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해양생태계의 시작점, 해안사구

 

모살비를 먹던 김녕주민의 해안사구

제주환경운동연합 양수남 대안사회국장

이번 세기말까지 전 세계 모래 해변의 절반이 사라진다는 보고서가 나올 정도로 지구온난화 난개발로 인한 모래 해변의 유실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모래 해변에 모래를 자연적으로 공급해주는 해안사구가 파괴되면서 모래유실은 더 심각해졌다.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해안사구가 많이 파괴된 곳이다. 2016년 국립생태연구원의 보고서에 의하면 제주도 해안사구의 80% 이상이 파괴되었다고 기록될 정도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부터 회원으로 구성된 조사팀을 꾸려 해안사구를 조사 중이다. 그 결과를 매달 뉴스레터를 통해 싣고 있다. <편집자 주>

김녕 해안은 새까만 빌레 용암(파호이호이용암)이 마치 넓은 평원처럼 펼쳐진 곳이다. 용암동굴을 만드는 용암인 파호이호이용암이 흐르다가 굳었기 때문에  지면이 평평하여 넓은 평원처럼 보이는 것이다. 제주도 중산간 지대의 벵듸(넓고 평평한 들판 또는 벌판을 뜻하는 제주어)에도 파호이호이용암이 굳은 넓은 평원이 자주 보인다. 이런 곳에는 나무가 자라기 어렵고 농경지를 만들기가 어려워 주로 목축의 장소로 이용된다. 수산 벵듸(수산평)에 가보면 광활한 암반 위에 초원지대가 펼쳐져 있음을 확연하게 볼 수 있다.

이때문에 제주도가 원제국의 직할통치를 받던 시절, 원나라가 일본과 남송을 정벌하기 위해 이 수산벵듸에  제주도 최초의 목마장인 탐라목장을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파호이호이용암이 굳은 지면 아래에는 용암동굴이 형성되어 있다. 선흘 곶자왈의 지질도 이 파호이호이용암이다. 그래서 선흘 곶자왈에는 용암동굴과 용암 습지가 많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바닷가 중에서 이러한 파호이호이용암의 특징이 잘 나타난 곳이 김녕 해안이다.


김녕 덩개해안. 파호이호이용암이 넓은 평원을 이루고 있다. 그 옛날 용암이 흐르면서 굳은 모습을 볼 수 있다.

곶자왈이나 벵듸는 땅 위로 풀과 나무가 덮어버려 용암의 원형을 잘 파악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바닷가로 흐른 용암은 그 위에 식생이 들어서기가 쉽지 않아 화산지형의 원형을 볼 수 있다. 그러한 곳이 바로 김녕 해안이다. 김녕 해안은 이러한 빌레 용암지대와 함께 해안사구도 잘 발달한 곳이다. 그런데 2016년 국립생태연구원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김녕 해안사구는 예전에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는데 그동안 온갖 개발로 인해 지금은 소형 사구로 쪼그라들었다고 나와 있다. 1위 자리는 태안 신두리 사구에 넘겨줬다. 그만큼 김녕 해안사구는 크게 훼손되어 있다.


김녕 해안사구. 예전에 전국 최대의 해안사구였지만 온갖 개발로 인해 사라지고 현재는 소형사구가 되어버렸다.

김녕 해안사구가 규모가 컸던 만큼 김녕 주민들은 모래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었다. 바람이 센 제주의 특성상 시도 때도 없이 부는 바람에 날려 온 모래는 참 고역이었나보다. 그래서 김녕리 주민들은 ‘모살비’라고 이것을 비유했다. 밭에서 일하다가 먹는 밥 위로 모래가 비처럼 떨어져 밥과 모래를 섞어서 먹을 수 밖에 없었다. 모살비라는 단어에서 옛 제주민중들의 고단한 삶을 엿볼 수 있다.

그런데 이 모살비와 해안사구의 모래는 제주도가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어떻게 된 일일까? 김녕-월정-행원 지역은 용암동굴을 만드는 파호이호이용암으로 덮여있다. 그러다 보니 이곳에는 만장굴을 포함하여 용천동굴,당청물동굴 등 많은 동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동굴 위에 있는 모래는 오랜 세월 동안 지면의 틈을 통하여 동굴로 떨어지면서 독특한 석회생성물을 만들어냈다. 그래서 용천동굴의 찬란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 용천동굴의 발견은 제주도가 세계자연유산으로 선정됨에 있어서 크게 이바지했다. 거대한 지하호수를 품었을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매우 특이하고 아름다운 동굴이었기 때문이다.


김녕해수욕장에 남아있는 해안사구. 하지만 뒷편으로는 도로, 체육관, 농경지 등으로 파괴되어 있다. 해안사구 파괴로 김녕해수욕장의 모래가 심하게 유실되면서 해수욕장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용천동굴 주변의 해안사구가 농경지와 도로 등으로 개발되면서 더 이상의 석회생성물 생성이 더디거나 멈춰질 수 있다. 김녕 해안사구가 결국 아름다운 용천동굴의 지질과 경관을 만들어낸 것이다. 김녕 해안사구가 파괴되면서 김녕해수욕장도 위기다. 해안사구가 주차장과 도로, 체육시설, 건물로 사라지면서 사빈(해수욕장)으로 모래를 공급해주는 기능을 잃어버렸다. 그러다 보니 모래가 유실되면서 매년 모래를 쏟아붓고 있고 위를 차광막 등으로 덮어 모래가 날아가지 않게 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무지한 해안사구 개발로 인해 관광지인 김녕해수욕장이 그 가치를 잃어버리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