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개복동 화재참사
13주기
성명서/

 

군산
개복동화재 참사의 아픔을 딛고


여성·인권교육의
현장으로 되살려야 한다
!!

 

 

 

 2002129,
우리는 이날의 참혹한
희생을 너무도 생생히 기억한다
.
수많은 사연을 가진
여성들이 업소에서 고단한 영업을 끝내고 잠을 자다 화재로 인해 희생된 그 날은 유난히 추웠던 겨울이었다
.
밖에서만 열 수 있는
잠금키로 출입문이 봉쇄된 상태에서
2층으로 대피하기 위해 연결된 계단으로
올라갔지만 또다시 잠겨진 철문 앞에서
14명의 여성들은 모두 고단한 생을 마감한
것이다
.
비좁은 통로와
사방으로 막힌 벽
,
밖에서 보면
창문이지만 내부는 베니어합판에 벽지가 붙어있는 벽에서 성착취를 받아오던 여성들은 그렇게 세상과 작별하였다
.
그리고
10년이 지난 20132월 마침내 한많은 건물은 세상에서
사라졌다
.


 그동안 군산시는 청소년 문화공간을 만든다면서
많은 계획을 세웠다고 했지만
,정작 어느 것 하나 추진된 것은 없이 오히려
흉물스런
건물 철거만 단행한
꼴이 되었다
.
군산시는 개복동
화재참사 건물의 안전성을 문제로 철거하고 이후 대안을 함께 만들겠다고 했지만 막상 건물이 철거되자 군산시
,
전라북도,
정부,
국회 어느 누구도 이
부분에 대해 관심도 없고 대안을 만들려고 하는 의지가 없고 오히려 지역주민들과의 갈등만 부추키고 있는 꼴이 되었다
.



 
오늘날 지역사회의 공간은 역사적으로
미래세대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
지역주민들의 이해와
욕구
,
역사적인 상징성을
모두 아우르면서 아픔과 고통의 역사를 잊지 않도록 하는 보다 진일보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
이를 위해 우리는
그동안 새로운 여성과 아동
,
청소년을 위한 역사
교육의 장
,
인권의 공간으로
재탄생되도록 요청해 왔다
.
군산개복동화재참사로
성매매방지법이 제정되었고 여성들의 인권의 역사가 새로 씌어진 과정과 함께 군산 개복동 주민들이 화재사건을 상처로서만이 아니라 치유와 회복의
,
인권과 평화교육의
문화공간으로 전환시키는 일에 함께 하는 것은 새로운 희망을 일구는 과정일 것이다
.


 

 군산개복동 화재참사 이후 법제정과 함께
성매매여성들의 피해상황은 조금은 나아졌지만 여전히 우리사회는 성매매여성들에 대한 차별과 낙인을 강화하면서 여성들에게 그 책임을
묻고
,
성매매여성들은 절망과
죽음으로 내몰리고 있다
.
살고싶다는 여성들의 외침에 우리사회가 대답하는 것은
성산업 확산을 막아내고
,
성착취피해자인
성매매여성에 대한 처벌이 아닌 비범죄화로 인권이 보장되도록 하는 대안마련에 힘을 쏟는 것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


  군산개복동 화재참사 13주기를 맞이하여
군산대명동
,
개복동화재참사
희생자를 비롯하여
,
성매매현장에서
살해당하거나 자살로 생을 마감한 수많은 여성들을 기억할 것이다
.
또한 철거된 군산
개복동 화재참사 지역이 새로운 인권의 공간으로 재탄생되어 지역사회의 변화와 역사 교육의 장으로 하루속히 재탄생 되기를 다시한번 기대하며
인권세상을 위한 행진을 멈추지 않고 행동 할 것이다
.


 

 

 

 

2015129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군산개복동여성인권센터
()건립추진위원회

 

 


저작자 표시
비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