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비망록•64 ]

용산 보병 제78연대, 조선의 수부 경성을 수비하는 주력부대
이 부대를 거쳐간 조선 출신 일본군 장교들은 누구누구였을까?

이순우 책임연구원

조선 사람으로 일본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군인이 되어 군대생활을 하는 사람은 도합 40명이나 되지 못하는데 그 중의 한 사람인 장기형(張璣衡, 26) 씨는 지금 보병소위로 금택(金澤, 카나자와) 제9사단 제35연대 제1중대부(附)로 현금 용산주차군 안에 있더라. 씨는 경기도 김포(金浦) 사람으로 처음에 경성무관학교를 다니었으며 그 후에 일본 동경에 들어가 중앙유년학교(中央幼年學校)를 졸업하고 인하여 사관학교를 졸업한 후에 금택 제9사단에 입대하였으며 동시에 주차군의 장교로 작년 6월에 조선으로 건너왔는데 35연대에 장 소위 한 사람밖에 조선 사람이라고는 없으나 제27기에 같이 사관학교를 졸업한 사람이 17명과 전기에 졸업한 17명의 졸업생은 다 각 연대에 배치되어 입대케 하였더라. (하략)

 

일본 육군사관학교 제27기 졸업생으로 제9사단 보병 제35연대(카나자와 주둔)에 근무했던 장기형(張璣衡) 보병 중위의 인물사진이다. 그가 소속된 보병 제35연대가 조선주차군 교대병력으로 파견되는 바람에, 그 역시 뜻하지 않게 초급장교 시절을 용산 보병영에서 보내게 된다.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자료)

 

이것은 1916년 1월 14일자에 수록된 「용산연대(龍山聯隊)의 장소위(張少尉), 그의 당당한 풍채, 그의 유쾌한 생활」 제하의 기사에 등장하는 내용이다. 여기에 나오는 장기형 보병소위는 원래 일본 카나자와에 근거를 둔 제9사단 제35연대에 배속되었는데, 이 부대가 때마침 ‘조선수비(朝鮮守備, 1914.4~1916.4)’를 위해 조선주차군의 교대병력으로 파견된 상태였으므로 그 역시 덩달아 1915년 6월 이후 1년가량 용산에서 근무하는 기회를 얻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용산 지역 일본군 병영지의 보병연대(步兵聯隊) 주둔 연혁

장기형 소위가 근무처로 삼았던 보병 제35연대가 있던 자리는 1916년 4월에 조선주둔 2개 상주사단의 하나로 제19사단이 먼저 창설되면서 이때 예하부대로 함께 만들어진 보병 제78연대의 주둔지로 전환된다. 이곳은 1906년 이후 본격적으로 건설된 용산지역의 일본군 병영지 안에서 나중에 보병 제79연대가 추가 배치되기 직전까지는 단 하나의 보병영(步兵營)으로 존재했던 구역이기도 하다.
한국주차군경리부(韓國駐箚軍經理部)에서 펴낸 (1914)에 정리된 내역에 따르면, 이곳에는 1908년 준공 당시 보병연대(대대)본부 청사 1개동과 병사(兵舍) 및 부속가(附屬家) 6개동의 병영시설이 자리하였다. 이와 함께 별동(別棟) 부속건물(위병소, 영창, 하사집회소, 장교집회소 등) 22개동이 있었으며, 이 주변에 보병연대 장교합동숙사(將校合同宿舍) 4개동과 준사관하사합동숙사(準士官下士合同宿舍) 1개동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었다.

1908년 보병영 완공 당시의 병사 및 부속건물 구성 내역

1908년에 완공된 용산보병영(龍山步兵營) 일대의 전경을 남쪽 방향으로 담아낸 사진엽서이다. 왼쪽 아래에 보이는 것이 부대 정문(正門)이고, 오른쪽 아래에 길게 보이는 건물이 ‘보병연대본부 및 대대본부’ 청사이다. 그 뒤쪽에 연병장 일대와 6개동에 달하는 병사(兵舍)가 2열로 배치된 모습이 포착되어 있다. (개인소장자료)

이른바 ‘코바야카와(小早川)’에 걸쳐 다리를 놓은 지점에 북면(北面)하여 설치한 용산보병영의 정문(正門) 모습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대문 기둥에 ‘보병 제31연대’라는 간판이 붙어 있는 걸로 보아 제8사
단이 조선주차군으로 파견되어 있을 당시(1912.4~1914.2)에 촬영된 모습인 것을 알 수 있다. (개인소장자료)

 

부대의 정문(正門)은 용산병영지의 중간을 가로질러 동서로 흐르는 이른바 ‘코바야카와(小早川, 임진왜란 때의 왜군장수인 코바야카와 타카카게의 이름을 따서 붙인 하천 이름)’를 남쪽으로 건너는 지점 앞에 북향(北向)으로 설치되어 있었다. 이곳을 들어서면 먼저 연병장(練兵場)이 나타나고 그 뒤에 남쪽으로 병사(兵舍)가 2열 배치의 형태로 자리하였다.

