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지향)일기 시즌3]

비건지향인의 "순한맛" 사회생활기

빈콩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휴식을 취하던 중 <아무튼, 비건>이라는 책을 만났다. 내가 가장 사랑하는 동물 거북이와 심각해지는 기후 위기로부터 지구를 지키기 위해 개인이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일은 채식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알게 된 이상 외면할 수 없었다. 채식을 실천할 경우 발생하는 선순환은 이 글을 넘어 수십, 수백 권의 책을 꽉 채울 만큼 강력한데 왜 미디어에선 다루지 않는 것인지, 왜 “채식주의자”라고 하면 극단적이고 부정적인 이미지부터 떠오르는 것인지, 한국에서 비건 지향인으로서 “잘” 산다는 게 가능한 것인지 등 많은 의문과 두려움을 품은 채 비건 지향 생활을 시작했다. 

첫 한두 달은 매 순간이 선택의 기로에 서서 시험에 드는 듯한 날들이었다. 특히 완전 비건이 되어야만 한다는 강박을 가지며 완전 채식을 한 나는 “좋은 나”, 조금이라도 동물성 재료가 들어간 음식을 섭취하거나 예상치 못하게 일회용품을 소비한 날에는 죄책감에 사로잡혀 “실패한 나”로 규정짓는 날들이 이어졌다. 아직 식재료나 음식 성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장을 보거나 외식 메뉴를 정할 때에는 많은 시간이 들기도 했고, 먹을 수 없는 것도, 반대로  먹을 수 있는 것도 많다는 사실에 매일이 놀라움의 연속이었다.

이렇게 우당탕탕 성공과 실패를 반복하며 현실적으로 내가 실천할 수 있는 비건 지향의 정도를 알게 되었고, 이 생활을 통해 몸도 마음도 건강해져 생활 만족도가 최상에 다다랐을 무렵, 문제가 생겼다. 이직에 성공해버린(?) 것이다. 분명 떨어질 거라 생각했는데, 붙어버렸네. 어떡하지?

합격의 기쁨은 잠시, 한국에서의 첫 사회생활을(전 직장은 해외였다), 그것도 비건 지향인으로 시작해야 한다는 생각에 꽤나 막막해지기 시작했다. 채식주의자로서 한국에서 사회생활을 하며 겪는 고충과 힘듦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기 때문에 나의 회사 생활도 가시밭길이 될 것임을 확신했다. 평소 내 가치관을 지지해 주던 아버지마저도 회사에서는 굳이 비건 지향인임을 드러내지 않는 편이 좋지 않겠냐며 우려 섞인 조언을 건넸다. 

그런데 막상 직장 생활을 시작해 보니 그동안의 걱정이 무안해질 정도로 편안하게 비건 지향 생활을 이어갈 수 있었다. 점심 식사 방식은 자유로웠고 동료 비건 지향인까지 만날 수 있었다. 모두와 함께 도시락을 먹으며 반찬을 공유하고 더 많은 동료들이 채식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길 바라며 (비건 음식 치트키인) 두부 텐더와 비건 교자를 구워서 나눠주기도 했다. 문화적으로 비교적 자유로운 업계지만 환경이나 인권 관련 단체도 아닌데 이런 회사 생활이 가능하다는 것에 비거니즘이 점점 영역을 넓혀 많은 사람들의 생활 속에 스며들어 있음을 실감했다. 

돌이켜보면 비건 지향인으로서 사회생활을 하며 겪는 어려움과 고독함에 관한 콘텐츠는 많았던 반면, “편안함”에 관한 콘텐츠를 본 기억이 현저하게 적었다. 아직은 집 밖에서, 것도 단체 생활 속에서 이를 지향하며 살아가기엔 너무 각박한 환경이니 당연하다.

하지만 이 이야기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사회생활 속에서 겪을 어려움 때문에 비건 지향 생활을 망설이거나 두려워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비거니즘을 지향하며 사회생활을 하는 것이 마냥 쉽다는 것도, 운이 따라야만 한다는 것도, 어렵다는 것도 아니다. 그저 미리 겁먹지 말고 한 번 부딪쳐 보자는 거다.

나는 앞으로도 내가 사랑하는 것들을 지키기 위해 포기하는 삶을 지속할 것이다. 그리고 아주 조금씩, 천천히 이 삶을 지속해간다면 더 많은 친구들이 나와 같은 길을 걷고 있을 거라 확신한다. 비거니즘은 결국 나와 너, 그리고 우리 모두를 위한 거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