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박이씨앗이야기]

수천 년의 기다림,

그리고 약속 토박이씨앗을 살려요

 

 

 

‘한반도의 자연생태계에서 대대로 살아왔거나 농업생태계에서 농민에 의하여 대대로 재배 또는 이용되고 선발되어 내려와 한국의 기후 풍토에 잘 적응된 동물, 식물 그리고 미생물’, ‘토종’에 대해 ‘한국토종연구회’가 내린 정의다. 짧지 않은 문장 중 ‘농업생태계’, ‘농민’, ‘대대로’ 등이 눈에 박힌다. 한살림에서 강조하는 ‘지속가능한 농업’의 주된 이유가 아닐까 생각한다. 

 

올해는 농업생태계가 점점 예측할 수 없는 환경으로 변해감을 실감하는 해였다. 무엇보다 옛 어른들이 말씀하셨던 절기의 특성이 점점 엇나가고 있다. 입동이 지난 후 줄창 내리는 비 때문에 12월 중순에야 콩타작을 하는 농가가 부지기수였다. 부지런히 갈무리한다고 콩가리를 해놓은 것들이 싹이 나고 썩는 것을 보면서도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소설, 대설을 지나 동지가 되어도 비가 내리니 이를 어찌한단 말인가?이런 기후 풍토에 잘 적응되는 토박이씨앗을 놓치지 말고, 농업의 근간을 이루는 자원으로서 지켜야 함을 다시 한 번 다짐해본다.

 

개인적으로 올 한 해 농사는 엉망이었다. 토박이씨앗 물품을 공급해 보고자 몇 가지 시도해 보았는데 나의 역량이 따라 주질 못했다. 주먹찰옥수수가 그랬고, 가을 김장 채소인 구억배추도 제대로 키워내지 못했다.

 

결과는 많이 부족했지만 얻은 것도 많았다. 실패를 통해서도 배우고, 토박이씨앗 자체에서도 배웠다. 

 

비와 안개로 뒤덮인 가을 들판을 바라보며 또다시 꿈을 꾼다. 수십 년에서 수백 년 아니, 수천 년 동안 이 땅에서 자라온 씨앗들이 나를 기다린다고. 그들을 맞아 지닌 특성을 잘 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마다 할 수 있으니 내가 살아가는 이유로는 충분하지 않은가.

 

 박명의 솔뫼농장 생산자·세밀화 박혜영 한살림대전 조합원

 

 

 

•  글을 쓴 박명의 생산자는 토박이씨앗에 많은 애정을 가지고 있으며, 매 해 농사지은 농작물의 씨앗을 손수 갈무리하고 있습니다.

•  세밀화를 그린 박혜영 조합원은 따뜻한 느낌이 묻어나는 그림을 좋아하고, 한 아이를 키우며 대전에 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