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톺아보기•16]

식민통치를 자화자찬하다 – 조선총독부

 

이제 우리 반도는 교육·문화·산업·경제·교통·토목·치안·위생 등 제반 시설을 모두 정비하여 완전히 지난날의 모습을 새롭게 변화시켰다. 불과 25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이토록 눈부신 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세계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는 일대 사실이다.

표지
남면북양정책의 성공적인 성과물로 면양 교직포를 사용하였다. 부산시립 시민도서관 소장본(국립중앙도서관 원문이미지)은 면양교직포를 사용하지 않은 양장본인 것으로 보아 2종류의 표지를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1935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에서 식민지 통치 25년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한 서문의 일부다. ‘낡은 문명의 보잘 것 없던 조선’은 ‘선진 문명국 일본’의 통치를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는 말이다. 본서는 가로 19cm, 세로 26.5cm 크기에 매수가 무려 1,200쪽이 넘는 방대한 양이다. 표지는 조선산 면화와 양모로 방직된 면양교직포(綿羊交織布)를 사용하여 덧씌웠다. 1930년대 조선총독부는 값싼 조선인 노동력을 이용하여 일본에 필요한 면화를 충당할 목적으로 한반도의 남쪽은 목화 재배, 북쪽은 면양 사육을 강요하였다(南棉北羊정책). 이 과정에서 일본의 면방직 자본이 조선에 들어와 전국 각지에 직물공장을 세우고 조선인을 착취하였다. 이러한 식민정책의 결과로 완성된 면양교직포를 책 표지로 사용한 는 조선발전의 찬란한 결과물로 둔갑되었다.
책장을 넘기면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이마이다 키요노리(今井田淸德)의 서문이 쓰여 있다. 첫 머리에 “한국병합 당시의 조선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오늘날의 조선을 보고 그 진보의 발자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라며 식민통치 ‘치적’을 들먹이기 위해 시동을 건다.
정무총감의 서문 다음에 목차가 구성되어 있고, 신·구 조선총독부 건물사진, 초대 통감인 이토 히로부미를 비롯한 역대 통감과 총독(6명), 역대 정무총감(7명), 현재 총감과 정무총감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머리말(序說)을 통해 강제병합 전까지의 한일관계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역대 통감과 조선총독
1대통감 이토부터 2대총독 하세가와까지 제복차림이었으나 3대총독 사이토부터 양복 차림으로 변화한 것을 볼 수 있다. 3•1운동 이후 문화통치로 정책을 전환하면서 대외적인 이미지에도 변화를 주었다.
그러나 식민지배의 본질은 여전히 변하지 않았고 조선총독 역시 군 출신자로 문관이 임용된 적은 한 차례도 없었다.

 

조선과 일본은 밀접한 관계에 있던 중에 조선의 사정이 대내외적으로 동요가 있어 그 피해를 항상 일본이 받아왔다고 주장한다. 청·일, 러·일전쟁도 조선의 영토 보전과 자국의 보호를 위해 국운을 걸고 감행했다는 것이다. 한일의정서를 맺음으로서 양국 동맹의 관계가 변화하여 한국의 내정이 일본인의 손에 의해 혁신되었으며 ‘제2차 한일협약(을사늑약)’으로 한국의 폐정(弊政)을 이토 통감이 부임하여 개선시켜 나갔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일본의 성의를 이해하지 못한 ‘배일(排日) 무리’가 많은 단체를 만들어 불만을 나타내고 이토 의장이 하얼빈에서 암살되고,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이 암살 위협에 놓여 있는 등 형세가 어지럽게 돌아가자 병합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병합을 이룬 후 25년에 걸쳐 반도의 통치에 전력을 다해 시련을 잘 극복하여 세계 여러 나라가 인정하는 통치 업적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의 주 내용은 바로 이런 취지를 바탕으로 조선 통치의 특징과 변천 과정을 상세히 수록하였다. 제1기 데라우치는 초대 총독으로 모든 시설들의 새롭게 만드는 단계로 제도를 만들고 조직을 새롭게 구성한 시기였고, 제2기 하세가와는 데라우치의 제도를 계승하고 정비하였으며, 제3기 사이토 시대에 산업, 교육, 지방자치 등의 발전을 이룩한 시기라고 기록하고 있다.

 

수이출입누계비교표
조선총독부는 ‘병합’ 직후인 1910년부터 1932년까지 해마다 급격하게 늘어나는 무역액을 보여주며 식
민통치의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켰다.

 

제4기 야마나시는 앞선 정책들을 충실히 실행하여 그 성과를 거두었으며, 제5기 사이토는 지방자치제도의 완성으로 통치의 신기원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비로소 제6기 우가키 시대에는 조선의 통치가 빛을 발해 모든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었다고 하여, 13쪽부터 986쪽까지 약 1,000쪽에 걸쳐 각 총독의 통
치를 모두 찬양일색으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55쪽에 걸친 연표는 을 시작으로 까지 구성하였다. 이후 조선총독, 정무총감, 식산국장, 법무국장, 경무국장 등 총독 부 본부 관료와 각 지방 법원장, 도지사, 학교장 등의 인사(人事)를 기입하였으며, 부표(附表)에서 조선총독부와 소속관서 직제와 인구, 기상, 지방재정, 농축광산물, 금융, 철도, 도로, 통신, 교육 등 통계자료를 삽입하였다. 조선총독부의 치적은 35쪽에 걸친 통계를 통해 알린다. 색상도표로 구성하여 식민통치 기간 중 조선의 ‘비약적 발전상’을 그래프로 보여준다.

 

 

발전하는 조선의 모습
정비된 도시와 발전하는 개항장, 쭉 뻗은 도로, 사람들로 붐비는 번화가를 과거의 모습과 나란히 배치하여 조선의 ‘발전상’을 선전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90쪽에 걸쳐 약 500점의 사진자료가 의 압권이다. 경회루의 모습을 시작으로 조선신궁, 조선총독부, 각 지방 도청사와 같은 주요 시설물은 물론 도로망 확충, 농업생산력, 축산과 과수, 면업, 산림녹화, 금융 발전을 보여주는 사진, 교육, 예술, 보건, 생활에 이르기까지 조선의 발전은 일본제국의 통치로 이룩되었다는 사실을 이미지로 보여주는 것이다. 결국 는 식민통치의 주요 치적을 자랑하고 이를 대외적으로 선전하기 위해 만든 식민통치 미화 홍보물인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그치지 않고 5년 후인 1940년, 중일전쟁 이후 전시체제에 따른 전시동원정책을 미화하기 위해 를 편찬했다.
• 강동민 자료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