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에서 흔히 보는 나무, 꽃 그리고 곤충을 만나고, 그 생물들과 함께 놀며 공존하는 법을 배우는 생태안내자양성과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조금은 쌀쌀했던 4월 첫째 주부터 시작하여 야생화, 곤충, 생태놀이에 대해 배우고, 4월 마지막 주에는 생태미술(흙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앞으로 반딧불이의 생태와 모니터링 실습, 꼬리명주나비의 생태이론 및 서식지탐방 일정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dsc02837


자연과 닮아가는 사람들의 4월달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48일 오전, 오후시간 동안 강당골에서 야생화에 대해 김영규 선생님이 강의해주셨습니다.


하면 떠오르는 키워드를 적어 자신을 소개하고 함께 할 짝꿍을 정하는 시간을 가지니 어느새 어색함도 사라졌습니다.


img_1134


재미있는 표현들로 알기 쉽게 꽃에 대해 설명해주시고, 산을 올라가면서 모았던 자연물들을 이용해서 10년 후 나의 모습을 표현하며 나누었습니다


img_1203


열린 눈과 향기로운 입, 경청하는 귀.. 모두 따뜻한 마음을 가진 분들과 함께해서 즐거웠습니다. 마지막으로 젊은 에너지가 팍팍 느껴지는 점프 샷!


 

dsc02845


415일에는 이상희 선생님과 함께 오전에는 아산YMCA 강당에서 곤충에 대한 이론, 오후에는 태학산에서 곤충관찰을 진행하였습니다


img_9196


숲의 한 구간에 곤충모형을 숨겨놓고 개수 맞추기 놀이도 함께 해보았습니다. 짧은 구간이었지만 곤충의 보호색과 거미의 출현으로 꽤나 난이도가 높은 놀이었습니다~^^ 


img_9207


마지막으로 논에서 수서곤충 관찰을 하며 움트는 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422일 오전, 오후 생태놀이에 대해 엄재옥 선생님께서 강의해주셨습니다


img_9443


외부에서 다른 준비물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자연물을 이용해서 평소에 알고 있던 놀이들을 변형한 다양한 생태놀이들을 함께 해보았습니다.


img_9574


img_9616


특히 기억에 많이 남았던 놀이는 동동 동대문을 열어라~’의 황사를 잡는 나무 버전이었습니다. 지금 나무들이 황사를 잡으면서 숲이 울창해지고 있는 중입니다.



img_0059


429일은 미살림의 엄재옥 선생님께서 생태미술에 대해 강의해주셨습니다. 많은 주제들 중 오늘은 함께 흙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흙이 얼마나 소중한 자원인지 얼마나 다양한 활동들이 가능한지 알게되었습니다


img_9936


img_9941


흙으로 그림도 그리고 황토염색도 해보면서 예술혼을 불태운 참가자들의 작품 한번 감상해보세요~!


img_9985


img_9998


img_0007



 To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