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비망록 57]

그해 겨울 그는 왜 맨발로 남산성벽을 넘어야 했나?
고봉근 집터, 일본인 순사를 사살한 김상옥 의사의 항거지

이순우 책임연구원

서울 용산구에 있는 후암시장 삼거리에서 영락보린원(永樂保隣院, 후암동 370번지) 방향으로 이어지는 ‘후암로 28길’을 따라 260미터 남짓 걷다보면 약간 언덕길을 이루는 지형이 나타나는데, 그곳에서 옆으로 비스듬히 갈라지는 골목길(후암로 28바길)을 만날 수 있다. 이 길의 초입에는 한울연립주택이 서 있고, 이곳과 남쪽으로 등진 자리에 2층짜리 단독주택 한 채가 다소곳이 자리하고 있다.

이 집 앞에 덩그러니 서 있는 ‘김상옥 의사 항거 터’ 안내표지판은 이곳이 결코 예사롭지 않은 역사적 사건의 현장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이 자리는 ‘옛 삼판통(三坂通, 지금의 후암동) 304번지’에 해당하며, 고봉근(高奉根, 1896~1961)의 집으로 알려진 곳이다. 그 당시 돼지고기 행상을 했던 고봉근은 다름 아닌 1923년 정초에 서울은 물론 조선 천지를 들썩이게 했던 의열투쟁의 주인공 김상옥(金相玉, 1890~1923) 의사와 처남 매제(妻男 妹弟)가 되는 사이였다.
지금은 이 일대가 온통 주택가 밀집지역으로 변한 통에 어떠한 주변 지형이 둘러싸고 있는지 가늠하기가 쉽지 않지만, 일제강점기의 경성시가지도를 살펴보면 고봉근의 집은 조선은행 사택지(朝鮮銀行 舍宅地)가 넓게 포진한 지역의 외곽선에 간신히 터를 잡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구나 이곳은 삼판통 대로변에서 죽 이어지는 평지(平地)의 막바지에 자리하고 있었으며, 그 뒤쪽으로는 곧장 남산에서 흘러내린 비탈면이 높게 치솟아 있는 것이 지형상의 특징이었다.
일찍이 1920년 여름 미국의원단(美國議員團)이 경성을 방문하는 때에 맞춰 조선총독과 총독부 고관들을 처단하려던 계획이 실패로 돌아가자 중국 상해로 망명했던 김상옥 의사가 다시 빙판으로 변한 압록강을 도보로 건너 국내로 잠입한 것은 1922년 12월의 일이었다. 그리고 국경선을 넘자마자 이내 경의선을 이용하여 일산역(一山驛)에 도착하였고, 그 이후 서울로 숨어 들어와서 각처에 며칠씩 유숙하면서 거사의 기회를 엿보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 당시 김상옥 의사가 목표로 삼았던 것은 일본 국회에 참석하고자 조만간 일본으로 건너갈 것으로 알려진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齋藤實)였다. 이를 위해 도쿄로 가는 출발지인 남대문정거장에서 사이토 총독을 저격하려던 계획에 따라 김상옥 의사는 이 주변을 계속 살피는 한편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은신처를 마련하고 대기하던 도중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23년 1월 12일 밤 8시 10분에 종로경찰서 서편 급사실(給仕室) 앞에서 폭탄이 터지는 사건이 전개되었던 것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범인색출에 혈안이 된 일제 경찰에 의해 김상옥 의사가 고봉근(당시 28세)의 집에 숨어 있다는 사실이 탐지되어 그해 1월 17일 새벽 5시에 경찰대가 이곳 삼판통 집을 포위하는 상황이 전개되기에 이르렀다. 이때 일제 경찰의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는 과정에서 김상옥 의사가 발사한 육혈포(六穴砲, 권총) 총탄에 맞아 일본인 순사부장 타무라 쵸시치(田村長七, 종로경찰서 형사부장)가 즉사하고, 이마세 킨타로(今瀨金太郞) 경부(종로경찰서 사법계 주임)와 우메다 신타로(梅田新太郞) 경부보(동대문경찰서 고등계 주임)도 중상을 입고 함께 쓰러졌다.

그러고 나서 곧장 집 뒤로 이어진 남산자락을 맨발로 박차고 올라 순식간에 남산 성벽을 타고 넘어 장충단공원(奬忠壇公園) 쪽으로 피신하였다. 김상옥 의사는 여기에서 다시 산줄기를 따라 왕십리 방면으로 나가다가 그 뒤쪽 무학봉(舞鶴峯) 안쪽 골짜기에 자리한 안정사(安靜寺, 일명 ‘청련사’)로 숨어들었다. 그 당시 서울 근교의 사찰들이 대개 그러했지만, 이곳 역시 기생들이 시중을 들며 술과 고기를 파는 음식점 영업이 성황을 이루는 공간으로 변질되어 있었다.
누가 봐도 도망자의 몰골이 역력한지라 “노름을 하다가 경관에게 발각되어 여기까지 도망하여 왔으니 사람을 좀 살려 달라”고 짐짓 애걸하는 시늉으로 하룻밤 묵을 것을 허락받은 뒤에 그 다음날 저녁나절에 짚신 한 켤레와 목출모자(目出帽子, 털실로 짠 방한모)를 얻어 쓰고 그곳을 빠져나오게 된다.

