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 2015-11-27 21:43:59



강제동원, 망각의 현장을 가다
일제 강제동원 현장을 조사하고
피해자의 인권회복을 위해 활동해온 사람들의 이야기

[프로젝트 소개]

"강제노동 피해를 비롯한
'역사의 전모'를 밝힐 것"

올 봄, 강제동원과 관련한 일본 전범기업 시설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것을 막기 위한 피해자와 시민단체의 노력들은 절반의 성공을 거뒀습니다. 등재를 막지는 못했지만, 유네스코는 등재 조건으로 강제노동 피해를 비롯한 '역사의 전모'를 밝힐 것을 요구했습니다.

일본이 유네스코의 재정을 부담하는 비중, 일본 정부가 십 수 년 전부터 치밀하게 준비했다는 점, 아베 정부가 외교력을 집중적으로 쏟아 부은 점, 일본정부가 강제동원 가해 사실을 공식적으로 명기한 적이 없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일본으로서는 매우 불만족스러운 결과였습니다.

본정부가 '강제노동'이라는 단어를 온갖 해괴한 논리를 갖다 대며 부정하려 하지만, 마치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는 모습으로만 비칠 뿐입니다. 오히려 이번 일은 일본 정부와 전범기업의 '강제노동' 문제가 국제적으로 부각되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저희는 유네스코 21개 회원국에게 일본 산업시설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적극적으로 홍보했습니다. 독일의 회의장 인근에서 열린 강제노동 전시회를 살펴본 회원국 관계자들은 "한국의 피해자와 시민단체가 왜 문제제기 하는지를 알게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한국이 왜 문제제기
하는지 알게 되었다"

일본정부의 치밀한 준비에 비하면 강제동원 피해자를 비롯하여 한국과 일본의 시민단체가 너무 늦게 대응한 것이었지만 내용은 결코 부실하지 않았습니다. 이미 20여 년 전부터 피해자와 함께 한일시민들이 일본 각지에서 강제노동 실태를 조사하고 피해 구제 활동을 해온 경험과 역사가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피해자들의 증언을 기록하고, 관공서, 절, 기업 등의 문서고를 뒤지며, 폐허가 된 현장과 이름 없는 한국인의 무덤을 찾아 위령시설을 세우고, 유해를 발굴하는 한편, 일본 사법부를 상대로 소송을 벌여 피해자의 권리를 되찾기 위해 오랜 기간 노력해 왔습니다. 이 모든 것이 정부나 기업의 지원 없이 자신의 호주머니를 털어서 지속해온 것입니다.

"정부나 기업 지원 없이
호주머니 털어서 밝힌
강제노동 실태"

'일본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문제는 일단 정리가 되었지만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과연 일본정부가 유네스코의 권고에 따라 강제동원 피해 사실을 제대로 기록할 것인가? 아베정권은 또 무엇을 감추고, 무엇을 노리고 있는가? 오늘도 한국과 일본에서 관계자들의 고민과 회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이러한 피해자와 시민들의 '이야기들'을 수집하고 보전하고 교육하는 방법을 고민해왔습니다. 또한 진실과 정의, 평화와 인권을 위한 국제적인 연대 활동을 지속해 왔습니다. 이제는 그 활동을 좀 더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기억의 전승과 연대의 허브' 역할을 할 '식민지역사박물관'(가)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과거를 기억하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똑같이 나눠 갖는 책임' 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일본 등 각지의 징용. 징병 강제동원 현장에서 활동하며 밝혀 온 성과와 현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민들의 이야기 를 전하기 위해 준비되었습니다.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역사의 진실을 쫓아 수십 년간 노력해 온 사람들 역시, 우리가 잊어서는 안 될 소중한 역사입니다.

그 '이야기들'이 사라지지 않고 오랫동안 사람들의 입을 통해 전승되고 기억되길 바랍니다.

[스토리펀딩]1화. 세계유산 '군함도' 지옥섬의 조선인을 기억하라

[스토리펀딩]2화. 바다에 갇힌 조선인의 영혼을 기억하라

[스토리펀딩]3화. 낯선 이국 땅, 카이지마 탄광에서 다시 만난 아버지

[스토리펀딩]4화 "야스쿠니 참배는 백이면 백, 해만 된다"

[스토리펀딩]5화 "죽은 유골까지 차별하는 일본 정부"


