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톺아보기•15]
건물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기념엽서
남산에 위치한 구 조선총독부 청사
남산에 위치한 구 조선총독부 청사
경복궁 근정전 앞을 가로막은 형태로 지어진 조선총독부 신청사
경복궁 근정전 앞을 가로막은 형태로 지어진 조선총독부 신청사
경성의 명소로 소개하며 유통된 조선총독부 엽서들
경성의 명소로 소개하며 유통된 조선총독부 엽서들
경복궁 앞에 공사 중인 조선총독부 신청사, 조선총독부청사신영지, ⓒ 국립중앙도서관
1910년 8월 29일, 일제는 식민통치 기관 설립을 위해 「조선총독부 설치에 관한 건(朝鮮総督府設置ニ関スル件)」을 공포, 최고 통치기구이자 수탈기구인 조선총독부를 설치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입법·사법·행정기구는 모두 조선총독에 직속되었고, 1910년 9월 30일에 칙령 354호로 「조선총독부관제」가 공포됨으로써 조선총독부의 중앙 조직이 1관방 5부제로 구성되었다.
조선총독부의 행정조직이 새롭게 구성하게 되자 총독부와 중앙기관의 청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처음에 총독부는 남산 왜성대에 위치하였던 기존의 통감부 건물을, 중앙기관의 청사는 기존의 중앙관아나 관찰부, 일본이사청 등의 건물을 사용하였다. 필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청사를 증축하였는데 ‘청사의 산재(散在)로 인한 집무 불편 및 노화’를 이유로 조선총독부 신청사 건립이 추진되어 1916년 6월 26일 지진제(地鎭祭)와 함께 신청사가 착공되었다.
조선총독부 신청사는 일제 식민통치의 상징적인 건물이었기 때문에 조선 내 최고기관으로서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입지 선정부터 심혈을 기울였다. 위압적인 식민통치를 위해 조선의 중심부인 경복궁, 그것도 경복궁의 중심이자 조선왕실을 상징하는 건축물인 근정전 앞에 대규모의 건축물로 계획하여 영구적인 청사로 사용하고자 했다.
또한 도시의 중심축인 광화문 앞 육조거리를 건물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도시의 중심에 신청사를 두고자 하였다. 내부공간의 구성은 정면의 주 출입구와 중앙 홀을 중심으로 하는 가로축과 양 측면의 부 출입구를 중심으로 한 세로축을 중심으로 엄격한 日자형의 대칭으로 구성하여 상징성을 극대화하였다.
기초공사는 1916년 7월에 착수하여 1917년 3월 말까지 진행되었는데 말뚝은 압록강 기슭에서 벌목한 나무 9,388그루가 사용되었다. 또한 건물에 사용된 콘크리트조의 총용량은 3,248 입평, 철근 중량은 1,220여 톤으로 매일 800여 명의 조선인 노동인력이 투입되었다.
1920년 7월 10일 정초식(定礎式)과 1923년 5월 17일 상량식(上梁式)을 거쳐 1926년 10월1일 시정기념일에 맞춰 낙성식(落成式)을 거행함으로써 10년간의 긴 공사를 마무리하고 신청사가 준공되었다.
조선총독부 신청사는 5층 건물로 크기는 전면 약 131m, 측면 약 70m, 건평 2,219여 평, 연건평 9,471여 평에 달하는 건축물이었다. 건물 전체에 화강석을 두른 외관으로 높이는 정면 중앙부의 경우 약 23.3m, 첨탑 상부까지는 약 54.7m였다. 엄청난 크기로 식민지 조선인들을 압도한 조선총독부 신청사는 1945년 8월 독립을 맞이할 때까지 19년 간 조선인들에게 공포와 억압, 수탈의 상징이 되었다.
광복 후 미국의 제24군단사령부로 사용되다가 1948년 8월 15일부터 대한민국 정부청사인 중앙청으로 사용되었다. 군사독재정권까지 계속 중앙청으로 사용되던 청사는 1986년 6월부터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사용하였다. 김영삼 정부가 들어선 후 일제잔재 청산과 민족정기 회복 차원에서 광복 50주년인 1995년 철거가 단행됐다.
조선총독부 철거 결정 당시에 ‘일제 침략의 상징인 건물을 완전히 철거해야 한다’는 의견과 ‘오히려 건물을 보존해 역사의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게 충돌하였으나 결국 1995년 8월 15일 조선총독부 청사 중앙돔 첨탑철거를 시작으로 1996년 11월 전체 건물을 완전히 해체했다. 청사를 철거한 부재(部材)들은 현재 독립기념관 야외공원에 ‘조선총독부 철거부재 전시공원에 전시되어 있다.
불과 25년 전까지 민주혁명의 공간인 경복궁 앞 광화문에는 식민통치의 심장 조선총독부 청사가 자리 잡고 있었다. 건물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아직도 뿌리 깊게 남아있는 ‘식민지 유산’을 청산하는 것이 진정한 해방이 아닐까.
• 강동민 자료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