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이 베어졌다. 맹꽁이 서식처가 벌거숭이가 되었다. 제초가 진행 된 곳은 도안동 유수지!

멸종위기종인 맹꽁이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개구리도 서식을 하기 때문에 자연스레 먹고 먹히는 피라미드 구조가 눈에 띄게 보이는 곳이다. 때문에 맹꽁이 같은 멸종위기종이 평화롭게 살 수 있는 곳이다. 청개구리, 참개구리 등의 다양한 양서류와 함께 인위적으로 조성한 습지에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또 이곳에서는 습지와 펜스 안쪽에 풀과 갈대가 우거져있어 풍경 또한 아름답고 유수지 내에 있는 수로에 빠진 개구리들이 잠시라도 그늘에서 쉴 수 있고 새들의 위험에 노출이 되지 않게 지켜주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습지의 물이 마르지 않게 그늘이 되어준다. 습기가 매우 중요한 양서류에게 풀은 매우 중요한 보호도구이다.

 

도안동 내에 있는 유수지의 구조를 잠깐 설명하자면 비가 오지 않을 경우 공원처럼 이용하는 곳이지만, 펜스가 설치되어 접근이 용이한 곳도 아니다. 펜스로 둘러져 있어 폐쇄적인 곳에 산책로에는 때문에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지는 않는다. 더러 개 산책이나 트랙을 돌려는 사람들이 있을 뿐이다.

 

이런 지형적 여건을 고려해보면 제초가 아니라 사람들의 통제와 양해를 구했어야 하는 곳이다. 환경부 멸종위기종 맹꽁이가 서식하기 때문에 개체수가 늘어나는 번식기 때만이라도 제초는 잠시 중단했어야 했다. 풀이 자라고 하천을 끼고 있는 유수지에 당연히 뱀은 출몰 할 수 밖에 없다. 유수지 주변에 화산천에는 산책로가 잘 닦여 있다. 때문에 섣부른 제초작업보다 유수지가 아닌 하천 산책을 권장하고, 유수지의 상황을 설명 했다면 어땠을까? 아니면 번식기인 여름이라도 지나가고 제초를 해도 되지 않았을까?

 

제초작업 이후 산책로에 말라죽은 유열목이를 목격했다. 오히려 이런 모습이 산책을 하는 사람들에게 더 혐오스러울 것이라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게 된다.

 

풀을 그대로 두어 서식처를 조금 더 안정적으로 유지한다면 개체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고, 화산천등으로 개체들이 이동하여 서식처가 확대 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제초로 인해 물이 마르고 서식환경이 악화되었다. 실제 명맥을 이어 갈 수는 있겠으나 서식지 확장은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습지에 서식하는 생물들을 확인하고 제초 등을 진행하는 변화가 있어야 한다. 임의적으로 무조건 제초하는 것이 아니라 멸종위기종과 서식범위를 확인하여 보호하면서, 시민들의 편의를 확보하는 정책의 변화가 마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