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세요?
바다 한 가운데서 외롭다는 느낌이 들면서도 사방이 탁 트인 곳에서 해방감이 들기도 하고.
'무인도에 가져가고 싶은 3가지' 이야기가 떠오르며 뭔가 호기심이 일기도 합니다.

여러분들에게 부산의 남쪽 끝에 있는 섬 가덕도를 소개합니다. 작은 섬 안에서 자연과 역사유적,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이색적인 곳입니다.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이 다녀온 여름가덕도 여행 이야기 들려드릴께요.

(사진 촬영은 7월에 이루어졌으며 코로나19 방역 수칙을 준수하며 진행했습니다. 사진 촬영을 할 때만 마스크를 잠시 벗고 촬영했습니다)

 

연대봉

[caption id="attachment_217988" align="aligncenter" width="640"]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가덕도에서 제일 먼저 소개할 곳은 연대봉입니다.  연대봉은  사진으로만 보던 섬의 해안선을 내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곳입니다. 연대봉은 가덕도에서 제일 높은 봉우리에요.

[caption id="attachment_217987" align="aligncenter" width="640"]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제일 높다고 해도 높이 495미터. 숲 사이의 길을 따라 올라가는 거라 특별히 험한 곳은 없어요. 스포츠 샌들을 신고도 올라갈 수 있답니다. 한시간도 채 안 걸린 느낌인데,  중간중간 숲길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면서 재미있게 올라갔어요. 하지만 올라가는 내내 즐겁기만 했던 것은 아니에요. 경사가 꽤 급해서 어느 순간부터는  아무 말 없이 거친 숨소리만 들릴 정도였어요.

연대봉 정상에 올라가서 벌개진 얼굴과 흐르는 땀을 좀 식히고 나면 시원한 바람과 함께 가덕도의 대항마을이 한눈에 들어오는 풍경을 만날 수 있어요. ​낙동강 하류인 부산 강서구와 사하구 모습도 보이고요. 그리고 당연히 일출과 일몰을 보기에도 좋은 장소입니다.

연대봉은 연기나는 대(=봉수대)가 있는 봉우리라는 의미에요. 봉수대는 옛날부터 중요한 통신수단으로 쓰인 거 아시죠? 연기나 불을 피워서 외적의 침입을 알리는 역할을 했습니다. 가덕도의 봉수대는 고려시대에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가덕도는 남쪽 끝에 있으니 바다에 수상한 배가 나타났는지 항상 긴장하고 감시해야 했습니다. 참, 지금 있는 봉수대는 현대에 복원한 것이랍니다.

섬에왔으니 배를 타보기로 합니다. 배는 멋진 해안 절벽과 숲을 따라 섬 주위를 돌아옵니다. 숲은 대부분 조성된지 100년씩 되었다고 합니다.
가덕도 섬 주위를 돌면서 토종 돌고래 상괭이가 물 위로 뛰어오르는 모습도 만났답니다! 상괭이는 전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이에요. 국내에선 2016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됐구요. 상괭이를 만날 수 있는 가덕도 주변 바다는 해양생태도 1등급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다는 의미이지요.

[caption id="attachment_217993" align="aligncenter" width="640"]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이른 시간에는 대항해변을 산책해보세요. 해안가 언덕에 있는 작은 집들이 있는 골목을 지나면 조용한 해변을 만날 수 있답니다. 모래와 자갈이 섞인 해안을 걸으며 사진도 찍고 모양이 다른 자갈도 주워보면서 가덕도의 시원한 바닷바람을 느껴보세요.

가덕도의 역사유적

가덕도에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입니다. 신석기 유적지도 있고, 고인돌도 볼 수 있어요. 고인돌 유적지는 개인 소유지의 땅에 있어서 들어갈 수 없지만요. 그리고 흥선대원군때 세운 척화비도 남아 있어요.

가덕도는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곳이었습니다. 한반도 동남쪽 끝에 위치했기 때문에 외적이 바다를 통해 부산, 진해로 들어올 때 먼저 통과해야 하는 관문이었지요.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일차적으로 외적을 방어해야하는 중요한 해양기지인 것이죠. 가덕도 섬을 산책하듯 돌면서 군사 유적지를 찾는 재미도 소개해드릴께요.

[caption id="attachment_217994" align="aligncenter" width="640"] 천성진성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부터 남쪽 해안에서는 왜구에 의한 크고 작은 충돌이 잦았습니다. 1544년 대마도의 왜구가 오늘날의 통영 부근 사량진을 습격하는 사건이 있었어요. 이 사량진왜변을 계기로 조선은 가덕도에 천성진성을 쌓고 군대를 주둔시켜 외적을 방어하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마을에 있는 예쁜 돌담같은 느낌이에요.

[caption id="attachment_217995" align="aligncenter" width="640"] 외양포 일본군포진지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일본이 미국과 러시아 등 열강과 경쟁하면서 조선을 식민지로 삼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사건이 1904년 러일전쟁입니다. 러일전쟁을 계기로 일본은 서구 열강으로부터 동아시아에서의 패권을 인정받게 되죠.

