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만든 모래언덕, 제주의 해안사구 이야기’ 발간

 


‘바람이 만든 모래언덕, 제주 해안사구 이야기’ 표지

제주도의 바닷가와 육지 사이에는 특이한 지역이 있습니다. 육지이지만 염분을 좋아하는 염생식물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지역입니다. 바로 해안사구입니다. 해안사구는 바다와 육지 경계에 위치하여 독특한 환경을 지닌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여 희귀한 동·식물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계입니다.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한반도의 해안사구와는 지질·생태·경관적으로 매우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것은 제주도가 화산섬이기 때문입니다. 화산과 모래 그리고 제주의 거센 바람이 만나서 만들어진 모래언덕이 제주의 해안사구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2017년 국립생태원의 ‘국내 해안사구 관리현황 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도는 전국에서도 해안사구가 가장 훼손이 많이 된 지역이었습니다. 무려 과거 면적대비 82.4%가 감소하였다고 보고서에서는 밝히고 있습니다. 해안사구는 국내 습지보전법상 연안 습지에 속하지도 않고 다른 법률에서도 보호장치가 없을뿐더러 제주도 당국도 해안사구에 대한 별다른 보호 대책이 없어 그동안 제주의 해안사구는 속수무책으로 파괴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 중점사업으로 해안사구 보전 운동을 진행하였습니다. 보전 운동의 하나로 해안사구 모니터링을 올해 2월부터 시작하여 올해 말까지 진행하였습다. 조사 결과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환경부가 조사한 것보다 더 많이 있었습니다. 최소 7개소 이상의 해안사구가 더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제주도의 해안사구는 육지부와는 매우 다른 톡특한 가치가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습니다. 하나는 동쪽의 성산일출봉과 서쪽의 송악산 일대의 해안사구입니다. 둘째는 월정·김녕 해안사구와 협재 해안사구로 인해 만들어진 위석회 동굴군락입니다.


제주환경운동연합 회원으로 구성된 생태조사모임은 작년에 해안사구 조사를 진행하였다.

성산일출봉이 분출하면서 바닷가에 쌓여 만들어진 신양리층 위에 해안사구가 형성된 곳이 신양해안사구이고 송악산의 화산분출물이 쌓여 만들어진, 하모리층 위에 만들어진 곳이 사계·설쿰바당·모슬포 해안사구 등입니다. 신양리층과 하모리층은 생성시기가 5천년 이하인 매우 젊은 화산지층으로서 지질학적·경관적 가치가 매우 뛰어난 곳입니다. 이 아름다운 지층위로 해안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입니다.

용암동굴은 석회암동굴과 달리 석회 생성물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월정·김녕 해안사구와 협재 해안사구 아래 있는 동굴 군락은 용암동굴 안에 아름다운 석회동굴이 만들어졌습니다. 특히 이로 인해 기기묘묘한 위석회동굴인 용천동굴과 당처물동굴은 제주도가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해안사구가 독특한 생물들의 서식지임을 확인했습니다. 육지와 해양에는 없는 독특한 염생식물 생태계가 제주의 해안사구에 형성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바다거북의 서식지임도 확인했습니다. 중문 해수욕장에 형성된 중문사구에는 2007년까지 바다거북의 산란이 확인되었고 도내 몇몇 사구에서도 비공식적으로 바다거북의 산란이 확인되었습니다.


바다거북의 산란이 확인된 중문 해안사구.

흰물떼새라는 새가 제주의 해안사구에 많이 산란을 하고 있음을 조사를 통해서 확인했습니다. 이 흰물떼새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서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포털 Daum에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주의 해안사구는 제주도민과도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음도 확인했습니다. 평대리 주민들은 해안사구에 기대어 집을 지어 살았고 주민들에게는 귀한 존재였음도 조사와 주민인터뷰를 통해서 확인했습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이러한 다양한 올해 조사의 결과물을 모아 단행본을 발간했습니다. 제주의 소리와 공동으로 기획연재했던 내용이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책을 계기로 제주도 해안사구 보전운동의 토대가 되고 제주도정의 해안사구 보전정책의 변화가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바람이 만든 모래 언덕, 제주 해안사구 이야기’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