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지향)일기 시즌3]

옥수수 끝판왕, 안데스에 가다

에비

 

나는 구황작물 킬러다. 어느 날 언니가 '넌 진짜 구황작물을 종류별로 좋아하는구나...' 하며 감탄하며 붙여준 별명이다. 좋아만 하면 구황작물 소녀가 될 법도 한데, 별명이 킬러인 걸 보니 많이 먹기도 했나 보다. 나는 1인 가구일 때도 고구마 감자 옥수수 단호박을 박스 단위로 사 먹었다. 다행히 작물들은 시기를 달리하며 나와서 겹치는 일이 없다. 옥수수 먹고 나면 단호박, 감자 지나면 고구마. 밥 차리기 귀찮을 때 요긴하게 사용한다. 굽기 삶기 볶기 튀기기 등 요리법도 아주 다양하고, 다른 작물이나 허브와도 잘 어울려 오조 오억 가지의 맛으로 변신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구황작물은 슬기로운 비건지향자에겐 필수소비재다.

나는 구황작물 중 옥수수(maize)를 가장 사랑하는데, 그건 옥수수가 다른 작물 대비 장기간 보관이 어려워서 인 것 같다. (갖지 못하는 걸 탐하는 욕심을 사랑이라 느끼다니! 고구마야 미안하다...) 신선한 상태로 구매할 수 있는 시기가 짧다는 뜻이다. 오래 먹고 싶은데, 초당옥수수를 한 박스 먹고 찰옥수수를 두 박스 먹고 나면 [품절]. 내년을 기약해야 한다. 

옥수수는 감자와 마찬가지로 중남미와 안데스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둘 다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고, 생육기간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아무 데서나 잘 자란 탓에, 척박한 지역에 소개된 두 작물은 환영받으며 심어지고 세계 곳곳에 자리 잡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강원도처럼 기후조건이 다른 곳보다 안 좋은 곳에서 오히려 감자 옥수수는 잘 자라는 효자 작물이 된다.  SF 영화 <인터스텔라>에서는 다른 식물이 다 멸종된 후 마지막으로 옥수수만이 남는 내용이 나온다.

남아메리카를 여행할 땐 자연스레 다양한 옥수수 요리를 만났다.  ‘옥수수, 어디까지 먹어봤니’의 끝판왕이랄까. 안데스 지역(에콰도르-페루-볼리비아를 아우른다)은 옥수수의 고향답게 옥수수의 종류와 이름 또한 많았다. 

남미는 한 민족이 여러 국가에 걸쳐 사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나라를 기준으로 음식이 다르다기보다, 민족별로 음식이 달랐다. 케츄아(Quechua)라는 민족은 안데스산맥의 고산지대에 넓게 분포해 살고 있어서, 스페인 등 유럽의 침략에도 많은 사람들이 살아남았다. 이들은 여전히 자기 말을 사용하며 자기네 음식을 만든다. (휴, 얼마나 다행인지.) 

옥수수 본고장 사람들의 옥수수 요리는 실패율이 낮았다. 빻아서 뭉친 다음 옥수수 잎에 감싸 찐 요리인 타말(Tamal), 빻고 반죽하여 납작하게 편 뒤 튀긴 요리(나초 같은 것)를 비롯해 아침식사로 먹는 옥수수빵인 아레빠(arepa), 옥수수가 기둥째로 들어간 스프도 흔하다. 그중에 나의 최애는 초클로 (choclo)라고 부르는, 알이 엄청나게 크고 쫀득한 옥수수였다. 초클로로 만든 요리가 선택지에 있으면 무조건 그걸로. 

시장에 가면 상인들이 여러 가지 옥수수와 콩 등을 삶아서 요리하기 좋은 단계로 다듬어서 팔고 있었다. 물론 완성된 요리도 살 수 있다. 통통한 초클로는 특히 볶은 요리에서 빛을 발한다. 강낭콩만 한 알맹이가 익어서 터져있는데, 찰옥수수처럼 쫀득하고 씹을수록 단맛이 난다. 보통 로컬 시장의 2층에는 식당이 있어서 여러 가지 초클로 요리를 맛볼 수 있었다. 

길거리 음식으로 버터에 구워 파는 것은 대개 길쭉하고 샛노란 옥수수다. 불판에 둘러서서 나무 꼬챙이에 꽂힌 옥수수를 먹으면서 '군옥수수 맛' 컨츄리콘을 생각하곤 했다. 과자봉지에 전통의상을 입은 멕시칸 캐릭터가 있었던 것 같다. 사람들이 '군 옥수수'의 맛은 모르고 '군옥수수 맛'만 안다고 생각하니 어쩐지 슬프다. 지글지글 불맛이 나고 톡톡 터지는 이 군옥수수를... 

이 글을 쓰면서, 2023년 올해 목표에 '안데스 스타일로 찰옥수수 요리 개발하기'를 추가했다. 옥수수가 나는 계절에 비건지향인들과 옥수수 요리 시식회를 해도 재밌겠다는 생각도 했다. 안데스 지역에 오랜 기간 머물렀지만 케츄아어를 못해서 요리법을 물어보지 못한 게 한이 된다... 아아... 사진이라도 올리니 뜯어드시라.

세상 간단한 군옥수수 만들기 : 삶은 옥수수에 기름을 발라 오븐이나 팬에 가만히 두고 태우듯이 구우면 된다. 약간 타야 바삭하니 맛있다. 소금을 솔솔 뿌리면 완성. 파프리카 가루를 뿌리면 더 맛있다.

 

필자소개 : 배낭을 매고 세계를 여행한 후 생태, 비건, 페미니즘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귀촌을 준비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