오사카 육군 조병창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가 


조선인 강제연행 진상조사단


1991년, 일본인과 '재일조선인'들이 함께 오사카(大阪) 지역의 '조선인 강제연행 진상조사단'을 결성했습니다. 이후 오사카부(大阪府)와 근방 지역에서 있었던 강제연행의 실태를 조사해 왔습니다. 주로 생존자 및 목격자의 증언 청취·기록, 강제연행 현지 조사, 도서관 등에서 문헌기록을 발굴하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재일조선인' 1세 어르신들에게 청취조사를 할 때 일본인들만 찾아가면 아무것도 진행할 수 없었습니다. 피해를 경험한 1세 분들은 일본인들을 신뢰하지 않았습니다. 재일동포가 함께 가지 않으면 안심하고 마음속에 있는 이야기를 듣기 어렵고 '진실'에 다가갈 수 없었습니다.
조사 결과, 오사카에서는 군수공장·제철소·조선소 등 도시 안에 있던 공장과 일본군이 본토결전(本土決戰)을 대비해서 산 속에 만들던 지하공장에 2만 명이 넘는 '조선인'들이 동원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그곳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가"


저희들은 조사를 통해 확인한 사실을 책이나 영상으로 제작해서 사회에 알려왔습니다. 책은 '조선인 강제연행 조사의 기록(오사카 편)' 영상은 '오사카와 조선인 강제연행' 등이 있습니다. 또한 '피스오사카'(오사카 국제평화센터)에서 강제연행과 관련한 전시회를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이후에도 여러 행사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조사 결과를 전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1995년은 일본의 패전 50년이 되는 해였습니다. 이때 오사카부와 오사카시(大阪市)는 공동으로, 전쟁유적을 보존하고 명판을 만들어 "그곳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가"를 기록하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저희들은 이 사업에 대해 "피해를 입은 전쟁유적 뿐만 아니라, 가해자 일본의 전쟁유적도 남기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사업 안에 오사카에서 일어난 강제연행 유적을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 결과,

아래 4곳의 유적에


명판이 설치되었습니다"


오사카성 주변의 당시 아시아 최대 병기공장 '오사카 육군 조병창(大阪陸軍造兵廠)'



▲ 오사카성과 오사카육군조병창(1932)


▲ 오사카육군조병창 전도

▲ 오사카성에 남아있는 전쟁의 상흔 명판

▲ 오사카성에 남아있는 전쟁의 상흔 명판

오사카 도심 이쿠타마공원(生玉公園) 지하에 만든 거대한 지하기지



▲ 이쿠타마공원 지하호 입구, 개봉전(1991.3.17.)


▲ 이쿠타마공원 지하호, 내부(1991.8.27)

▲이쿠타마공원 지하호 명판(1996.5.25)

▲ 이쿠타마공원 지하호 명판


오사카부 이바라키시(茨木市)의 산간에 만든 아이지하창고(安威地下倉庫)



▲ 아이지하창고(항공사진)


▲ 아이지하창고 입구(1994.1.23)

▲ 아이지하창고 유적비 (1996.6.13)

▲ 오사카경비부군수부 아이창고 유적지 명판(1996.6.13)


다치소 가와사키 항공기지하공장(タチソ川崎航空機地下工場)



▲ 오사카부 타치소유적 분포도 (大阪府高槻市, 戰爭遺跡, タチソ人工洞窟の寫眞と測量解析)


▲ 타치소 지하호 유적비 (1996.5.25)

▲ 타치소 지하호 유적비

▲ 타치소 지하호 유적비


이 시설들은 모두 '조선 청년'들의 엄혹한 강제노동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 곳에 세워진 명판에는 강제연행된 조선인 노동자들이 가혹한 노동을 당하였다는 설명이 적혀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일본군 '위안부'나 강제연행은 거짓말이라고 하는 우익적 풍조가 (일본) 사회에 나타나면서 이런 명판에 대한 공격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명판을 철거해야 한다"거나 "다시 고쳐 쓰라"는 요구를 하고 있습니다. 저희들은 과거의 역사를 잊으면 같은 잘못을 되풀이하게 되기 때문에, 이런 움직임을 절대로 용납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최대의 군수공장이었던 '오사카 육군 조병창'의 경우 1,319명의 조선 청년이 징용당했습니다. 1945년 8월 14일 미군 폭격기 B29의 오사카 대공습으로 조병창이 괴멸적인 타격을 입을 때 조병창에서 일하던 사람 중 많은 수가 사망했습니다. 이 가운데 '조선인'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의 상세한 내용은
금까지 불분명했습니다"



▲ 미군 B-29 폭격기의 오사카 공습, 가운데 위 오사카성(1945.6.1, United States Air Force Historical Research Agency)