 

3·1만세 시위 당시인 1919년 5월에 작성된 배치요도(軍隊分散配置要圖)>에 표시된 보병 제78연대의 위수지역(경성 및 인천포함 경기북부지역)이다. 특히 이 지도의 여백에는 “경성 및 용산은 3대대로써 수비하고 있다”고 적고 있다.(민족문제연구소 소장자료)

 

이 대목에서 상주사단 편제에 있어서 보병 제78연대의 존재가치는 무엇보다도 식민지 조선의 수부(首府)인 경성(京城)을 수비하는 주력부대라는 사실에 놓여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예를 들어, 조선군사령부(朝鮮軍司令部)에서 제작한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자료)라는 군사지도를 보면, 보병 제39여단(평양 소재)의 예하부대인 보병 제78연대의 위수지역(衛戍地域)이 경성과 인천을 포함하여 한강 이북의 경기도 북부 일대에 걸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보병 제78연대는 조선을 수비하는 역할에만 그치지 않고 일제가 벌이는 잇따른 침략전쟁마다 이른바 ‘출정부대(出征部隊)’로 거듭 동원된 내력도 지니고 있었다. 실제로 모리 모토 토미조(森本富藏)가 편찬한 (1932)이란 자료를
보면, ‘보병 제78연대’의 항목에 군기약력(軍旗略歷)을 이렇게 적고 있다.

 

위수지(衛戍地) : 조선 용산(朝鮮 竜山)
소속(所屬) : 용산 제20사단(竜山 第二十師團)
一. 군기친수(軍旗親授) : 대정(大正) 5년(1916년) 4월 18일
一. 압록강안지방(鴨綠江岸地方)에 출동(出動) : 자(自) 소화(昭和) 3년(1928년) 5월 27일 지(至) 동년(同年) 7월 18일
一. 만주사변(滿洲事變)에 참가(參加) : 자(自) 소화(昭和) 6년(1931년) 9월 19일 지(至)목하(目下) 〇〇중(中)
보병 제78연대 잔류대(殘留隊) 부관(副官) 오쿠와 시게오(大桑茂男) 씨 보고

이 시기 만주사변에 참가한 흔적으로 남은 것이 바로 용산 보병 제78연대 구내에 잔존했던 ‘충혼비(忠魂碑, 1935.11.18 제막)’였다. 이 비석은 논공행상(論功行賞)의 혜택을 입은 이들이 돈을 걷어 출정중에 죽은 자신들의 전우를 위해 장교집회소(將校集會所) 앞에 세운 것이며, 당초 만주사변 4주년(1935년 9월 18일)을 앞두고 이 날짜에 맞춰 제막하려던 계획이었으나 실제로는 두 달이 지연되어 완공된 것으로 드러난다.

 

1935년 11월 19일자에 수록된 용산 보병 제78연대의 ‘만주사변 충혼비’ 제막식 장면이다. 엉뚱하게 이 기념물은 해방 이후 ‘미8군 전몰자 기념비’로 재활용되다가 2017년 5월에 평택미군기지로 이전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기념물이 제막된 날의 풍경에 대해서는 일본어 신문인 1935년 11월 19일자에 수록된 「호국(護國)의 영령(英靈)을 달래려는 전우(戰友)의 미거(美擧) 결실을 맺으며, 제78연대에 충혼비 제막식(除幕式)」 제하의 기사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남아 있다.

 

