 관리하게 해야 합니다

글과 사진 : 박용훈(초록사진가)


------

'서풍소식'은 초록사진가이자 생태지평 회원이신 박용훈 님이 사진과 글로 강 소식을 전하는 칼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