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사진과 수필로 바라보는 민병래의 시선

인터뷰 방학진 기획실장

아들과 함께 찍은 민병래 회원

 

우리가 흔하게 쓰는 말 중에는 ‘틈새시장’, ‘틈새라면’, ‘틈새를 엿보다’ 등이 있다.
‘틈새’라는 말은 물체와 물체 사이의 물리적으로 좁은 공간을 의미하기도 하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보이지 않는 감정이나 생각의 거리를 뜻하기도 한다. 따지고 보면 지금도 상상할 수 없는 속도로 확장하고 있는 우주의 너무나도 작은 일부인 지구에 잠시 스쳐 지나가는 존재일 뿐인 인간에게는 틈새라는 말도
과분해 보인다. 하지만 동학 교주 최시형의 이천식천(以天食天) 즉, 인간이나 인간이 먹는 음식조차도 모두 한울 즉 본질적 존재라고 하였으니 틈새는 그저 고래 싸움에 낀 새우나 겨우 들어갈 좁은 공간이 아닌 또 다른 차원의 새로운 공간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지금까지 나는 틈새시장, 틈새라면이 아닌 ‘틈새 역사’도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주장을 하고 싶어서 이와 같이 말머리를 꺼내 보았다.
‘틈새 역사’. 이번 달에는 우리 시대의 틈과 틈 사이에 무수히 존재하는 사건 그리고 사람의 이야기를 담
고 싶어하는 민병래 회원을 만나 보았다.

2020년 9월 12일자에 게재된 ‘사수만보’ 제37화 캡쳐 사진

 

현재 민병래 회원은 오마이뉴스에 ‘민병래의 사수만보’를 연재하고 있다. 사수만보 1화 ‘결혼과 육아로 경력단절… 배우 주인영, 다시 무대에 서다’로 시작해 사수만보에 등장하는 이는 소수 정당대표, 대장장이, 초짜 무당, 독거노인, 여자 격투기 선수, 자수성가한 호텔리어, 병역 거부자, 장돌뱅이, 노동운동가, 민주화운동 유가족, 교회 개혁운동가, 미투 고발인, 친환경 먹거리 운동가, 노숙인 지원가 등 그야말로 다양한 우리들의 틈새들이다.

“오마이뉴스에 2019년 봄부터 격주로 ‘사수만보’ 연재를 시작해 현재 37회에 이르고 있습니다. ‘사수만보(寫隨萬譜)’는 ‘사진과 수필로 쓰는 만인보’라는 뜻입니다. 우리 시대 민초들의 이야기를 우리 시대 풍경화를 그리듯이 써나가고 있습니다. 잘 나가는 사람, 빛나는 사람보다는 우리 주변에서 성실하게 자기 인생 이야기를 그려가는 사람들이 저의 주인공들입니다.
제가 이 집필을 구상하게 된 계기는 2016년 촛불광장에서였습니다. 촛불혁명은 이름없는 민초들이 이룬 것 아닐까요? 그 거대한 물결을 보면서 다시 한 번 역사의 힘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생업에도 충실해야 하지만 저도 우리 사회에 뭔가 조금이라고 기여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하였습니다. 만인보 즉 만 명의 이야기를 써가야 하니 제가 몇 살까지 살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민병래 회원 자신도 우리 주변에서 얼마든지 볼 수 있는 민초요 틈새인데 특히 이번 코로나 19로 직격탄을 맞은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
“저는 현수막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999년에 창업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으니 약 20년이 넘었네요. (https://blog.naver.com/hwangso3775) 회사 이름은 ‘황소와 나비’입니다. 처음 상호를 들으면 고깃집이냐고 묻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작명한 까닭은 ‘황소’처럼 우직하게 ‘나비’처럼 자유롭게 가자는 뜻이었습니다. 코로나가 휩쓸고 있는 상황에서 저희도 예외는 아닙니다. 행사들이 취소되거나 축소되어 여러 가지로 매출에 영향이 많은 상태입니다. 작년에 비해 절반도 안 되는 상황입니다. 다들 힘든 상황이니 꿋꿋하게 버텨갈 뿐입니다.”
‘황소와 나비’. 조선시대 민화의 주요 소재인 호랑이와 까치 그림인 호작도(虎鵲圖)가 연상되는 동시에 어딘가 도가적 여유가 느껴진다. 걷는 곳마다 깊은 발자국을 남기는 황소와 날아다닌 궤적조차 남기지 않는 나비. 어쩌면 인간의 삶과 죽음도 황소의 나비의 그것과 닮았다.
여하튼 민병래 회원은 황소처럼 삶의 무게를 감당하면서도 나비의 이상을 간직하고 싶어한다.
그러한 이상은 언제부터 꿈꾸었을까.
“저는 성균관대 80학번입니다. 1980년에 대학에 들어가 그 시대 많은 청춘들처럼 혁명적 세례를 듬뿍 받으며 대학 시절을 보냈습니다. 당시 성대 학생운동은 고양기였고 저도 그 흐름에 미력이나마 보태고자 했습니다. 지금은 성대 민주동문회 회원인데 현재 민주동문회는 장학사업을 충실히 하고 있습니다.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고초를 겪은 동문들에 대한 지원, 그리고 현재 성대 재학생들 중에서 선배들의 뜻을 이어받고 있는 후배들에게 해마다 장학금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성대민주동문회의 자랑스런 사업입니다.”
“민족성대 자랑찬 심산의 아들딸이여…” 독립투사 심산 김창숙 선생이 등장하는 〈민족성대 진군가〉는 많은 대학생들이 부러워했다. 게다가 도포 자락 휘날리는 형상의 김창숙 선생 동상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현재 성균관대에는 심산관이라는 건물 이름이 호암관으로 바뀐 지 오래다. 독립투사의 자리를 재벌 총수에게 내준 격이다. 그런 의미에서 성대민주동문회의 활발한 활동을 기대하는 바가 크다.
민병래 회원의 우직함은 현재의 직업에 20년 넘게 종사해오고 있는 모습에서뿐만 아니라 (사)푸른사람들 활동에서도 드러난다. 1994년 창립된 (사)푸른사람들은 ‘푸른시민연대’로 널리 알려진 동대문 지역의 대표적인 풀뿌리 시민단체이다.
“시민단체인 푸른사람들은 서울 동대문구에서 활동하는 시민단체입니다. 한글을 모르시는 어르신들에게 글을 깨우쳐주는 사업을 25년 넘게 하고 있습니다. 결혼 이주민이나 외국인 연수생들이 많이 들어오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역시 한글교실과 다문화도서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 단체의 이사로서 창립 무렵부터 함께 해오고 있습니다.”
나(인터뷰어)의 어머니도 6.25 전쟁통에 미처 못다 배운 한글을 푸른시민연대를 다니시며 완전히 익히셨으니 민병래 회원에게 따로 감사할 일이 생겼다.

