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지향)일기 시즌3]

호주살이, 비건살이

위정윤

 

 나는 현재 호주 멜버른(Melbourne)에서 두 달 살기 중이다. 4주가 지난 지금 나는, 여러 번의 여행을 통해 호주의 자연과 여름을 만끽하고 있다. 호주의 남쪽 섬 타즈마니아(Tasmania)와 멜버른 근교인 단데농(Dandenong), 모닝톤 페닌술라(Mornington Peninsula) 등을 다니며 맑디 맑은 바다에서 수영하기도 하고 호수를 따라 걷기도, 숲을 산책하기도 한다. 이 시간을 통해 호주가 얼마나 자연환경을 깨끗하고 아름답게 보존하고 있는지 느끼고 있다.

 

[타즈마이아 섬의 한 해변]

 

그리고 나는 한국에서보다 훨씬 더 만족스러운 비건인으로 살아가는 중이다. 비건 메뉴가 어디에나 있는 이곳에서는 한국에서 겪는 어려움은 거의 없이 논비건인들과 식사를 하는 것이 가장 큰 다름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지내는 멜버른은, 많은 식당에 비건 섹션이 메뉴판에 함께 있고, 비건 섹션이 없더라도 비건 옵션이 되는 메뉴가 적어도 두세 개는 차지한다. 여러 가지(락토/오보/오보락토) 베지테리언 메뉴는 어딜 가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여태까지 대체유가 없는 카페는 경험하지 못했다.

 

 [비건메뉴 섹션이 있는 한 식당의 메뉴판]

 

다양한 식당과 비건 제품을 찾을 수 있는 것도 매력이다. 비건 메뉴들이 대부분 있다 보니 내가 좋아하는 태국 음식, 말레이시아 음식, 베트남 음식, 이탈리안 음식, 브런치 음식 등등 여러 장르의 음식을 먹고 싶을 때 쉽게 식당을 찾아 먹을 수 있다. 식재료를 살 때는, 비건 그로서리 마켓에 가지 않아도 큰 수퍼마켓에서 비건 제품들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대체유를 포함해 비건 치즈, 비건 요거트, 비건 김치(!), 비건 버터, 템페나 두부 제품들, 비건 야채볼, 소시지나 패티 제품들도 다양하게 나와있다. 비건 디저트와 아이스크림도 쉽게 수퍼마켓에서 구입 가능하다. 이렇게 비건/논비건이 단절되어 있지 않다 보니 논비건인들도 비건 메뉴나 비건 제품들을 자연스럽게 접하고 구입하게 된다. 이것은 이미 비건인 사람들에게도 좋은 환경이지만, 쉽게 비건을 지향할 수 있는 환경이기도 하다.

 

[비건으로 접했던 다양한 음식들]

 

 식당 메뉴나 제품들뿐 아니라 내가 느끼는 비건에 대한 인식 차이도 극명하다. 한국에서는 논비건인들과 음식점에 갈 때 미안한 마음으로 비건 메뉴가 있는 음식점을 가자고 하거나 비건 메뉴가 없는 곳에 가서는 식당에 부탁하여 비건으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하여 겨우 식사를 할 수 있었다. 싫어하는 티를 내며 마지못해 비건으로 만들어주는 식당들도 있었다. 운이 좋게 나의 다이어터리를 이해해 주는 친구들과 함께 할 경우에만 비건 식당에 가서 마음 놓고 식사를 할 수 있었다. 논비건인 사람들과 만나서 편하게 식사하는 것이 어렵고 마음이 무거워져 점점 사람들과 만나는 것이 불편해지기도 했다. 음식점에서 어떤 것이 비건인지, 비건으로 먹을 수 있는지 물어보는 것이 점점 더 힘들어졌다. 어떤 사람들은 존중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귀찮아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호주에서 현재 논비건인 동생과 그의 하우스 메이트와 함께 지내는 나는, 그들이 나의 다이어터리를 알고 있기에 집에서는 거의 비건으로 요리하여 식사하고 있다. 다른 친구들과 외식을 할 때도 오히려 그들이 맛있는 비건 음식점을 찾아 나와 함께 가주기도 한다. 음식점이나 카페에서 원하는 옵션을 요구하고 받아들여지는 과정은 당연하고, 이런 일은 미안해할 일도 아니다. 

 

 이런 환경을 경험하며, 나는 다양성에 대해서 생각한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몇 년을 보내고 온 나는, 그곳에서 비건이 되었고, 비건이라는 하나의‘정체성’이 하나도 불편하지 않았다. 그리고 누구도 나를 비건이라는 이유로 불편하게 하지 않았다. 그만큼 여러 가지 다이어터리가 존재하고 있고, 사람들은 각자의 선택을 존중하며 함께 살아간다.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산업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도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되어 있는 것이다.

 

 팬데믹이 시작되고 한국으로 돌아온 나는, 비건이라는 이유로 갖가지 말을 들으며 충격을 받았다. ‘고기를 안 먹어서 네가 비실비실하다’는 기본이었고, ‘유난스럽다,’ ‘남의 살이 맛있는 거다,’ ‘참 피곤하게도 산다’ 등등의 선을 넘는 말을 듣는 게 일상적이었다. 비거니즘을 짧은 유행 정도나 소수의 ‘보이기’로 취급한다는 인상도 많이 받았다. 사람들은 다수가 추구하는 육류 중심의 식단은 찬양하지만 채식 중심의 식단은 색안경을 낀 채 보았다. 비건지향인으로 살면서 느꼈던 사람들의 편견, 사회적인 인식은 어쩌면 다수가 원하는 삶만이 중요한 가치로 평가되는 한국 사회에서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나는 다양성은 다이어터리 한 가지의 문제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양한 인종, 민족, 성 정체성, 성별, 나이, 장애 여부에 관계없이 여러 사람들이 함께 사는, 특히 뉴욕 같은 도시에서는 다양성이라는 가치는 일상생활에서, 학교나 사회생활에서,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로 고려된다. 다양성을 존중한다는 것은 더불어 잘 산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을 더 확대하면, 사람과 동물, 땅, 물, 공기, 모두가 더불어 잘 살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내가 비건을 실천하며 사는 이유는 여러 가지이지만, 다양한 삶에 대한 가치를 존중하고 소중히 하는 것이 그 이유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우리 하나하나는 모두 다른 존재이다. 다양한 생각과 삶에 대한 태도는 우리가 사는 공간을 풍부하게 해준다. 서로 부딪힐 수도 있지만, 그 안에서 각자의 방식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우리를 성숙하게 해준다고 단연코 말할 수 있다. 더 다양한 가치에서 더 창의적인 생활방식이 생겨나며, 여러 삶이 존재 가능한 사회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믿는다. 이것은, 좀 전에 얘기했듯, 인간에게만 국한되는 말은 아니다. 지구상의 많은 존재들이 존중받고 공존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다양함이 우리의 삶을 풍족하고 따뜻하게 해주는 사회를 꿈꾸며 오늘의 일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