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달 만에 금강을 다시 찾았다.

54일간 긴 장마 끝자락에 금강을 다시 찾았다. 2달 만이다.

오랜만에 찾은 공주보에는 무성하게 자란 갈대와 풀들은 찾아 볼 수 없었다. 장마철로 인해 수문이 개방되고, 역사적인 폭우로 그 동안에 쌓였던 펄들과 모래톱을 가렸던 기다란 풀들을 씻겨낸 것이다. 활동을 한지 얼마 안된 나는 처음 보는 광경이었다.

고운 모래톱은 사람 높이 많큼 쌓여있었고, 거닐 수 있는 거리는 공주보에서 곰나루까지 3km가 넘었다. 보가 생기기 전에는 이곳에서 금빛 모래를 걸으며 강변을 산책하고 낚시를 하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었다고 한다. 4대강 사업이후 우기가 지나면 녹조로 가득했다던 공주보는 기록적인 우기와 폭우로 인해 그 많던 펄이 씻겨나가고 자동으로 코를 찌푸리게 했던 악취 또한 나지 않았다.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사람들이 거닐 수 있게 된 작은 모래톱과 길 중간중간 있었던 고라니, 족제비, 수달, 너구리등의 발자국, 고라니 똥과 재첩등 많은 야생동물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반면에 그 고운 모래톱 위에 보이는 쓰레기들은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오늘 우리가 금강을 다시 찾은 이유이다. 바로 플로깅을 하기 위해서! 달라진 금강을 조금 더 눈으로 담고 누비고 싶었지만 서둘러 쓰레기양이 제일 많은 곰나루로 향했다. 태풍 ‘마이삭’이 오기 전이어서 벌써 하늘이 어둡고 바람이 심상치 않게 불었기 때문이다. 더운 것 보다는 나았지만 비가 쏟아지게 되면 얼마 줍지 못하고 돌아가야 되는 상황이어서 우린 좀 더 빠른 걸음으로 곰나루에 도착 할 수 있었다.

본격적으로 포대 자루에 쓰레기를 담으며 정화작업을 시작했다. 뚜껑이 열린 페트병과 캔류에는 모래가 가득 들어있고 담배꽁초와 잘게 찢어진 비닐, 모래에 묻혀 잎사귀만 빼꼼 나와있는 풀들, 타이어 휠, 그리고 은근 버려진 옷들이 많았다. 바지부터 바람막이 티셔츠등 강에서 쭉 쓸려 와서 그런지 여러종류의 쓰레기들이 많았다. 그냥 쓰레기가 많았다. 태풍이 오면 또 이 쓰레기들이 밑으로 내려가 쌓일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쓰레기를 주우려고 다들 허리를 숙이고 줍는 것에 집중했다.

 

플로깅을 시작하고 2시간가량 지났을 무렵 하늘이 점점 심상치 않았다. 곰나루에서 주운 쓰레기들이 6포대가 넘어가고 있었다. 포대를 다 들고 공주보도 다시 돌아가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아 중간에 놓고 온 쓰레기로 꽉 채운 포대자루를 챙길 겸, 공주보에 주차 된 차를 곰나루로 이동할 겸 두명의 활동가들만 다시 갔던 길을 돌아갔다. 역시 모래톱이라 평지보다는 걸음 속도가 많이 느리다. 포대를 들고 주차장에 가는 길에 비가 한 두 방울씩 떨어지더니 아니나 다를까 빗줄기가 점점 굵어지고 있다. 아쉬운 마음에 플로깅을 마무리하고 돌아갔다.

 

보가 개방되고 계속되는 폭우와 장기적인 우기로 많은 피해도 있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생태계와 자연은 점점 좋은 쪽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현장에서 공주보 고정보 구간에 대규모 모래가 쌓인 모습만 봐도 4대강 사업으로 홍수가 예방됐다는 사실은 거짓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구조물이었던 것이다.

 

앞으로 점점 기후위기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이런 우기 또한 이번만 일어난다는 보장은 없다. 코로나와 같이 점점 더 심한 질병과 자연재해가 일어날 것이라는 건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알 것이다. 또 코로나19와 홍수로 인한 수재민들의 지원비는 부족하다면서 왜 4대강 유지보수에 아직도 막대한 혈세를 써야하는 걸까 싶다. 필요 없는 구조물은 하루 빨리 철거하고 사람의 이익이 아닌 자연은 자연이 흐르는 데로 돌아가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