 

2018년 6월 문화공간 갤러리에서 열린 ‘사진, 마포를 품다’에서 작품 해설중인 민병래 회원

 

민병래 회원은 푸른사람들 외에도 사진모임 ‘포피엔스’의 회원이다. 이 모임은 이재갑 사진작가와 함께 다큐멘터리 사진 작업을 추구하는 단체로 2017년 ‘마포, 한강을 품다’ 전시회에 민병래 회원도 참여했다. 본래 계획은 서울을 기록하는 차원에서 서울의 25개 모든 구를 돌면서 각 구마다 하나의 주제를 선정해 작업할 계획이었지만 마포구 다음 작업에서 멈춘 상태라고 한다. 이재갑 작가는 군함도 등 일제강제동원 문제뿐 아니라 베트남전쟁, 외국인 노동자 문제 등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묵직한 주제에 천착하는 훌륭한 작가이다. 제대로 된 스승을 만난 셈이다.
2010년 연구소 후원회원이 되면서 인연을 맺은 민병래 회원은 2012년 신흥무관학교 옛터 답사에도 참가했다.

 

2012년 연구소 주최 ‘신흥무관학교 옛터 답사’ 때 아들과 함께 기념촬영

 

“신흥무관학교 옛터 답사는 당시 중1이었던 아들과 함께 했던 여행이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더욱 좋았고 행복했습니다. 답사하면서 끝도 없는 옥수수밭에서 표지석 하나 제대로 없는 터를 찾아가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그 시절, 조국을 떠나 머나먼 천리만리 길, 말도 통하지 않고 지도도 없던 길을 용감히 나서 독립군 기지를 찾아갔던 그 기개와 열정에 머리 숙여지는 답사였습니다.

끝으로 연구소 후원회원님들에게 드리는 당부 말씀을 부탁했다.
“올해 가슴 아픈 일이 많았습니다. 지소미아에 대한 정부 태도나 정의기억연대에 대한 검찰의 수사, 백선엽이 현충원에 묻힌 일 등. 가야 할 길, 해야 할 일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민족문제연구소가 여전히 떠맡아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현 정부에 대한 실망감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만 쳐다보고 있을 수만 없기에 우리 회원들이 해야 할 일을 의연하게 해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 코로나19 위기를 잘 극복해 나가야겠습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니 이 글을 읽으신 분들은 반드시 ‘사수만보’를 읽어보시라. 어쩌면 그 안에 우리들 아니 나를 바라보는 어떤 사람의 따뜻한 시선을 마주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 따뜻한 시선을 통한 만 명의 이야기가 꼭 완성되어 우리들의 가슴 한켠을 뜨겁게 달구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