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해양생태계의 시작점, 해안사구

 

한림 용암동굴 지대 위에 형성된 협재  해안 사구

제주환경운동연합 양수남 대안사회국장

 

이번 세기말까지 전 세계 모래 해변의 절반이 사라진다는 보고서가 나올 정도로 지구온난화 난개발로 인한 모래 해변의 유실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모래 해변에 모래를 자연적으로 공급해주는 해안사구가 파괴되면서 모래유실은 더 심각해졌다.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해안사구가 많이 파괴된 곳이다. 2016년 국립생태연구원의 보고서에 의하면 제주도 해안사구의 80% 이상이 파괴되었다고 기록될 정도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부터 회원으로 구성된 조사팀을 꾸려 해안사구를 조사 중이다. 그 결과를 매달 뉴스레터를 통해 싣고 있다.

해안사구는 모래해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날아가 쌓인 모래언덕을 말한다. 그런데 제주의 바람이 강하다보니 제주의 해안사구는 해안과 멀리 떨어진곳에서도 만들어진다. 그 중에서도 협재 해안사구는 내륙 깊숙히까지도 형성되어 있다. 바람이 강하다해도 이렇게 수km 떨어진 곳에까지 사구가 형성되는지 의문이 들 정도이다. 그래서 일부 지질학계에서는 이것이 평상시 바람의 영향이 아니라 오래전 쓰나미같은 특정 사건에 의해서  밀려온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정밀 연구가 필요한 이유이다.


협재사구 위성지도.협재해변에서 라온프라이빗 위쪽까지 2km가 훌쩍 넘는 곳까지 해안사구가 형성되어 있다.(daum 지도 캡쳐)

  • 한림동굴 지대 위의 해안사구 : 협재 해안사구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한림공원 안에는 협재굴,쌍용굴이 있다. 제주도민들 중  많은 이들도 이곳을 찾아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이곳이 해안사구임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그런 의문을 가진 사람들은 있었을지 모른다. 바닷가에서 좀 떨어진 곳인데 왜 이렇게 모래가 많은 것일까라는 의문 말이다.  바로 협재 해안사구 위에 한림공원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협재 해안사구에서 바라본 바다와 비양도

지난 6월 9일 조사 때, 협재해수욕장에서 2.5km 떨어진 곳을 조사해보니 해안사구 형태가 남아있었다. 정월오름 앞쪽으로 해안사구가 남아있고 현재는 농경지로 쓰이고 있었다. 나머지는 숲이 형성되어 있었다. 사구 위에 숲이 형성된 것이다. 이곳은 도너리오름에서 나온 용암류가 땅 위를 덮은 곳으로서 한경-안덕 곶자왈의 일부로도 볼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제주도 당국이 진행한 곶자왈 경계설정 용역에서는 이곳을 제외했다.

그렇다치더라도 이곳에는 울창한 숲이 형성되어 있어 곶자왈과 별 차이가 없다. 그러니까 이곳은 해안사구와 곶자왈이 공존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게다가 모래밭에 참깨 등 농사를 일구고 있었다. 척박한 모래밭과 돌밭을 일구던 제주도의 농경문화도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협재 해안사구 지대는  복합적인 공간이다. 위에 언급했듯이 해안사구 아래에 제주 한림 용암동굴지대(소천굴,황금굴,협재굴)가 자리잡고 있다. 이 동굴의 아름다운 종유석은 해안사구의 모래가 녹으면서 만들어졌다. 해안사구가  아름다운 동굴을 만들어낸 것이다.


협재 해안사구. 많은 해수욕장 이용객들이 걷는 길이기도 하다.

하지만, 협재 해안사구 한복판을 한림공원이 잠식했듯이 더 내륙으로 들어간 해안사구를 라온프라이빗 골프장이 잠식해버렸다. 도내 해안사구에서도 내륙쪽으로 가장 긴 형태를 가진 해안사구가 대형 관광시설에 의해 사라진 것이다.

그나마, 해안에 인접한 해안사구는 그나마 남아있다. 해안사구 위로 산책로가 나있고 많은 관광객들이 이곳을 해안사구인지 모르고 걸으며 기막힌 협재해수욕장의 풍광에 매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