▲ 4일 오사카대공습 후 오사카성과 파괴된 조병창


그런데 최근, 한국 정부가 가지고 있는 자료 중에 "오사카 육군 조병창에 파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피해자 목록 자료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국 진상규명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올해 9월에 그중에 1명과 연락이 닿았고 직접 면담조사를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분은 오사카부의 히라카타시(枚方市)에 있던 조병창 지부에 파견되었기 때문에 폭격당한 본청에 관한 이야기를 들을 수는 없었습니다. 실망하지 않고 앞으로도 청취 조사를 지속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다른 곳의 조사에서는 공습 때 "연행되어 온 조선인은 자유롭게 공습을 피할 수 없었다"거나 "방공호에 넣어주지 않아 공습을 피하지 못하고 사망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오사카 육군 조병창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가."


저희들은 생존자의 증언을 통해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돌이켜 보면 강제연행 조사를 일본 국내뿐만 아니라, 한국 분들과 연대해서 했다면 더 진실을 명확히 할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연령으로 본다면 생존자 분들이 증언할 수 있는 것도 거의 마지막 단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귀중한 증언을 꼭 청취해서 남겨야 합니다. 독자 여러분들 중에 생존자의 정보를 갖고 계신 분은 알려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한국과 일본, 서로 국민감정이 나빠지고 있습니다


그 주된 원인은 일본의 '역사 위조파'의 움직임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일본은 만세일계(万世一系)의 천황이 지배하는 신의 나라이며, 그 일본이 종군위안부 같은 나쁜 짓을 할 리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일본에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위에서도 설명했지만, 1995년, 패전 50년에 '전쟁유적 명판 사업'을 할 때는 이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그 후 일본 사회 안에 남아있던 낡은 본질이 드러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주장은 사실에 바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저희들은 사실을 가지고 싸워 갈 생각입니다.


과거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연행의 시대에는 일본인의 인권도 부정되어 인간답게 살아갈 수 없었습니다. 인권이 보장된 사회는 다른 나라를 억압할 필요가 없습니다. 한국과 일본의 시민들이 인권과 민주주의가 보장되는 사회를 이룩하고, 우호적인 관계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 오사카성에 남아있는 전쟁의 상흔 명판



오사카성 공원 안에 남아있는 전쟁의 상흔



 

태평양전쟁에서 우리나라(일본)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사람들에게 큰 재난과 고통을 주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오사카도 8차에 걸친 대공습을 포함하여 50회가 넘는 공습을 받아 도시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은 폐허가 되었습니다.

이곳, 오사카성 공원도 여러 차례의 공습, 1톤 폭탄에 의해 오사카성 천수각의 석단이 어그러지거나(천수각 동북 모서리)나 기총 사격으로 인한 피탄의 흔적(천수각 북·산리곡륜부 석단)을 비롯하여 공습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석단의 비뚤어짐 등 수많은 전쟁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당시 공원 안에는 여러 군사시설이 있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제4사단 사령부로 사용했던 청사(현 오사카 시립박물관)는 오사카 시내에 남아 있는 군사시설 중에 최대 규모의 건물입니다.

또 공원 동측 일대에 넓게 자리 잡고 있던 오사카 육군 조병창(오사카 포병 공창)은 면적이 1,18 평방킬로미터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병기 공장이었고 전쟁 말기에는 오사카 본부 조병창을 포함해 전체 공장에서 일반 공원 외 학도 동원, 여자정신대, 일반 징용 공원 등 64,000명이 노동하였습니다. 그 가운데 당시 식민지 지배하에서 강제연행 등으로 모인 조선 청년 1,300명 이상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오사카 육군 조병창은 1945년 8월 14일 격렬한 폭격에 의해 괴멸되어 지금은 화학분석장으로 이용된 시설(전 자위대 오사카 지방 연락부) 등 일부가 남아 있습니다. 본관이 있었던 곳에는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홀'로 '오사카성 홀'이 건립되었고 진료소가 있었던 곳에는 오사카부·오사카시가 함께 세계평화와 번영에 적극적으로 공헌하기 위해 건립한 '오사카국제평화센타(피스오사카)'가 있습니다.

