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의 공동자원 창출 역사가 담긴

구좌읍 한동리 단지모살 이야기

 

제주환경운동연합 양수남 대안사회국장

이번 세기말까지 전 세계 모래 해변의 절반이 사라진다는 보고서가 나올 정도로 지구온난화 난개발로 인한 모래 해변의 유실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모래 해변에 모래를 자연적으로 공급해주는 해안사구가 파괴되면서 모래유실은 더 심각해졌다.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해안사구가 많이 파괴된 곳이다. 2016년 국립생태연구원의 보고서에 의하면 제주도 해안사구의 80% 이상이 파괴되었다고 기록될 정도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올해부터 회원으로 구성된 조사팀을 꾸려 해안사구를 조사 중이다. 그 결과를 매달 뉴스레터를 통해 싣고 있다.

제주환경운동연합 조사팀은 지난 3월과 4월 초에 대정읍 사계 해안과 상모리의 해안사구, 구좌읍 한동리 단지모살을 찾았다. 사계 해안의 경우 환경부에서는 선사시대 사람 발자국이 발견된 일대만을 사구 목록에 올려놓았다. 하지만 용머리 해안 옆에도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하모리 사구만을 목록에 올려놓았으나 상모리의 해안사구도 빠뜨렸다. 그리고 구좌읍 한동리의 단지모살도 대규모의 해안사구이지만 환경부의 해안사구 리스트에는 올라있지 않다. 이외에도 환경부의 해안사구 목록(이력관리 사구)에 올라있지 않은 해안사구를 대상으로 3~4월에 조사를 진행하였다. 특히 이번 글에서는 아직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은 구좌읍 한동리의 단지모살을 중심으로 쓰고자 한다.

한동 주민들의 애환이 담긴 단지모살

구좌읍 한동리의 단지모살은 인근 바닷가와 거의 1km가량 떨어져 있는 사구이다. 보통 해안사구는 조간대-전사구-배후사구로 이어진 형태를 갖고 있다. 그런데 단지모살은 조간대, 전사구와 동떨어진 배후사구만 갖고 있다. 이는, 해안에서부터 중간에 농지 등의 개발이 되면서 전사구는 사라지고 배후사구만 남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실제로 옛 문헌에 따르면 이 사구는 행원에서부터 이어져 있다고 나와 있다. 이로 미루어보아 행원, 월정 등의 해변에서 바람에 날린 모래가 쌓여 긴 해안사구를 형성했고 현재의 단지모살까지 이어졌던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그 이후 농지, 도로, 주택 건설로 인해 전사구와 배후 사구 일부가 사라지고 현재의 단지모살만 남은 것이란 추론이다.


하늘에서 바라본 한동 단지모살. 단지모살 일부가 최근 제주 용암 해수 일반산업단지 건설로 인해 사라졌다. (Daum 지도 캡처)

하지만 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 해안사구는 오름처럼 꽤 높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튜물러스(용암이 흐르다가 가스 등 압력에 의해 부풀어 오르면서 마치 빵처럼 만들어진 용암 지형) 위에 해변에서 날아온 모래가 덮이면서 쌓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개발이 어려운 단지모살만 남고 다른 곳의 사구는 사라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현재 배후사구는 숲과 당근 등 모래밭에서 잘 자라는 작물을 심은 농경지로 이뤄져있다. 4월 7일 현장을 답사한 결과 농경지에는 쪽파가 심겨있었다. 배후사구에는 염생식물인 사철쑥, 애기달맞이꽃, 갯메꽃 등의 초본과 바닷가에서 주로 자라는 까마귀쪽나무․보리밥나무와 쥐똥나무, 사철나무, 붉나무, 돈나무, 천선과나무, 머귀나무, 예덕나무, 덧나무, 참식나무, 상동나무, 찔레 등의 목본이 자라고 있었다.

이처럼 단지모살이 바닷가와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 섬처럼 배후사구가 남아있는 지형적 독특함이 있다면 또 한편으로는 역사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한동리는 제주시 구좌읍의 북동쪽 해안에 있는 마을로서 예로부터 사구에서 불어오는 모래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피해가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모래 피해 때문에 일제 강점기에 마을에서 사방사업을 시작하였다. 이때 단지모살에 숲이 형성되었다.


제주환경운동연합 조사팀이 지난 4월 7일 단지모살(사구)을 찾았다.

‘한동 단지모살 숲 조성, 공동자원의 창출과 변화(김평선)’에 의하면 일제 강점기부터 현재까지 단지모살의 변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일제 강점기 시절 한동 마을은 단지모살의 모래가 바람에 날려 농사와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 피해를 줄이기 위해 주민 스스로 사방사업(비가 많이 오거나 바람이 심하여 흙ㆍ모래ㆍ자갈 등이 이동하여 나타나는 재해를 예방ㆍ복구하기 위해 실시하는 공사)을 시작했다. 사방사업의 방법으로 단지모살에 나무를 심은 것이다. 본격적으로 사방사업을 시작한 것은 일제의 조선사방사업령이 제정되면서이다. 사방사업에 대한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을 하게 된 큰 계기는 우물 개발이었다. 당시 한동리 상동(上洞)에는 용천수가 없어서 불편한 상황이어서 1930년대 초 용천수 개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우물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우물을 개발하기 위해 자금을 모아야 해서 사방사업을 활용했다. 사방사업을 하게 되면 당시 행정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동리의 우물터. 현재는 매립되어 사라졌다.

모래땅에 나무를 심는 일이 당시 쉽지 않았지만, 나무뿌리에 흙과 콩 비지를 섞여 나무를 심으면서 나무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었다. 단지모살 조림사업에 지원한 노임의 절반을 주민들이 기부하여 공사 기술자 3명을 고용하여 공사 착수 3년인 1935년 우물 공사가 마무리되어 제주도에서 가장 깊은 우물(22m)이 만들어졌다.

