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지향)일기 시즌3]

나의 비건 친구에게

여현

 

친구야, 안녕.

우리가 편지를 곧잘 주고받았지만 비건을 주제로 얘기하는 건 처음이라 사실 좀 긴장돼. 그래도 가장 솔직할 수 있는 너니까 이렇게 편지를 써 본다. (지금이 아니면 용기가 나지 않을 것 같아.)

비건을 지향할 때 사실 난 페스코 단계까지 그리 어렵지 않을 거라 생각했어. 한의사 선생님도 내 체질에 고기는 맞지 않고 그나마 돼지와 해산물이 맞을 거라 말해주셨거든. (종차별적 단어를 쓴 건 그때 내 인식을 보여주기 위함이니 부디 양해해 주길..) 하지만 금방 벽에 부딪혔어. 샐러드 소스에도, 젤리에도 '00고기 함유'가 써져있었거든. 예전엔 당류나 나트륨 함량이 높은지 영양정보만 봤는데 비건 지향을 결심하니 동물성 성분이 어찌나 눈에 잘 보이는지. 그래도 밖에서 굶지는 않았던 건, 페스코로 살면 먹을 수 있는 반찬이 있었기 때문이야. 그마저도 옆 사람이 고기를 얹어주며 많이 먹으라고 하면 적당히 먹는 시늉을 할 때도 있었어.

우리 같이 중국에서 지낼 때, 내가 顺其自然(순기자연)이라는 사자성어 좋아했던 거 기억나? 이 말처럼 순리에 따라 흘러가는 대로, 자연스럽게 살고 싶었기에 만약 내가 모임에서 채식 얘기를 꺼내면 화기애애한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건 아닐까, 그건 부자연스럽지 않을까, 지레 겁먹고는 했음을 이제야 고백해. 최은영 작가의 《쇼코의 미소》에서 "세상으로부터 초대받고 싶었다."라는 말이 가장 아프게 다가왔던 만큼 나는 육식에 동조함으로써 세상으로부터 초대받고 싶었던 것 같아.

그런데 자연스럽다는 게 뭘까?

내가 자연스럽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사실은 '자연自然'스럽지 않은 건 아닐까? 코로나로 외출 전 마스크를 챙기는 게 숨 쉬듯 자연스러워졌지만, 아이들이 마스크를 끼고 운동장에서 뛰노는 걸 보면 기분이 무척 이상한 것처럼 말야. 한 번 이상함을 느끼기 시작하니까 내가, 또 사람들이 무뎌진 많은 것들이 궁금해지더라. 네가 해산물 대신 '물살이'라는 말을 쓸 때도 난 개념으로 받아들였지, 사실 마음 깊이 이해하지는 못했어. 다큐 <나의 문어 선생님>을 보고 조금씩 공감하게 되었고 <아바타: 물의 길>에서 나비족이 타고 다니는 일루(Ilu)가 총에 맞아 죽었을 때 물살이도 피를 흘린다는 걸 새삼 깨달았지. 익숙함에서 멀어지기 위해 찾아보다 보니, 새우가 우리 앞으로 오기까지는 또 얼마나 많은 부자연스러움이 있는지 알게 되었어. 파키스탄의 마카르 콜로니에서는 새우 가공 과정에서 아동을 착취하는데, 하루 12시간 동안 새우 껍질을 벗겨도 아이들 수중에 떨어지는 돈은 2달러 남짓이래. 얼음이 둥둥 떠있는 바닷물 앞에 쭈그려 앉아 손가락 관절염과 척추 통증에 시달린다니, 너무 충격이었어.

그럼에도 나는 망각의 동물이라, <옥자>를 찍으며 두 달 동안 채식을 했던 봉준호 감독님처럼 작심삼월하고는 한단다. 완벽하지 않아서 비건인 너에게 떳떳하지 못했고 너는 내가 부담 가질까 봐 직접적인 언급을 피했지만, 나는 이제 우리가 맘껏 이야기 나누며 자극도 받고 서로 격려도 했으면 좋겠다. 부디 너의 세상에 날 초대해 주지 않을래?

 

받아줄 거 아니까 이렇게 솔직해져 보는 너의 친구, 여현이가

 

맹그로브숲 ⓒfreepik (새우양식을 위해 많은 맹그로브숲이 사라지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