전후 50주년을 맞아 전쟁의 비참함을 전하고, 국적·민족·문화 등의 차이를 넘어 상호 이해와 우호를 깊게 하며 세계평화를 마음으로부터 바라는 뜻을 담아 여기에 명판을 설치합니다.
1996년 3월 오사카부 · 오사카시

<편집자 주>

1. 오사카 지역의 강제동원


1870년 일본 메이지 정부는 병부성(兵部省) 직속으로 오사카성 안에 조병사(造兵司)를 설치하였습니다. 이후 조병사는 몇 차례 명칭을 바꾸다 1923년 '오사카 포병 공창'이 되어 구 일본 육군의 병참부 역할을 했습니다. 따라서 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오사카에는 군수산업이 부흥했습니다. 자연스럽게 항만, 전력, 철도 등 기반 시설공사와 방적·직물 등 중소 제조업도 급성장하였고 많은 노동력이 필요했습니다.


이에 따라 오사카 지역의 산업시설에서는 저임금으로 사용할 수 있던 조선인 노동자를 고용하기 시작했는데 당시 '식민지 조선'에서 생존의 길을 찾을 수 없던 농민과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찾아 이 지역으로 들어왔습니다. 이러한 사정은 일본에서도 특히 오사카 지역에 '조선인'들이 많이 거주하게 된 이유 중에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1939년부터 국가총동원법에 의해 '조선인'들이 탄광, 광산 등으로 강제동원될 때 오사카 지역으로 끌려간 사람들은 지하호와 같은 '군사시설공사'와 '오사카 육군 조병창' 같은 군수산업에 동원되었습니다. 조사된 것에 따르면 오사카 지역에 동원된 조선인은 20,000명 정도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1944년 12월 19일 처음 오사카에 미공군의 폭격이 시작되었을 때 조선인이 얼마나 있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다만 폭격으로 피해를 입은 오사카 지역의 조선인 수가 83,900명이라는 1945년 6월 일본 측의 보고가 남아 있습니다.


2. 오사카육군조병창


오사카 JR교바시 역(京橋驛) 남쪽의 오사카성 공원과 비즈니스파크 일대에 있던 구 일본 육군의 주요 군사시설로 주로 화포, 탄환, 폭약, 항공기 부품 등 병기의 제조, 검사, 연구 등을 하던 시설입니다.


1941년 10월부터 징용노동자가 일하기 시작하여 해방 직전에는 63,942명이 있었습니다. 이 중 조선인 노동자는 1,319명이었습니다. 1944년 12월부터 시작된 54회의 오사카 공습으로 시설의 80% 가량이 파괴되었고, 11,971명이 사망, 2,059명이 행방불명되었습니다.


▲ 오사카성과 포병공창화학분석장(2010.5)



3. 이쿠타마공원 지하호


오사카 다니마치쿠초메역(谷町九丁目驛) 서남쪽, 이쿠타마신사 앞의 이쿠타마(生玉公園)공원 지하에 있는 지하군사호입니다. 1991년 재일조선인 1세 이현주(李鉉珠)씨가 우연히 '진상조사단'에게 "자신이 징용당해 그곳에서 일했다"고 증언하여 발견되었습니다.


경상남도 함안에서 끌려온 40~50명의 조선인과 일본 내의 다른 지역에서 온 조선인 노동자 20~30명, 탄광에서 도망친 조선인 등 100여 명이 강제노동하였습니다. 이후 조사에서 오사카성에 있던 육군 제4사단 사령부가 이전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4. 다치소 가와사키 항공기지하공장(タチソ川崎航空機地下工場)


오사카 타카쯔키시(高槻市) 나리아이(成合)에 있는 30여개의 지하터널 군 입니다. 타카쯔키의 タ(타), 지하의 チ(치), 창고의 ソ(소), 단어의 일본어 발음 앞 음절을 조합하여 타치소(タチソ)라고 불리우는데 구 일본군이 사용하던 음어 '타치소'를 그대로 사용한 것입니다.


태평양전쟁말기 '본토결전'을 준비하던 일본군은 공습을 피해 주요 시설을 지하로 옮기려는 계획을 세웠는데, 1944년 9월 육군은 타카쯔키시에 지하터널을 만들어 가와사키항공기 공장을 옮기려 했습니다. 밤낮없이 극비에 진행된 이 공사에 지역 주민들과 근처 학교의 학생들을 동원했지만 터널을 파들어 가는 위험한 작업에는 3,500명 정도의 조선인 노동자가 동원되었습니다.


타카쯔키시에서 부분적으로 공개한 자료를 보면 1944년 11월~1945년 8월까지 경상남북도, 전라남북도, 평안북도 등 본적지가 한반도인 것으로 표기된 사망자는 50명이었습니다.


글 |
소라노 요시히로(空野佳弘, 오사카부 조선인강제연행진상조사단 일본측 사무국장)


번역·편집 |
김진영(민족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