 

김상옥 의사가 남산 성벽을 넘어 탈출할 때 하룻밤을 지새운 왕십리 ‘안정사’의 전경이다. 하지만 이 절은 지난 2009년 주택재개발 지역에 포함되면서 경기도 장흥으로 옮겨갔고, 그 바람에 지금은 완전히 철거되어 사라진 상태이다.

 

이날에는 다시 왕십리 근처에서 하루를 유숙하고, 마침내 1월 19일이 되어 동대문 밖 창신동(昌信洞)에 있는 본가를 찾아가 모친을 잠깐 뵌 후에 다시 효제동 73번지 이태성(李泰晟, 이혜수 동지의 부친)의 집을 은신처로 삼아 그곳으로 피신하였다.
하지만 이곳에서 이틀을 머물며 또 다른 거사를 계획하고 있던 상태에서 앞서 체포된 전우진(全宇鎭)의 자백으로 인하여 김상옥 의사의 소재지가 들통 나고, 이에 따라 1월 22일 새벽 3시에 경성 전역에서 동원된 수백 명의 경찰이 효제동 인근을 완전히 포위하며 체포를 시도하는 상황이 이어졌다. 이에 맞서 김상옥 의사는 옆집을 넘나들며 3시간 가까이 맹렬한 총격전으로 응전하다가 마침내 최후의 순간을 맞이하였다.
무수한 총탄이 박힌 김상옥 의사의 유해는 가족에게 넘겨졌고, 그해 1월 26일 아침 장례절차를 거쳐 이문동공동묘지(里門洞共同墓地)에 안장되었다. 일제강점기를 통틀어 손에 꼽을만큼 강렬했던 의열투쟁이 그렇게 마무리되고 말았던 것이다.
그 이듬해에 다시 김상옥 의사의 자취를 상기시켜주는 또 하나의 기사가 신문지상에 등장하였다. 일찍이 그가 고봉근의 집을 벗어나 남산 쪽으로 탈출하는 과정에서 서둘러 도망치다가 눈밭에 뒹구는 바람에 소지하고 있던 권총 한 자루를 분실한 적이 있었는데, 이 권총의 행방이 마침내 드러났다는 소식이었다.
1924년 10월 9일자에 수록된 「전촌부장(田村部長)을 살해한 김상옥의 권총, 오랫동안 의문에 쌓였다가 지금에야 형체를 나타냈다」 제하의 기사는 그 내막을 이렇게 전하고 있다.

한참 당시에 천하의 이목을 놀래이던 김상옥(金相玉)이 종로서의 전촌부장(田村部長, 타무라 순사부장)을 죽이던 육혈포(六穴砲)가 주인이 사라지기 전에 그 자취를 감추어 한 의문을 일으켰더니 주인이 죽은 후 해가 오래된 이제 와서 그 형적을 나타내었다.
시외 고양군 한지면 한강리(漢芝面 漢江里) 이만길(李萬吉, 27)은 작년 3월에 장충단(獎忠壇) 뒤 송림이 우거진 활터 근처 길가 눈 속에서 서슬이 시퍼렇고 탄알까지 박혀 있는 자동식 육혈포 한 자루를 얻어 가지고 한강리 근처 어떤 바위 밑에 감추어 놓은 후 작자만 나서면 팔아먹으려 하던 차 요사이에 이르러 들고 나서서 살 사람을 찾다가 동대문서원에게 발각되어 권총과 함께 체포되었다. 즉 이 권총이 김상옥의 사용하던 무서운 총인데 삼판통에서 전촌 부장을 죽인 김상옥은 남산을 타고 도망하여 장충단 근처에 이르렀을 즈음 얼음판에 미끄러지며 손에 쥐었던 권총을 놓치고 오랫동안 찾았으나 눈에 띄지 않으므로 그대로 돌아가 다른 사람을 놓아 이것을 찾고자 하였으되 이내 찾지를 못하였던바 이를 이혜수(李惠壽)에게 이야기하였다. 그런데 이것이 경찰의 귀에까지 들어가서 경찰에서도 그 근처를 모조리 헤매여 찾았으나 이내 찾아내지 못하였던 것으로 의외에 전기 이만길의 눈에 띄었던 것이었으며 이만길은 이 권총으로 인하여 처형되리라더라.