이름은 러일전쟁인데 전쟁터는 안타깝게도 조선땅이었어요. 일본은 전쟁에 대비하여 가덕도에 군사시설을 구축하게 됩니다. 1939년까지도 이 곳 포대의 정비 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외양포의 군사시설은 일본 패망 직전까지 유지된 것으로 보입니다.

[caption id="attachment_217996" align="aligncenter" width="640"]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일본군의 엄폐 막사였던 곳이에요. 산아래 만들어진 곳이라 외부로의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었죠.

[caption id="attachment_217997" align="aligncenter" width="640"]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일본군 대포를 놓았던 자리입니다.

[caption id="attachment_217998" align="aligncenter" width="640"]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이 곳은 공중화장실터입니다. 이 외에도 탄약고, 사령부실, 관사, 사무실, 막사, 창고 등 군사 시설의 흔적으로 보이는 일본식 건물이 다수 남아 있습니다. 현재는 주민들이 거주하는 곳도 있고요.

[caption id="attachment_217999" align="aligncenter" width="640"] 대항항 포진지동굴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군사기지로서 가덕도의 역할은 일제침략기에도 이어졌습니다. 당시 태평양전쟁을 치르던 일본군은 미군의 공격을 저지하게 위하여 해안 여러 곳에 기존 동굴을 이용하거나 인공동굴을 파서 군사 기지로 이용했습니다. 적기의 공습을 피하고 가덕도 해안에 상륙하는 미군을 막기 위한 사격기지로 사용하기 위함이었죠.

산을 동굴로 만들기 위해 삽과 곡괭이로 암벽을 파고 들어가는 고된 노동을 한 사람들은 물론 가덕도의 주민들이었습니다. 동굴 안에는 당시의 모습을 표현한 모형들이 있습니다. 동굴 내부를 걸으며 찬찬히 아픈 역사를 상상해보세요.

대항새바지 인공동굴(대항동 24-4) 유적도 볼 수 있습니다. 저희가 갔을 당시는 입구가 무너져내려서 내부를 둘러보지는 못했네요. 새바지 인공동굴 유적지는 검정 자갈로 이루어진 몽돌해안이 있는 곳으로도 유명합니다.

*'새바지'는 샛바람(동풍)+받이 라는 뜻입니다.

가덕도에는 일제시대의 생활 흔적들도 남아있습니다. 많이 낡아버린 일본식 집, 벽돌로 외부를 세운 우물, 그리고 당시의 관사등 이국적인 풍경도 만날 수 있습니다.

[caption id="attachment_218001" align="aligncenter" width="640"]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일본군 점령당시 만든 우물 당시 사용했던 우물도 볼 수 있어요. 주변에 벽돌로 기둥을 쌓아 놓은 것이 특징적이에요.

[caption id="attachment_218000" align="aligncenter" width="640"] 일제시대 가옥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동네 길을 걷다가 만나게 되는 집들 중에 이렇게 하나의 지붕에 두가지 색이 칠해진 집들을 볼 수 있는데요, 한 지붕 아래 두가구가 산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예전 일본군 관사였던 곳인데 1945년 해방 이후 적산(敵産,적이 남기고 간 재산)이 되어 민간에게 넘어갔습니다.

정거벽화마을

가덕도에서 돌아오는 길에 눌차도 정거벽화마을을 들렀습니다. 벽화로 유명한 작은 바닷가 마을이에요. 골목골목 벽 따라 그려진 그림들을 감상하면서 골목을 걸어나가면, 탁! 트인 바다풍경을 만날 수 있습니다.

 

[caption id="attachment_218002" align="aligncenter" width="640"] ©함께사는길 이성수[/caption]

 

가덕도에 신공항이 생기면

가덕도 잘 둘러보셨나요? 어떠셨어요? 그런데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이 왜 가덕도를 여행지로 소개하는 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알고들 계시죠? 지난 2월 국회에서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을 통과시킨 일. 대규모 국책사업이라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하는 조항까지 들어가 있는 데다가 2050탄소중립 정책에 역행하는 정책이어서 단지 표를 얻기 위한 법안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공항 건설로 삶의 터전을 잃게 되는 지역주민들도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고요.

그런데 신공항이 들어서는 가덕도가 어떤 곳인지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 같아서 많이 안타까웠어요. 그래서 지난 7월 가덕도 생태조사를 다녀오면서 많은 분들에게 가덕도의 여러 모습을 보여드리려고 이번 글을 준비했습니다. 이번에 둘러본 가덕도의 연대봉과 역사 유적지, 그리고 해안절벽들은 앞으로는 보지 못 할 풍경이랍니다. 오늘 둘러본 대항마을 유적지 일대에 바로 가덕도 신공항의 활주로가 들어설 예정이거든요.

이렇게 조금씩이라도 알아주시면 좋겠어요. '신공항 건설예정지'가덕도는 아픈 한반도의 역사, 그 안에서 피땀 흘린 사람들의 흔적이 남아있는 곳이고, 70가구의 주민들이 지금도 바다를 터전으로 생활하고 있는 곳이라는 사실을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