만주사변(滿洲事變) 때에 재용산(在龍山) 보병 제78연대의 장병으로서 출정했던 관계자가 그 전우 중에 이 사변에서 순직(殉職)했던 키누가사 소좌(衣笠 少佐) 외 45용사(勇士)의 영령에 제사를 지내며 위령(慰靈)하고자 건립했던 보병 제78연대 관계 장사(將士)의 위령비 제막식은 동(同) 사건의 돌발일(突發日)에 맞춰 18일 오전 11시 반부터 동 연대 영정(同聯隊 營庭)에서 거행되었다. 식장(式場)은 영문(營門) 안쪽에 남면(南面)하여 설치되어 수불(修祓), 강신(降神), 헌찬(獻饌) 등 관례대로 엄숙리에 진행되었으며, 제주(祭主)의 축사(祝詞) 후에 햐쿠타케 연대장(百武 聯隊長)의 제문낭독(祭文朗讀), 이마무라 제40여단장(今村 第四十旅團長)의 조문낭독(弔文朗讀)이 있었고, 유족(遺族)인 고(故) 키시하
라 상등병(岸原 上等兵)의 엄부(嚴父)와 고(故) 코마츠 군조(小松 軍曹) 모당(母堂)의 손에 의해 제막되는 동시에 방구(放鳩), 마지막으로 재주(齋主), 제주(祭主) 옥관(玉串)을 바치고 폐식(閉式)했다. 이날 유족은 고(故) 히라타 중위(平田 中尉) 유족과 기타 20여 명이며, 별도로 조선군(朝鮮軍) 대표, 사단(師團) 대표, 기타 관민(官民)과 아울러 군부관계자(軍部關係者) 100여 명이 참렬(參列)하였고, 동 연대(同聯隊) 전병몰자(戰病歿者)는 다음과 같다. (이하 개별 명단 부분은 인용 생략)

 

그런데 그 이후 이른바 ‘지나사변(支那事變, 중일전쟁)’ 때에도 출동부대의 명단에서 보병 제78연대의 이름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러고 보니 용산 주둔 보병 제78연대의 거듭된 출정에 관한 얘기를 하자면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친일군인’으로 맹활약(?)한 김석원(金錫源, 1893~1978)이다. 무엇보다도 이 시기 그의 행적에 대해서는 1942년 2월 3일자에 수록된 「반도인(半島人)에 최초(最初) 수훈갑(殊勳甲), 가네야마(金山) 부대장의 영예, 청사(靑史)에 찬연(燦然)한 북지전야(北支戰野)의 무훈(武勳)」 제하의 기사에 잘 요약되어 있다.

 

대동아전쟁하 전첩에 빛나는 신춘을 맞이하여 2일 제24회 지나사변 생존자 논공행상이 발표되었다. 그 중에는 지나사변 직후 대륙전선에서 용맹을 떨친 우리의 부대장 금산석원 중좌(金山錫源 中佐, 구명 김석원)가 반도인으로서는 처음인 수훈갑 공삼급 중수장(殊勳甲 功三級 中綬章)의 은명을 배수하여 향토의 명예를 떨치었다. 김석원 중좌는 소화 12년(1937년) 7월 지나사변이 일어나자 천안병단 남운부대(川岸兵團南雲部隊) 대장으로 용약 북지(北支)에 출정하여 유명한 남원낭방(南苑廊坊)의 전투를 비롯하여 태원(太原), 운성(運城)의 공략전에 이르는 전후 1년 반 동안 포연탄우를 무릅쓰며 북지의 각 전선에서 과감히 싸워 혁혁한 무훈을 세웠고 남원의 격전에서는 명예의 부상까지 입었으나 여기에 굴치 않고 다시 제일선에 나아가 적군을 철저히 섬멸하였다. 더욱이 산서성 영석(山西省 靈石) 부근의 격전에서는 과병으로 잘 적군의 대부대를 격멸한 위훈을 세워 감장(感狀)까지 받고 김석원 부대의 용맹을 떨치었던 것이다. 그런데 김 중좌는 부내 재동(齋洞) 출생으로 육군유년학교(陸軍幼年學校)와 육군사관학
교(陸軍士官學校, 제27기)를 거쳐 육군보병학교(陸軍步兵學校)를 졸업한 후에는 중위(中尉) 시대부터 중좌가 되기까지 15년 동안 조선 제22부대에서 근무하였다. 그 동안 만주사변 당시에는 만주에 출정하여 공사(功四)의 영예를 받자왔다. 그리고 소화 14년(1939년) 1월 북지에서 개선하였다가 소화 16년(1941년) 3월 다시 북지〇〇방면에 출동하여 방금 대동아건설을 위하여 정신분투하고 있는 중이다. 더욱이 김 중좌는 근엄한 무인이고 가정은 순내지식인 가정으로서 유명한데 조선에 있을 때에는 반도민중의 황국신민화와 풍속의 개선, 문화향상 등을 위하여 노력하였고 한편 성남(城南) 중학을 설립하고 반도청년의 연성에 노력하였다.

우선 여기에 나오는 ‘조선 제22부대’라는 것은 용산 주둔 보병 제78연대를 가리키는 통칭호(通稱號)이다. 그리고 이 기사에 ‘15년’ 동안 보병 제78연대에서 근무하였다고 적어놓은 대목은 사실관계가 약간 다른 듯하다.

