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선기의 그 섬에 가고 싶다] 섬 이야기를 시작하며...
섬이 가지고 있는 매력은 무엇일까. 바다로 둘러싸인 고립감과 은폐성에서 오는 미묘한 공간이 매력이 아닐까. 물론 섬의 규모와 환경지리적인 특성에 따라 섬의 형상은 천차만별이겠지만, 일단 우리에게 주는 섬의 이미지는 고독한 공간임은 틀림없다.
최근 우리나라 관광객들도 점차 해외 유명 관광지로 여행을 나가는 추세이고, 여러 TV방송을 통하여 알려진 국내외 섬들도 손님맞이에 바쁘다고 한다. 전 세계 신혼여행객들이 선호하는 곳들도 하와이, 몰디브, 발리, 산토리니 등 섬이고, 인간의 손이 제일 적게 닿아 천혜의 자연 그대로 남아 있는 절경도 섬이다.
우리나라가 섬나라라고?
우리나라가 섬 국가라고 한다면 의아하게 생각할 수 있겠으나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3,400여개의 유, 무인도가 있는 섬 국가이다. 여기서 섬 국가는 섬이 많은 국가를 의미한다. 일본이나 영국처럼 국가 자체가 섬은 아니다. 섬에 대한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국제적으로 통용하는 유엔해양법에 근거한 섬은 고립성을 중요시 한다. 즉, 사방이 늘 수체(水體)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어야 하고, 또한 만조시에도 섬이 드러나야 한다는 것이다.
한반도는 동고서저의 지형상 서해와 남해에 섬이 많이 분포한다. 그러나 서해바다도 옹진군에서 진도군에 이르기까지, 또 남해바다는 여수에서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이르기까지 섬의 생태환경적인 특성은 매우 다르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갯벌 특성에 의한 것일 것이다.
갯벌을 구성하는 물질이 무엇일까에 따라서 서남해 섬 주변의 갯벌은 달라진다. 갯벌은 강 하구에 쌓인 유기물이 해류에 의하여 옮겨 다니면서 퇴적되는 것으로 바다의 미세한 저서생물들의 서식처가 되고 있다. 이처럼 갯벌과 섬이 함께 공존하는 서남해의 섬들은 앞서 설명한 유엔(UN)해양법으로 설명할 수 없는 매우 독특한 경관을 보여주고 있다. 물이 차는 만조시에는 일상적인 모습의 섬으로, 간조시에는 광활한 갯벌이 드러나면서 섬들을 감싸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섬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전 세계 조수간만의 차가 있는 해역의 섬들은 비슷한 경관을 보인다.
섬 매력을 앗아가는 연륙교
대표적인 지역이 프랑스의 몽셀미셀((Mont Saint-Michel)이다. 갯벌에 파묻힌 갯벌섬으로 된 서남해 바다는 그야말로 전 세계적인 명소가 아닐까 생각한다. 물이 차면 건너갈 수 없는 섬들도 물이 빠지면 펄을 걸어서 옆 섬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금이라도 뭍으로 가고 싶은 마음에 돌을 하나둘씩 옮기면서 만든 돌다리(일명 노두라고 함)는 그야말로 인간 집념의 산물이다.요즘처럼 몇 주 만에 만들어지는 다리와는 차원이 다른 노동의 결실인 것이다.
그래서일까? 근래 섬 주민들의 숙원은 피와 땀이 녹아든 노두보단 편한(?) 콘크리크 연륙교로 내륙과 연결되길 원한다. 이젠 노두가 아니라 연륙교에 섬에서 벗어나고픈 섬 사람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우리나라 유일의 섬으로 이루어진 지방자치단체인 전남 신안군이 연륙․연도교 사업에 열을 올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목포시와 인접한 압해도와 신안군 암태도를 연결하는 새천년대교가 완성이 되면 신안군은 이제 육지의 행정구역으로 바뀐다. 크고 작은 섬들은 이미 연도교로 연결되어 있기에 새천년대교가 완성되면 수백 년간 이어져 온 섬 주민들에게 엄청난 생활변화가 올 것이다. 여기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은 이미 계획 단계에서 지자체가 다 조사했을 것으로 믿고 싶다. 부디 마음만 앞서가는 연륙교 사업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섬이 주는 고립성 때문에 사람들이 섬을 찾는 것이고, 또 그 고립성 때문에 섬에서 떠나고 싶어 한다. 그럼에도 불고하고 고립성에 대한 이중적인 특성이 바로 섬의 매력이 아닐까.
글쓴이 : 홍선기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