단지모살의 조림을 통한 공동자원 관리는 해방 이후 위기를 맞게 되었다. 1948년 제주 4·3 발발하면서 소개령이 내려지고 주민들을 동원하여 한동 마을에 큰 규모의 축성이 만들어졌다. 이후 군경은 효과적인 토벌 작전을 이유로 주민들을 동원해 한동 마을의 나무를 벌목했다. 이때 사방사업으로 심겨있던 단지모살의 나무들이 벌목되었다.

이후, 1950년대 중반 벌목되어 버린 황폐한 단지모살에 숲을 조성하기 위한 움직임이 다시 일어났다. 4·3 이후 황폐해진 단지모살의 숲을 재조성하는데 학교 설립이라는 마을 사회의 공통이익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방사업의 노임 일부를 한동 초등학교 건립 기금으로 조성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단지모살은 한동리의 리유지로 유지되다가 1961년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따라 북제주군으로 귀속되었다. 이후 90년대에 단지모살이 다시 마을의 재산으로 반환되었지만, 이전에 구 북제주군과의 계약에 따라 농사를 짓던 농가에 이용 우선권이 주어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단지모살 리유지 운영권은 기본적으로 한동 마을이 가지고 있지만, 실제 이용과 관리는 일부 주민에게 위임되고 있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단지모살 중 일부는 제주 용암 해수 산업단지(약 1만 5천㎡)로 편입되면서 사라졌다. 한동 마을은 리유지 일부 매각으로 얻은 수익금은 소규모 학교로 전락한 한동초등학교를 살리기 위해 공동주택을 건설할 토지 매입에 사용하였다. 제주도의 재정 지원을 받아 공동주택이 건설되었다.


학생들이 단지모살에서 야외교련을 하는 광경. (출처 : 1942년, 제주도 구좌면 중앙학교 제20회 졸업기념 사진첩)

위와 같이 단지모살 사구는 자연적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 문화적인 가치가 높은 곳이다. 이런 면에서 단지모살 사구를 보전할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용머리 옆 해안사구

사계리의 해안지형은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화산지형이다. 산방산은 약 80만 년 전에 형성된 용암돔이다. 바로 옆의 용머리(오름)도 바닷속에서 분출하면서 만들어진 화산체로서 약 120만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멜 전시관이 있는 이 용머리에 바로 붙어있는 해안에도 해안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곳 해안을 덮고 있는 지질은 지질학적 시간으로 보면 매우 최근에 형성된 것이다. 송악산은 약 4,000년 전 분출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 오름에서 분출한 화산쇄설물 들이 쌓이면서 만들어진 것이 ‘하모리층’이다. 송악산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쪽 해변에 하모리층이 넓게 포진하고 있다. 즉, 하모리층은 매우 젊은 화산지형이다. 그래서 선사시대의 사람 발자국이 이곳에서 발견된 것이다. 이 하모리층과 해안사구가 이곳 해안 일대를 장식하고 있다. 마을 주민들은 용머리 옆 해안지형을 ‘설쿰바당’이라고 부르고 있다. 설쿰은 눈 속에 생긴 구멍이라는 뜻을 지녔다고 한다. 바람 때문에 쌓인 눈에 구멍이 뚫린다는 뜻이다. 그만큼 바람이 센 곳임을 암시하고 있다.


용머리 옆 설쿰바당. 길이가 약 700m가 채 안 된다. 송악산에서 분출한 화산재가 쌓여서 만들어진 하모리층과 해안사구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해안사구 일부가 도로, 상가 등에 의해 파괴되어 있다

이 설쿰바당 해안사구는 길이가 약 700m가 채 안 된다. 하지만 이는 항포구와 상가개발로 인해 전체 사계 해안사구와 단절되었기 때문이다. 이 짧은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전사구(조간대와 1차로 붙어있는 사구 지대)와 배후사구(전사구 뒤의 사구로서 주로 숲이 형성된다)가 남아있다. 전사구는 전형적인 염생식물로 가득 차 있다. 순비기나무, 손바닥선인장,갯쑥부쟁이, 돌가시나무, 갯무, 갯메꽃, 갯방풍,갯금불초,암대극,갯완두,사철쑥,통보리사초,갯까치수영,번행초 등이 전사구 위를 덮고 있다. 전사구 바로 뒤의 배후사구에는 상동나무, 예덕나무, 보리밥나무, 팽나무, 곰솔, 덧나무,사철나무, 돈나무, 천선과나무 등이 숲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배후사구 중 많은 부분이 도로와 농지로 훼손된 것으로 보인다.


설쿰바당 해안사구. 바로 앞에 산방산이 보인다.

모슬포 사구

환경부에서 이력 사구로 올린 하모리 해안사구 바로 옆에 있는 해안사구이다. 하지만 환경부의 이력 사구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곳의 해안지형과 지질도 용머리 해안 옆의 설쿰바당과 비슷하다. 광해악현무암 지대 위를 하모리층이 덮고 있다. 하모리층 위에 사구가 형성되어 7-10m 정도로 키가 높다. 이곳은 배후사구가 대부분 농경지로 개발되어 전사구만 남아있다. 전사구에는 갯완두, 까마귀쪽나무, 갯메꽃, 사철쑥, 무릇, 반디지치 등 염생식물이 덮고 있다. 전사구에서 환경부 멸종위기 식물인 황근과 갯대추 군락을 발견하였다.


모슬포 해안사구. 하모리층 위에 사구가 형성되어 있다.