 

일제강점기를 통틀어 거의 으뜸으로 손꼽히는 의열투쟁의 하나였던 김상옥 의사의 의거가 있고나서 그와 거사를 모의했던 동지 8명이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고, 그에게 피신처를 제공했던 이들도 대개 범인장닉(犯人藏匿)의 죄로 일제의 추궁을 받는 처지가 되었다. 이들 가운데는 당연히 김상옥 의사의 매제인 고봉근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에게는 증거불충분을 사유로 불기소 처분이 내려졌다.

『동아일보』 1961년 11월 25일자에 수록된 김상옥 의사의 매제 고봉근 지사의 사망관련기사이다. 그의 집주소가 ‘후암동 369번지’로 되어 있는 걸로 보면, 평생 동안 그는 이 동네를 떠나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약간의 세월이 흘러 불과 6개월여 뒤에 세계적인 경제 대공황을 촉발한 뉴욕증권시장의 주가 대폭락 사태가 벌어지리라고는 짐작조차 못하고 있던 1929년의 어느 봄날, 세상 사람들을 잠시 어리둥절하게 만든 한건의 기사가 신문지상에 등장하였다. 1929년 3월 23일자에 수록된 「오개성상(五個星霜) 지난 금일(今日), 김상옥사건에 의운(疑雲), 일시 세상을 진동한 김상옥 사건에 종로서 폭탄범은 다른 사람이라고, 종로서 폭탄범(鍾路署 爆彈犯)은 타인(他人)?」 제하의 기사가 그것이었다.

일시 조선 천지를 놀래게 하던 김상옥 사건이라 하면 벌써 만 5주년 전의 일이지만 사건이 워낙 세상을 경동시켰을 만큼 아직도 일반의 기억에 새로운 사건이다. 그런데 이 사건에 대하여 최근에 한 새로운 사실이 발각되어 시내 모 경찰에서는 방금 그 천명(闡明)에 활동중이라 한다.

『조선경찰관순직사』(1933)에 채록된 종로경찰서 미와 와사부로(三輪和三郞) 경부의 공적내용이다. 그는 김상옥 의사를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의 범인으로 지목하여 검거활동을 펼친 공로로 ‘수훈자 표창’을 받았다.

 

김상옥이가 무덤에 들어간 지 5년 후인 오늘날에 새삼스럽게 발생한 사건이라는 것은 김상옥이가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진 진범인으로 지목받아 김상옥 사건에 유일한 공로자인 삼륜(三輪, 미와) 종로서 고등계 주임은 경관의 최고의 표창인 공로장(功勞章)까지 탔었는데 실상은 폭탄투척의 진범인은 김상옥이가 아니라는 것이 그 후에 우연히 발각되었으나 그 당시의 경찰부장이던 마야정일(馬野精一, 마노 세이이치) 씨는 공을 이룸에 급급하여 김상옥을 진범인 줄만 여기고 이때까지 지내왔으나 그 사실 진상이 차차 드러나자 필경은 모 경찰에서도 이 사건의 진상을 적발코저 방금 진범인을 수사 중이라더라.

 

비록 6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으나 종로경찰서에 폭탄이 터지고 그 범인으로 쫓겨 김상옥 의사가 시내 여러 곳을 숨어 다니다 마침내 효제동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장안을 떠들썩하게 했던 사건에 대한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건만,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진 사람은 따로 있었다니 이건 무슨 얘기란 말인가?
그런데 이러한 지적은 알고 보면 1923년 사건 당시부터 이미 언급되어온 내용이었다. 실제로 1923년 3월 16일자에 게재된 ‘김상옥 사건의 전말’에 관한 보도의 말미에 「신출귀몰(神出鬼沒)한 폭탄범인(爆彈犯人), 상금(尙今) 누가 함인지 막연부지(漠然不知), 전기의 사실 내용을 볼 것 같으면 김상옥은 정녕 폭탄범이 아니다」라는 기사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담겨 있었다.

 

원래 이 사건이 일어나기는 종로서의 폭탄을 던진 것으로 인하여 삼판통 사건을 시작하여 효제동 사건 등 일월 이래로 시내에서 두 번이나 큰 사건 돌발하였는데 검사국에서 심문한 사건의 내용을 볼 것 같으면 김원봉에게서 보내인 폭탄은 안동현까지 와 가지고는 어찌되었는지 돌연히 자취를 잃게 되었으므로 김상옥에게 오지 아니한 것은 사실이 명백한 바이라. 그러면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진 것은 정녕 김상옥의 소위가 아니오 다른 사람의 소위가 명백한 바이므로 경찰서에서는 지금까지 어찌할 줄을 모르고 주야로 활동을 계속하여 혹은 북으로 서로 계속 탐지하는 중이라더라.

 

이러한 의구심만 잔뜩 던져놓고 여기에서 지목하는 진범에 대한 후속기사는 더 이상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결론이 어떻게 맺어진 것인지는 전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그렇다면 종로경찰서 폭탄투척의 당사자는 과연 누구라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