 

1942년 2월 3일자에 수록된 김석원 부대장에 대한 ‘수훈갑’ 논공행상 관련기사이다. 오른쪽에 있는 사진은 ‘김석원 중좌’의 모습이고, 왼쪽 아래가 ‘처 서달순, 장남 김영철, 3남 김영국’의 모습이다. 아들들의 이름에 ‘영(泳)’이 들어간 것은 박영효(朴泳孝)에게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용산 보병 제78연대에서 발행한 (1932)에 수록된 김석원 대위의 모습이다. 여기에는 그의 직책이 ‘제1보병 포대장’으로 표시되어 있다. (민족문제연구소 소장자료)

 

1939년 4월 5일자에 수록된 매일신보사 주최 ‘김석원 소좌 강연회(경성부민관)’ 안내광고이다. 중일전쟁 당시 북지전선(北支戰線)에 무공을 세우고 귀환한 그는 이 행사를 계기로 전국의 군청 소재지를 거의 빠짐없이 돌면서 침략전쟁을 선전하고 신생활운동을 강조하는 강연회를 한동안 지속하였다.

 

김석원은 앞에서 소개한 장기형 소위와 일본육군사관학교(제27기)를 함께 졸업하였으며, 이때 그의 첫 부임지는 일본 와카야마(和歌山)에 주둔한 보병 제61연대였다. 그러다가 중위의 신분으로 용산에 주둔한 보병 제78연대로 전속되어 온 것이 1919년 8월 21일의 일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김석원이 남긴 (육법사, 1977)이라는 자서전에는 용산으로 전출(轉出)을 오게 된 과정이 두어 쪽에 걸쳐 언급되고 있다. 여기에 서술된 내용에 따르면 와카야마 보병 제61연대에 근무할 당시 자신이 속한 부대의 최고지휘관인 제4사단장 우츠노미야 타로(宇都宮太郞) 육군중장과 안면이 생겼고, 때마침 그가 제9대 조선군사령관(재직 1918.7.24~1920.8.16)으로 옮겨가게 되자 휴가차 귀향(歸鄕)할 때를 틈타 그에게 특별히 부탁하여 조선으로 근무지를 옮길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 이후 김석원 중위는 1940년 1월에 후쿠야마(福山)에 주둔한 보병 제42연대로 전속(轉屬)될 때까지 무려 20년이 넘은 긴 세월을 오롯이 용산 주둔 보병 제78연대에서 근무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조선 출신 일본군 장교라고 해서 자신의 근무지가 반드시 조선으로 배치되는 것은 아닌 상황에서, 더구나 이토록 장기간 동일한 부대에서 남아 있는 것 자체가 매우 드문사례에 속했다. 그러니까 김석원이라는 존재는 용산의 주력부대인 ‘보병 제78연대’에서 글자그대로 산전수전(山戰水戰)을 다 겪은 ‘터줏대감’에 다름 아니었다. 그는 이곳에서 대위(1925년 8월)를 거쳐 소좌(1934년 3월)에서 중좌(1938년 9월)로 거듭 진급했을 뿐만 아니라 만주와 중국으로 출정하여 거듭 자신의 무공(武功)을 쌓았으니, 그것이야말로 전형적인 친일군인의 길이기도 했던 것이다. 그런데 그의 행적을 살펴보고자 자서전을 훑어보는 와중에 그가 느지막이 이러한 책을 남기는 뜻을 밝히는 대목에서 다음과 같은 구절이 포함된 것이 퍼뜩 눈에 띈다. …… 그렇다고 해서 내가 걸어온 생애가 타의 모범이 될 정도로 무슨 큰 공적이 있어서가 아니다. 또 국가나 민족을 위하여 남이 본받을 만한 일을 한 것도 아니다. 어쩌면 그 반대일는지도 모른다. 사실 나는 그동안 내가 살아온 80여 년 간의 뒤를 돌아다보면 아무래도 잘한 일보다는 잘못한 일이 훨씬 많은 것 같고 남에게 환영받을 일보다는 오히려 남에게 환영받지 못할 일이 더 많이 한 것 같다. 어떤 경우는 무지했던 탓으로 또 어떤 경우는 올바른 인생관과 올바른 세계관을 못 가졌던 탓으로 그동안 내가 저지른 잘못은 많다 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이유야 어쨌든 일제 식민지시대에 오래도록 일본군인 노릇을 했다는 것은 나의 생애 중에서 큰 불명예라 생각되는 것이다. 이것으로 그가 일본군인의 노릇을 했다는 것을 스스로 큰 불명예로 여긴다고 생각했다는 점은 분명히 확인되지만, 이만한 정도의 언급이라도 남긴 이가 그리 많지는 않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를 일컬어 친일행적을 참회한 인물로 받아들여야 할는지는 여전히 판단이 알쏭달쏭하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