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지향)일기 시즌4]

비건의 계절

에비

 

비건의 여름

 

여름의 텃밭. 완두콩을 수확했다. 비료를 주지 않은 텃밭에서 비실비실 올라가던 콩 줄기에서 작은 꽃이 피더니, 작지만 어엿한 콩깍지가 꽃을 밀고 나왔다. 꽃이 진 자리마다 자른 손톱 같은 콩깍지가 맺혔다. 작은 콩깍지는 작은 콩을 품었다. 심은 콩보다 훨씬 작은 콩을 수확했으니, 경제성을 따지면 실패다. 하지만 농부에게는 실패가 없다고 했던가. 어린이 농부들과 함께 물을 주고 관찰 일기를 그리고 꽃 사진을 찍으며 매일 콩깍지를 들여다보는 설렘은 유명 경제학자가 지적한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었다. 완두콩 옆으로 튼튼한 상추, 고추, 오이, 가지가 자라났다. 작물은 가끔 어린이들이 가져가고 자주 어른들이 가져다 먹었다.

 

여름의 풀. 온갖 맛있는 풀들이 지천에서 자라난다. 텃밭에서 그냥 가져가든 시장에서 사든, 한 손 가득 쥐고 한 상 푸짐하게 먹을 수 있다. 매일 풀을 소비하다 보니, 샐러드 소스를 만드는 데도 도가 텄다. 감식초와 올리브유에 당분을 더하거나 잼을 섞는다. 이것도 귀찮은 날엔 풀을 여러 장 겹쳐 된장과 함께 밥에 싸 먹는다. 찬물에 30분 담갔다 꺼낸 풀은 수분을 머금어 쫄깃쫄깃하다.

 

여름의 과일. 살구, 토마토, 참외에 이어 블루베리, 자두, 수박을 샀다. 한 주에 과일 한 종류씩, 여름이 제철인 과일들이 순서를 지키며 우리 집 냉장고로 들어간다. 과일은 아침 식사로 좋다. 씻고 다듬으면서 한 입씩 먹다 보면 그릇에 담을 것도 없을 때가 많다. 예쁜 포크도 있는데 손으로 우적우적. 과즙이 손등을 타고 팔꿈치로 흐른다. 수박은 사 온 날 정사각형으로 잘라서 김치통에 보관하고 깔끔하게 먹는다. 엊그제는 반 쪼개진 것으로 사 와서 반구 상태로 두고 숟가락으로 퍼먹었다. 어쩐지 교양 없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숟가락으로 동그랗게 파먹는 게 재미있다. 단지 수박 때문에 이 더위를 용서할 수 있다고, 수박을 먹으며 생각한다.

 

여름의 감자. 하지에 수확하는 감자는 주식으로도 좋다. 껍질 바로 밑면이 아주 맛있기 때문에 유기농을 사서 껍질채로 먹는다. 감자를 굵은 소금 반 숟가락과 함께 압력솥에 넣고 찐다. 감자 익는 냄새가 폴폴 난다. (아, 이건 여름의 냄새다) 약불에서 3~4분을 더 기다려 감자가 충분히 익으면 불에서 내린다. 물을 한 숟갈만 남기고 빼고, 솥을 다시 불에 올려 물을 말려준다. 감자 위로 하얀 전분이 나온다. 짭짤한 이 찐 감자는 약간 식혀서 먹으면 더 맛있다. 냉장고에 넣은 지 며칠 지난 찐 감자는 한입 크기로 썰어 허브와 함께 올리브기름에 노릇하게 굽는다. 더워서 여러 가지 반찬을 만들기 귀찮을 땐 미리 쪄 둔 감자만 한 프리패스가 또 없다. 가끔 단호박과 옥수수가 감자를 대신하기도 하지만 여름작물의 메인은 감자로 간다.

 

여름의 술. 여름에 화분이 터지도록 자라고 있는 페퍼민트를 따서 찬물에 푹 담갔다가 씻는다. 얼음과 탄산수, 라임즙, 설탕을 넣으면 논알콜 모히또가 된다. (캬~)

 

여름의 빙수. 작은 팩에 담긴 두유를 펴서 납작한 형태로 만들고, 눕힌 채로 얼렸다가 약간 녹여서 병으로 살살 때린 다음 그릇에 담는다. 여기에 팥 조림을 얹으면 눈꽃 두유 팥빙수가 된다. 국내산 팥 조림 한 병을 사면 여름내 작은 행복을 느낄 수 있다. (빙수는 역시 팥!)

 

여름의 비건. 쫄깃쫄깃, 과즙이 흐르는, 감칠맛이 나는, 시원한, 달콤한. 비건의 부엌은 여름이 제철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게 만 원 이하로 해결된다…! 약간 감동이다. 이렇게 풍족한 데 왜 고기를 먹지? 소화되지 않는 의문을 가지며 글을 마친다. 

돌아오는 초복엔 콩국수와 오이무침을 먹고 수박화채로 입가심을 해 볼까나~

 

필자 소개: 비건 지향의 마을환경운동가. 나의 속도로 삶을 삽니다. 귀촌을 준비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